• 제목/요약/키워드: 유통마트

검색결과 128건 처리시간 0.032초

세척 및 시판 수삼 이용실태와 소비자 인식도 분석 (Analysis of Consumer Attitudes to Washed Fresh Ginseng)

  • 조순덕;장민선;김동만;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79-58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기본적인 수삼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를 수행하고 소비실태를 조사함으로써 소비자관점에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수삼의 제품화 및 산업화의 개선안을 위한 품질요인을 구축하여 소비증진 및 발전방향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수삼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 연령층에서 수삼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으며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수삼의 선호도가 증가하였다. 수삼은 '삼계탕 등 끓여서'와 '우유와 함께 갈아서' 등의 형태로, 주로 여름과 겨울에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맛과 향보다는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인식으로 섭취하고 있었다. 수삼의 구입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조사대상자의 66.5%는 구입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구입 장소로는 대형할인마트를 이용하는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 산지시장과 재래시장을 고르게 이용하였다. 주요 구입처를 선호하는 이유는 대형할인마트는 '가까워서 편리하기 때문에'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백화점과 산지시장은 70% 이상 많은 소비자들이 '품질을 믿을 수 있어서'라고 응답하는 등 구입처에 따른 선호이유가 차이를 보이지만 대부분이 구매 시 품질을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세척수삼의 구입경험에 대한 조사결과, 먹기 위해 또는 선물하기위해 구입한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32.9% 이었으나, 67.1%의 소비자는 구입경험이 없다고 하였다. 수삼 형태에 대한 선호조사에서는 66.8%의 소비자가 '흙 묻은 수삼'을 선택하였으며, 33.2%의 소비자는 '세척 수삼'을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흙 묻은 수삼의 선호 이유는 '품질을 눈으로 확인하기 쉽기 때문에'라고 하였고, 세척수삼을 선호하는 이유는 '위생적'(40.0%)이고 '보관이 편리해서'(33.2%) 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척수삼이 판매될 때, 55.0%의 소비자가 구입할 의향이 '있다'라고 응답하였고, '잘 모르겠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27.9%이었다. 수삼을 세척 포장하기 위한 추가비용지불 의향에 대한 조사에서 조금이라도 추가 지불 의향이 있는 소비자는 58.8%였고, 40대 미만의 경우에는 추가지불에 대한 응답이 높았으나, 40대 이상 연령층에서는 동일할 경우 구입하겠다는 의견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통 친환경 엽채류와 엽경채류 중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Environment-friendly Stalk and Stem Vegetables and Leafy Vegetables and Risk Assessment)

  • 이재윤;노현호;이광헌;박소현;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3-53
    • /
    • 2012
  • 국내 유통 친환경인증 엽채류와 엽경채류 중 잔류농약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서울 등 전국 9개 지역의 대형마트와 친환경인증 농산물 판매소에서 상추 등 21종의 친환경인증 엽채류 및 엽경채류를 2010년 7월과 8월 2회 채취 하였으며, 총 시료수는 637(유기농산물 395, 무농약농산물 242)점이었다. 수집된 시료는 GC-ECD/NPD,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 동시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배추 등 8점의 시료에서 alachlor를 포함한 6종의 농약이 검출되어 1.3%의 검출율을 보였으며, 검출농약의 잔류량은 alachlor 0.043, chlorfenapyr 0.022-0.324, diazinon 0.024, dicofol 0.05-0.138, dithiopyr 0.008, metolachlor 0.025 mg/kg이었다. 시료에서 검출된 농약의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을 초과하지 않았고 일일섭취추정량 대비 일일섭취허용량은 25% 미만으로 안전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농약이 검출된 시료 중 5점은 친환경농산물 인증기준을 초과하여 부적합 농산물로 분류되었다.

