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출구

Search Result 524,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nalysis of Regional Income Outflows through Comparing GRDP and GRNI (지역내총생산과 지역총소득 비교를 통한 소득의 역외 유출 분석)

  • Jeong, Jae-joon
    •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 /
    • v.21 no.4
    • /
    • pp.321-334
    • /
    • 2018
  • There are many factors that cause uneven regional developments in the country and one of main factors is outflow of regional income or produ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egional production runoff by comparing GRDP and GRNI in basic local governments level. In this study, GRNI of basic local governments are estimated by local income tax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GRNI is more concentrated than GRDP. The analysis of Moran I showed that the spatial autocor-relation of GRNI is more distinct than that of GRDP. Local Moran I analysis shows that spatial hot spots and cold spots are more apparent in GRNI than GRDP. Secondly, the outflows of GRDP into a small number of regions are apparent. In about 80% of basic local governments, the net outflows of GRDP occur. The large net outflow regions are cities where manufacturing industry has developed and in the 20 lowest net outflow rate regions, 70-80% of GRDP outflows. The large net inflow regions are metropolitan area in Seoul and large local cities. Seocho-gu, Yongsan-gu, and Gangnam-gu in Seoul have a large net inflows and net inflow rates are over 90% of GRDP.

A Study of Runoff change by landuse transition (토지이용변화에 따른 유출특성 변화에 관한 연구)

  • Park, Ki-Bum;Park, Eun-Young;Park, Du-Soon;Lee, Hyo-Ji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300-304
    • /
    • 2011
  • 홍수유출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는 강우량과 토지이용, 유역의 경사, 유로연장등이 있다. 이중에서도 유출시스템에 영향이 큰 요소중에 하나로서 토지이용상태가 있다. 토지이용은 불변하지 않는 값이며 매년 토지이용상태가 변화하고 있다. 특히 개발의 진행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는 현대에서 홍수유출을 산정하는데 있어 최신의 토지이용상태를 반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토지이용도는 대부분 10년이상 전의 자료를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인터넷의 발달과 인공위성 자료, 항공사진등의 정보를 구하는 수월해짐에 따라 최신의 지형 및 토지이용의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이 다양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토지이용상태를 파악하고 유출계수를 산정하여 유출특성을 비교하였다.

  • PDF

Observation of spatio-temporal soil loss in soil erosion experiment using a stereo photogrammetry technique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활용한 토조 내 토사유출의 시공간적 변화 관찰)

  • Kim, Youngchan;Shin, Sanghoon;Byun, Jongmin;Paik, Kyungroc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306-306
    • /
    • 2015
  • 기존 토사유출실험 연구는 대체로 유출구에서 유사의 총량을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측정했다. 이 같은 방식으로는 총 토사유출량의 시간적 변화는 알 수 있으나, 토사유출의 공간적 분포 변화는 알 수 없기 때문에 토사유출의 취약지점을 파악하고 이를 제시할 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도입하여 토사유출의 공간분포를 측정하고 각 지점이 총 토사유출량에 기여하는 정도를 파악하였다. 토조($2m{\times}1m{\times}0.3m$)로부터 약 1.5 m 높이에서 고해상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토조 내 표면을 촬영하였고, 입체사진측량 기법을 이용해 토조 내 수치표고모형(Digital Elevation Models)을 추출하였다. 수치표고모형 추출 과정에서는 고도값의 오차 범위를 확인하였고 격자 해상도를 다양하게 설정하면서 최적의 격자 해상도를 평가해보았다. 최종적으로 구한 일련의 수치표고모형으로부터 토사유출의 시공간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는 토조 내 토사유출 과정에 대한 보다 세밀한 이해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ssessing unit loads of nonpoint sources pollution at organic and conventional upland fields (유기농과 관행농 밭 포장에서의 비점원오염원 원단위 평가)

  • Jang, Taeil;So, Huyn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89-89
    • /
    • 2017
  • 유기농업은 저농약, 무농약, 자연농법과 함께 환경 친화적 농업으로 인식되어 세계적으로 유기농산물 생산량 및 재배면적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국내 역시 안전한 먹거리 생산과 재배환경에서의 유해물질 관리방안 구축 등이 필요한 상황이다. 자가생산 유기농자재, 가축분을 이용한 축분 퇴비와 액비, 그리고 유박 등이 유기농업에 활용되고 있으나 사용 유기농자재의 양분가용화와 양분이용효율에 따른 비점오염원 형태로 토양 및 수질에 미치는 환경영향 등의 관측과 분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밭 포장에서의 유기농업 적용에 따른 유기농과 관행농에서의 대표적 비점오염원인 영양물질(T-N 및 T-P)에 대한 원단위를 평가하는데 있다. 시험포장은 전북 순장군 순창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기질비료시비 및 관행작물(고구마)의 3반복 1처리구(경사도 $6.6^{\circ}$)와 관행농관리 및 관행작물(고구마)의 1반복 1대조구(경사도 $6.8^{\circ}$)로 구성하였다. 현장에서 강우량과 유량을 실측하였으며, 강우 이벤트 시 T-N 및 T-P의 수질항목을 샘플링 후 분석하였다. 2016년 현재까지 총 6회의 강우 이벤트가 발생하였으며, 그 중 4회의 수질 샘플링을 실시하였다. 유출률은 평균 유기농에서 32%와 관행농에서 57%로 나타났다. 이는 토지피복 및 선행강우 등의 영향으로 다양한 분포를 보여주었다. 유기농 처리구에서 수질 부하량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T-N의 경우 4.4배와 T-P의 경우 1.8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유출수의 농도 영향보다 유출량의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유기농 처리구의 경우 제초제 등의 농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조도계수가 높았으며, 유기농 처리구에서 유출량이 31% 수준으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경우 관행적으로 이루어지는 제초관리 형태를 벗어난 경우로 일반적인 결론 도출에는 한계가 있으나 유기농업 경작지에서 일반적으로 식생분포가 활발한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향후 추가적인 모니터링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유기농업 최적관리방안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된다.

