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충침입공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솔수염하늘소의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의 측정과 소나무 내 분포 (Measurement and Within-tree Distribution of Larval Entrance and Adult Emergence Holes of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Coleoptera: Cerambycidae))

  • 정영진;이상명;김동수;최광식;이상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315-321
    • /
    • 2003
  • 1999년부터 2002년까지 경남 진주의 소나무재선충에 의한 피해임지 내에서 고사목을 대상으로 솔수염하늘소 유충침입공과 성충탈출공 및 번데기방의 크기와 갱도길이 등을 측정하고, 소나무 내 분포를 분석하였다. 소나무 내 솔수염하늘소의 유충 침입공수는 1$m^2$당 수관부가 56.2 개인데 비해 수간부는 27.7개로서 수관부가 훨씬 많았다. 직경이 8-l0 cm인 공시목에 침입공의 27.5%와 우화공의 22.4%가 분포하였고 이보다 굵거나 가는 공시목에는 적었다. 침입공의 형태는 타원형으로 입구의 표면적은 평균 65.8$\textrm{mm}^2$ 이었다. 성충탈출공은 원형으로서 직경은 평균 7.0mm 이었다. 공시목의 표면에서 번데기방까지의 깊이는 평균 24.8 mm이었고 번데기 방의 부피는 200-2,000 ㎣이었다 성충의 탈출공은 수관부가 수간부보다 많았으며, 공시목의 직경이 8-10cm에서 22.4%로 가장 많이 분포하였다. 유충 침입공과 성충 탈출공까지의 목질부 표면에서 직선거리는 평균 3.3 cm이었으며, 침입공에서 탈출공까지의 갱도 길이는 평균 46.2 nm이었다.

솔수염하늘소 제어를 위한 소나무림 숲가꾸기의 하한(下限)시기 구명 (The Study on the Lowest Limit Time of the Tending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Forest for the Control of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 전권석;박남창;윤희탁;홍성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3호
    • /
    • pp.352-358
    • /
    • 2011
  • 소나무재선충병의 방제법 중 임업적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한 일환으로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인 솔수염하늘소가 서식처로 이용할 수 없는 소나무림 숲가꾸기의 하한(下限)시기를 구명하기 위하여 2010년 2월 국립산림과학원 남부산림연구소 진주시험림에 야외그물망 케이지(크기 $1m{\times}1m{\times}1m$)를 7개 설치하였다. 각 케이지 내에 시기별 숲가꾸기 산물(길이 1.0 m, 직경 5~10 cm)을 5~10개씩 투입한 후 솔수염하늘소의 성충 4~6쌍을 방사하여 후식시켰다. 2010년 11월 각 시료목에 출현한 유충 침입공과 유충서식유무를 조사한 바, 숲가꾸기 시기로부터 성충방사시기까지 24개월, 18개월, 12개월, 6개월 된 산물을 한 케이지 내에 함께 넣은 경우(처리 1)에는 유충 침입공은 12개월 된 산물까지 출현하였으나 유충은 6개월 된 산물에서만 출현하였다. 24개월, 18개월, 15개월, 12개월 된 시료목을 한 케이지 내에 함께 넣은 경우(처리 2)에는 유충 침입공은 18개월 된 산물까지 출현하였으나 유충은 12개월 된 산물에서만 출현하였다. 그리고 24개월, 18개월, 15개월, 12개월, 6개월 된 산물을 각 케이지 내에 독립적으로 넣은 후 건조, 습윤구로 구분하여 처리한 경우(처리 3)에는 건조구와 습윤구 모두에서 유충 침입공은 18개월, 15개월, 12개월, 6개월된 산물에서 출현하였으나 유충은 건조구에서는 15개월, 12개월, 6개월 된 산물에서 출현하였고 습윤구에서는 6개월 된 산물에서만 출현하였다. 이상의 제 결과로써 숲가꾸기한 후 24개월이 경과한 산물은 솔수염하늘소의 서식처로 이용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된다.