시중 유통 과채류 중의 잔류농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Residual Pesticides in Commercial Fruits & Vegetables)

  • 김영국;임태곤;박상수;허남칠;홍석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763-771
    • /
    • 2000
  • 1999년도 2월부터 9월까지 광주 시내 백화점 및 마트 등지에서 유통되고 있는 과채류 12종, 총 289건에 대한 88종 농약의 잔류량을 분석하였다. 289건의 과채류중 21.1%에서 잔류농약이 검출되었고, 5.2%가 잔류 농약 허용기준치를 초과하였으며, 부적합율이 높았던 과채류는 깻잎, 상추, 시금치, 치커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과채류에 사용빈도가 높았던 농약은 프로시미돈, 엔도설판, 빈클로졸린, 클로로피리포스, 싸이퍼메쓰린, 피리미포스메칠, 펜발러레이트,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난 반면, 허용기준을 초과한 농약성분은 프로시미돈, 빈클로졸린, 엔도설판, 피리미포스메칠, 페나리몰, 모노크로토포스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깻잎, 상추, 시금치, 딸기 및 방울토마토 등과 같은 과채류에서 안전성에 문제가 되는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 등의 제거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8가지 세정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들 세정 방법을 비교한 결과 초음파 세정법이 프로시미돈 및 빈클로졸린 농약의 제거에 가장 효과적 이었다.

  • PDF

온라인에서 대형마트 쇼핑몰의 이미지가 신뢰를 매개로 만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n Satisfaction with Mediation of Trust Caused by Hypermarkets' Online Image)

  • 신문식;김효정
    • 유통과학연구
    • /
    • 제12권10호
    • /
    • pp.67-74
    • /
    • 2014
  • Purpose - This study analyzed how image affects customer trust and satisfaction in the online shopping mall market, which is becoming more competitive; future implications for customer management in online shopping malls were presented. Consumers visit and prefer a few shopping mall sites instead of many sites. Consumers do not visit sites that cannot provide trust and satisfaction. Therefore, establishing trust and satisfaction with differentiated image is essential for survival and growth. Specifically analyzing company image, shop image, and brand image, I studied how symbolic image, functional image, and empirical image affect satisfaction mediated by trust in the online shopping malls of hypermarket retail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image and satisfaction of big box retailers' shopping malls in the online market, the study is based on analyzed data from questionnaires involving advanced research. From May 1st to 20th in the year 2014,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university students using big box retailers' shopping malls in Seoul was conducted. A total of 282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27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invalid data. Using the SPSS 21.0 statistics package,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implemented, and effects of image on trust and satisfaction were presented. Results - First, symbolic image can affect satisfaction with only trust. Among 3 image factors, symbolic image exerts the most influence on trust; trust is important in coupling the medium to satisfaction. Second, functional image and empirical image affect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rust. Conclusions - As I classified the image of hyper market retailers' online shopping malls into symbolic, functional, and empirical image, I analyzed the effects of image on trust and satisfaction empiric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and strategic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symbolic image can affect satisfaction with only trust. Among 3 image factors, symbolic image exerts the most influence on trust; trust is important in coupling the medium to satisfaction. The establishment of a distinctive symbolic image, such as the online shopping mall's loyalty, level of awareness, and special service, is needed. With the establishment of symbolic image, trust and satisfaction could be improved. Second, functional image and empirical image affect satisfaction directly and indirectly with trust. Especially, as functional image affects trust more than empirical image, setting and implementing a strategy for empirical image based on the right price, service, and convenience could raise trust and satisfaction. Empirical image affects trust and satisfaction substantially. Even though empirical image's influence on trust is lower than that of other three image factors, empirical image's influence on satisfaction is higher than symbolic image. Therefore, it requires a strategy for providing joyful use, and information research functions and distinctive use experience are important to improve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image characteristics of hyper-market retailers' online shopping malls in the fast-growing online market; future strategic implications were presented.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포장실태조사 및 포장재 종류에 따른 품질변화 (Survey on packaging status and changes in quality of tomato and paprika using different packaging types)

  • 장민선;임병선;김지강;김건희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66-173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과채류의 포장실태를 조사하고, 포장방법을 달리한 토마토 및 파프리카의 저장 중 품질변화를 측정하였다. 포장실태조사는 서울에 소재한 백화점, 대형할인 마트, 동네슈퍼마켓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주로 골판지 상자, PP, LDPE, PS, PVC 등의 재질로 포장되어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포장형태별 품질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토마토는 골판지 상자+PP film, PP film bag, 파프리카는 PP film bag, 스티로폼 tray+PVC film wrapping 형태로 포장한 후 상온저장하며 품질변화를 측정 하였다. 저장 48시간 후 포장하지 않은 토마토와 파프리카의 중량감모율이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저장 중 감소하였다. 골판지 상자로 포장한 토마토는 저장 중 가용성 고형분 함량이 유의적으로 높았던 반면, pH값은 처리구 중에서 가장 낮았으며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토마토는 골판지 상자+PP film, 파프리카는 PP film bag으로 포장한 경우 저장 중 품질유지에 효과적이었다.