  • PDF

The Study of Outflow Rate of Stair and Turnstile in Subway Station - Comparison between Measurement and Simulation (지하철 역사에서 개찰구 및 계단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 실측과 시뮬레이션의 비교)

  • Kim, Eung-Sik;Cho, Ju-Ho;Kim, Myeoung-Hu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24 no.3
    • /
    • pp.33-38
    • /
    • 2010
  • Recently commercial egress softwares are frequently used for the risk assessment. The estimation of evacuation time is an important procedure and the outflow coefficient in a bottleneck becomes the crucial factor for design of emergency planning. This paper compares the outflow coefficient of measurement with those of softwares in the bottlenecks of subway stations where masses of people movement is observed. Stairway and turnstile are the 2 bottleneck points along escape pathway. For the escape simulation it is recommended that 2 different modes be used in the programs for 2 kinds of bottleneck.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makes a big difference among them and some of differences can be reduced by correct design of input data.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simulation should be examined thoroughly by procedure of comparisons with other results.

A Study of Sewer Layout to Control a Outflow in Sewer Pipes (우수관거 흐름 제어를 위한 관망 설계에 관한 연구)

  • Kim, Joong-Hoon;Joo, Jin-Gul;Jun, Hwan-Don;Lee, J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9 no.1
    • /
    • pp.1-7
    • /
    • 2009
  • Most developed models are designed to determine pipe diameter, slope and overall layout in order to minimize the cost for the design rainfall for the optimal sewer layout. However, these models are not capable of considering the superposition effect of runoff hydrographs in the sewer pipes. The flow characteristics in the sewer pipes, such as the sewer layout, pipe diameter and slope, vary according to the design of the sewer system. In particular, when the sewer network is modified, the shapes of the runoff hydrographs in the sewer pipes also change because of the superposition effect. In this study, the sewer layout is designed to control and distribute the flows in the sewer pipes, while considering the runoff superposition effect, in order to reduce the inundation risk at each junction. This is accomplished by separating the inflows that enter into each junction by changing the way in which pipes are connected between junctions. And this model combines SWMM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to perform the hydraulic analysis for the flows in the sewer network. The current sewer layout was modified to minimize the peak outflow at outlet in Garak basin, Seoul, South Korea. As the results, the peak outflows at the outlet were decreased by approximately 20% for the design rainfall during 30 minutes and the total overflows were also decreased for the excessive rainfalls.

Analysis of Parameter Estimates for Urban Planning Area Runoff Using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을 이용한 도시계획지역 유출량 분석을 위한 매개변수 산정)

  • Koo, Youngmin;Seo, Do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3-47
    • /
    • 2016
  • 대전 관평천 유역의 도시계획에 의해 개발된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우수 관거 최종 유출부에 설치한 모니터링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수의 강우사상에 대해 연속으로 유출량 자료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는 연속적으로 획득한 유출량 자료를 바탕으로 SWMM(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보정하고 최적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를 산정하는데 있다. SWMM의 수문학적 매개변수는 기본 침투식인 Curve Number, Horton 및 Green-Ampt를 바탕으로 각각의 경우에 맞는 유역의 조도계수 및 저류 깊이를 산정하였다. 현재 도시 개발에 따른 유출변화를 모의하는데 있어 국외에서 연구된 매개변수를 적용하고 있다. 번 연구에서 구한 매개변수는 향후 도시개발에 따른 유출 변화를 SWMM을 이용하여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evelopment of Grid-Based Distributed Runoff Model in Urban Area (격자기반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모형의 개발)