Anisakiasis에 대한 조사연구(調査硏究) 특히 유충(幼蟲)의 형태학적(形態學的) 구조(構造)에 대하여 (Studies on Anisakiasis Especially Morphological Studies on the Anisakinae Larva)

  • 임봉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05-112
    • /
    • 1981
  • 1980년 9월(月)부터 1981년1월(月)까지 광주시도축장(光州市屠畜)에서 도살(屠殺)된 돈(豚)에서 검출(檢出)된 Anisakidae 유충(幼蟲)과 광주시장(光州市場)에서 구입(購入)한 고등어에서 채취(採取)한 유충(幼蟲)을 사용(使用)하여 그 충체(忠體)의 계측(計測)과 형태학적(形態學的) 구조(構造)를 관찰(觀察)하여 Anisakis I 형(型)으로 동정(同定)하게 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충체(蟲體)는 골벽내(骨壁內)에 침입(侵入)하였거나 골점막면(骨粘膜面)에 부착(附着)하고 있었다. 조직내(組織內) 충체(蟲體)는 변성(變性)의 정도(程度)에 따라 그 구조(構造)의 선명도(鮮明度)에 따라 차이(差異)가 있었으며 어느 것은 명확(明確)한 구조(構造)를 나타내었으나 어느 것은 식별(識別)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변화(變化)했다. 2. 돈(豚)과 고등어에서 채취(採取)한 충체(蟲體)의 계측평균직(計測平均直)는 각각(各各) 체장(體長)이 18.0mm, 18.7mm, 체부(體副)이 0.30mm, 0.41mm, 식도(食道)가 1.64mm, 1.18mm, 위(胃)가 0.56mm, 0.67mm 미(尾)가 0.13mm, 0.12mm이었다. 선인(先人)의 보고(報告)에서 체장(體長)에 있어서 사람의 예(例)의 24.4mm와 해어류(海魚類)의 예(例)의 28.4mm의 것보다는 적었으나 돈(豚)의 예(例)의 17.5mm하고는 비슷하였다. 3. 두부(頭部)에 천치(穿齒(boring tooth)와 미부(尾部)에 소극(小棘)(Mucron)이 있고 장위(長胃), 단미(短尾), 순원 (純圓)의 미단등(尾端等)의 특징(特徵)은 단위(短尾), 장미(長尾), 염미단(炎尾端), 미단(尾端)에 소극(小棘)이 없는 Anisakis II 형(型)과 구별(區別)되었다. 위측실(胃側室)(ventricular appendix)과 장맹낭(腸盲囊)(intestinal caecum) 등(等)이 없는 점(點)은 Terranova larvae, Contracaecum larvae, Raphidascaris larvae 그리고 Thynnascaris larvae 등(等)과 구별(區別)되었다. 4. 충체(蟲體)의 단면(斷面)은 각피(角皮). 근층(筋層), 배선(背線), 복선(腹線), Y자형(字形) 또는 쌍엽상(雙葉狀)의 측선(側線), 배세선(排泄線), 장(陽)의 단층도주장토피세절구등은 Anisakis I 형(型)의 특징등(特徵等)을 나타내었고 이것들은 변성(變性)의 진행정도(進行程度)에 따라 다양(多樣)한 변화(變化)를 나타냈다. 5.이상의 형태학적(形態學的) 및 현미경적(顯微鏡的)관찰(觀察)로 미루어 Anisakis I 형(型)의 특 유충(幼蟲)이 확실(確實)히 인정(認定)되었다. 6. 한국(韓國), 일본(日本), 대만(臺灣)에서 돈(豚)에의 Anisakis I 형(型)의 자연감염(自然感染)의 예(例)는 한국(韓國), 일본(日本)에서 각각(各各) 2예(二例)가 있을 뿐이고 사람의 증예(症例) 한국(韓國)에서 2예(例)가 있고 일본(日本)에서는 1,000여예(餘例)가 보고되었고, 대만(臺灣)에서는 인(人), 축(畜) 공(共)히도 보고(報告)된 바 없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