재래시장 시설현대화에 따른 소비자 인식도에 관한 연구 - 목포지역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ustomers' Awareness for Modernizing the Facilities of Traditional Market)

  • 김판진;김경조;남궁석;윤명길
    • 유통과학연구
    • /
    • 제7권1호
    • /
    • pp.55-70
    • /
    • 2009
  • 본 연구는 목포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재래시장 시설현대화 이후 재래시장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와 관련한 논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들을 살펴보면 시설 현대화는 분명 대형마트에 빼앗겼던 소비자들을 재래시장으로 재유인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는 것만은 사실인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특히 재래시장 활성화에 가장 중요하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재래시장에 종사하고 있는 상인들의 의식수준의 변화는 매우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이제부터는 시설현대화 이후 재래시장에 대한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는 목포지역 소비자들을 재래시장으로 유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성공적인 재래시장 활성화는 입주상인, 상인조합, 소비자, 관계 행정 당국 등의 강력한 의지와 노력이 있어야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시장의 활성화에 있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지역경제 활성화와 상인들의 안정적인 경제활동의 지속으로 이들 모두에게 이익을 제공하고 만족을 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낮은 요인들에 대하여 불만족 감소를 위한 해결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재래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만족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

대형마트 상생품목제도 영향의 지역적 평가 (Regional Assessment of the Effect of the Win-Win Item Agreements)

  • 유병국;김순홍
    • 유통과학연구
    • /
    • 제13권10호
    • /
    • pp.93-99
    • /
    • 2015
  • Purpose - It has been argued that the regulations restricting entry and opening hours of General Super Markets and Super Super Markets have not been as effective as expected. In contrast, the win-win item scheme that appeared recently has the advantage that it could raise the effectiveness of the system in that win-win items are in principle resigned on the basis of bilateral agreements. This study analyzes the win-win item agreement made between Homeplus at Hap-jung and small traditional markets to examine the practical effectiveness of the win-win item scheme. While existing literature studying the regulatory effects have concentrated on the restrictions around store entry or opening hours of large retailers, it can be said that there have been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 of win-win items agreement with large retailer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Homeplus at Hap-jung made a win-win items agreement with nearby small traditional market traders in 2013. In accordance with this voluntary agreement, Homeplus started by limiting its sales to 15 win-win items. Th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one-on-one interviews, April 14 to May 2, 2014, by a professional public opinion research agency. The interviews were targeted at small business retailers in the nearby traditional market. We divided the traditional markets near Homeplus at Hap-jung where the win-win item agreement was achieved into two groups, win-win item agreement markets and non win-win item agreement markets, to compare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o determine the change in sales of the 15 win-win items, we examined the performanc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using two criteria (compared with similar items, and compared to sales volume a year ago). The results show that the individual sales of win-win items in the win-win item agreement markets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an in the non win-win item agreement markets. Total sales volume of individual stores in the agreement markets also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a year ago than those in non win-win item agreement markets. Conclusions - Contrary to the existing retail regulations that have one-sided and uniform characteristics, it can be pointed out that the win-win item scheme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success of the system itself because it is done on the basis of mutual agreement between General Super Markets and traditional markets.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aid to support this conjecture.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 win-win items agreement,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reviewed. First, it requires a great effort from the selection process of win-win item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agreement. Second, the existing General Super Markets customers should be introduced to the traditional markets or small shops to increase the sales of win-win items. Therefore, voluntary effort is essentially required from the traditional markets to engage customers.

유통 친환경 과실류와 과채류 중 농약잔류 실태조사 및 안전성 평가 (Monitoring and Risk Assessment of Pesticide Residues in Commercial Environment Friendly Fruits and Fruiting Vegetables)