  • Ryu, Hee-Sang;Kim, Mun-Mo;An, Won-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759-763
    • /
    • 2010
  • 본 연구는 격자기반의 지표면 유출 및 도시 유역 우수관거 유출해석모형으로서 유역을 관거 유입구를 기준으로 다수의 소유역들로 구분하고 각 소유역내 지표면 흐름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하여 유출량을 산정하는 방법 및 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분할한 상태에서 각 격자의 유입 유출을 계산함으로써 주어진 시간 간격별로 유역 전체에 대한 물수지를 파악하는 격자 물수지식을 이용하는 방법을 결합하여 도시유역의 지표면 유출량을 산정하기 위한 격자기반의 분포형 지표면 유출해석 모형을 개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출모형은 지표면 유출의 메카니즘을 비선형저류방정식으로 표현한다는 점에서 SWMM의 방법을, 격자기반으로 유출량을 계산 추적한다는 것이다. 또한 도시지역의 침수형태 및 원인을 파악함과 동시에 기존의 도시유출 해석모형을 일부 수정 및 보완하여 집중호우발생시의 지표이동류 흐름, 폐합형 우수관거, 하류부의 배수영향 등을 고려한 우수관거 유출모델을 개발하였다. 본 모형을 이용하여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모의를 수행함으로써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기반 도시유출해석모형은 대상유역을 일정한 크기의 격자로 구성하고 개개의 격자마다 유출해석을 위한 지형정보와 수문정보를 입력하여 격자별 유출량을 계산 추적함으로써 유역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유출량, 유출심의 시간적 변화와 공간적인 분포를 모의할 수 있다. 가상 및 실제 유역에 대한 유출해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은 이동강우나 국지적인 집중호우 등 시공간적으로 변하는 수문 특성을 반영할 수 있고, 폐합형 우수관망 해석 및 하류부 배수효과를 검토하여 도시유역의 홍수방재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 Preliminary Study for the Prediction of Leaking-Oil Amount from a Ruptured Tank (파손된 기름 탱크로부터의 유출양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

  • Kim Wu-Joan;Lee Young-Yeo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4 no.4
    • /
    • pp.21-31
    • /
    • 2001
  • When an oil-spilling accident occurs at sea, it is of the primary importance to predict the amount of oil leakage for the swift response and decision-making. The simplest method of oil-leakage estimation is based on the hydrostatic pressure balance between oil inside the tank and seawater outside of leakage hole, that is the so-called Torricelli equilibrium relation. However, there exists discrepancy between the reality and the Torricelli relation, since the latter is obtained from the quasi-steady treatment of Bernoulli equation ignoring viscous friction. A preliminary experiment has been performed to find out the oil-leaking speed and shape. Soy-bean oil inside the inner tank was ejected into water of the outer tank through four different leakage holes to record the amount of oil leakage. Furthermore, a CF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thod was utilized to simulate the experimental situation. The Wavier-Stokes equations were solved for two-density flow of oil and water. VOF method was employed to capture the shape of their interface. It is found that the oil-leaking speed varies due to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the leakage hole passage dependent on its aspect ratio. The Torricelli factor relating the speed predicted by using the hydrostatic balance and the real leakage speed is assessed. For the present experimental setup, Torricelli factors were in the range of 35%~55% depending on the aspect ratio of leakage holes. On the other hand, CFD results predicted that Torricelli factor could be 52% regardless of the aspect ratio of the leakage holes, when the frictional resistance of leakage hole passage was neglected.

  • PDF

Assessment of Nutrient Losses in Different Slope Highland Soils Amended with Livestock Manure Compost (경사도와 축분 부산물비료 시용에 따른 고랭지 밭의 양분 유실량)

  • Joo, Jin-Ho;Lee, Seung-Been
    •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 /
    • v.44 no.3
    • /
    • pp.361-367
    • /
    • 2011
  • Soil fertility of alpine soils in Gangwon-Do has been deteriorating because of heavy input of chemical fertilizers for intensive crop production. To reduce application of chemical fertilizers, use of livestock manure compost in alpine soils increases consistently. Soil loss and runoff due to heavy rainfall in alpine area cause nutrient loss from soil, and subsequently pollute stream water.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nutrient efficiency and loss in Chinese cabbage cultivated soil with different livestock manure composts in several slopes. As control, chemical fertilizer was applied at the rate of $250-78-168kg\;ha^{-1}$ for $N-P_2O_5-K_2O$. Each pig-and chicken manure compost was applied at the rate of $10MT\;ha^{-1}$. Chemical fertilizer + chicken manure compost was applied as same rate. Four treatments was practiced in 5, 20, and 35% filed slopes, respectively. We monitored the amounts of soil loss and runoff water after rainfalls, and we also analyzed the contents of nutrients in soil and runoff water through lysimeter installed in alpine agricultural institute in Gangwon-Do. T-N loss due to soil loss was much greater with increasing filed slops rather than different fertilizer treatments. T-N los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eld slopes, which showing soil loss (MT/ha) = 1.66 slopes (%) - 3.5 ($r^2$ = 0.99). Available phosphate and exchangeable cations showed similar tendency with increasing slopes. T-N and T-P losses caused by runoff water were highest in chemical fertilizer (NPK) + chicken manure compost treated plot, while lowest in chemical fertilizer treatment. T-N contents (2.13, 1.95%) in chinese cabbage treated either pig and chicken manure composts compared to that (2.65%) of chemical fertilizer were significantly less. This could be resulted from much greater T-N loss in soil treated with pig and chicken manure com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