  • 이재윤;노현호;박소현;이광헌;박효경;홍수명;김두호;경기성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08-314
    • /
    • 2012
  • 국내 유통 중인 친환경농산물 중 과채류와 과실류의 잔류농약 모니터링을 통해 친환경인증 농산물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및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서울을 포함한 전국 8개 도시 9개 지점의 대형마트와 친환경농산물 전문판매점에서 25종의 과채류와 과실류를 555점 채취한 후 acetamiprid를 포함한 245종 농약을 대상으로 GC-ECD/NPD와 HPLC-DAD/FLD를 이용한 다성분동시분석법으로 잔류농약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농약으로 추정되는 peak는 GC-MSD를 이용하여 재확인하였다. 잔류농약 분석결과 555점의 시료 중 사과를 포함한 4점의 시료에서 bifenthrin, EPN 및 chlorpyrifos가 검출되었으며, 검출율은 0.72%이었다. 농약이 검출된 4점의 시료 중 잔류량은 모두 잔류허용기준(maximum residue limit, MRL) 이내였으나 EPN이 검출된 배는 잔류량이 허용수준인 MRL의 1/20을 초과하였다. 일일최대섭취허용량(maximum permissible intake, MPI) 대비 일일섭취추정량(estimated daily intake, EDI)은 0.76% 미만이었다.

ICP-MS와 MA-2를 이용한 버섯류 유해 중금속 모니터링

  • 한창호;황광호;고숙경;김수진;김희순;김유경;박건용;김동윤;임상철;최병현;김민영
    • 한국약용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약용작물학회 2010년도 심포지엄 및 추계학술발표회
    • /
    • pp.381-381
    • /
    • 2010
  • 2010년 5월 중 서울 약령시와 서울시내 대형마트에서 유통 중인 약용버섯 및 식용버섯류 16품목 92건 대상으로 중금속(비소, 카드뮴, 납, 수은)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고시한 생약의 잔류오염물질 허용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실험하였으며, 유통 버섯류의 중금속 함유실태를 파악하고, 버섯의 안전성 기준 제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새송이버섯 등 생버섯 7종 15건에 대한 중금속 검사 결과 비소 0.01~0.26 mg/kg, 카드뮴 0~0.10 mg/kg, 납 0~0.03 mg/kg, 수은 0~0.007 mg/kg 으로 중금속 함유량이 낮았다. 상황버섯 등 11종 77건의 건조되어 식용 및 약용으로 사용되는 버섯류 중 노루궁뎅이버섯은 4건 중 2건(50.0 %)에서 카드뮴이 0.32~0.82 mg/kg으로 한약재 기준 대비 높게 검출되었으며, 상황버섯은 15건 중 5건(33 %)에서 카드뮴 0.58~0.85 mg/kg, 표고버섯은 9건 중 3건에서 카드뮴 0.42~0.74 mg/kg, 운지버섯 5건 중 1건(20.0 %)에서 1.66 mg/kg, 영지버섯 16건 중 2건(12.5%)에서 수은 0.415 mg/kg과 카드뮴 0.66 mg/kg이 분석되었다. 특히 아가리쿠스버섯은 10건 중 10건(100.0 %)에서 카드뮴(10건) 1.49~7.35 mg/kg, 수은(9건) 0.202~0.505 mg/kg으로 높은 유해중금속 함유량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PDF

친환경농산물 소비행태 조사 -대형할인마트 고객을 중심으로- (A Survey of Consumer's Consumption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al-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EFAP) -Focused on Consumers in Discount Stores-)

  • 이유시;홍미현;류경;김애정;하상도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11-123
    • /
    • 2009
  • 본 연구는 소비자들의 친환경농산물 소비 성향을 조사하여 친환경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활성화하고 친환경 농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전체의 90.4%가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알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응답자의 대부분이 방송, 언론 등을 통해서 친환경농산물의 정보를 얻는 것으로 나타났고 76.4%가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농산물 구매경험군은 주1회 구매, 구매이유는 농약 등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해서, 친환경농산물 구입비가 차지하는 비율은 월 식품비의 20% 미만, 주로 구입하는 친환경농산물의 종류는 엽채류, 과일류 순이며, 구입처는 대형할인매장과 농협직판장이었다.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가격에 대한 만족은 낮았으며, 유통상의 문제점은 생산, 제조자의 낮은 신뢰성이었다. 친환경농산물 비구매경험군의 소비행태를 조사해 본 결과 일반농산물과 비교하여 영양적 품질, 관능적 품질, 안전성에 대한 인식은 우수하다고 나타났으나 일반농산물에 비해 20-30% 정도 비싸기 때문에 가격에 대한 만족도는 낮았다. 선뢰성 확보방안으로 생산자에 대한 지도단속 강화가 가장 필요하였으며, 가격, 품질 등 문제 해결 시 93.2%가 구입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태조사 결과, 첫째는 소비자의 신뢰성을 확보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로는 소비 확대를 위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며, 마지막으로는 생산 제품의 종류 및 품목수가 다양화되기를 제언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