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채색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014초

칼라 정지 영상에 적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for Color Still Images)

  • 김희수;이호영;하영호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8B호
    • /
    • pp.1161-1167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칼라 영상에 대한 인간 시각 특성과 무채색으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칼라 정지 영상에 효과적으로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워터마크는 이진 워터마크를 사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인간 시각 체계 특성에서 무채색(achromatic) 신호보다 유채색(chromatic) 신호에 대한 변별력이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입·출력 장치로 획득된 RGB 좌표계의 칼라 정지 영상을 무채색 성분과 유채색 성분으로 완벽히 분리되는 다른 좌표계로 변환하여 워터마크를 유채색 포화도 성분에 삽입한다. 워터마크를 검출하는 과정은 원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유채색 포화도 성분의 변경 형태를 추정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검출 가능하였다. 실험 결과 특히 비가시성 특성 부분에서는 기존 방법들과 비교할 때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강인성 또한 좋은 결과를 얻었다.

  • PDF

채색 분리를 이용한 그림 영상에서의 색변환 기법 (Color Transfer in Painting Images Using Separation of Saturation)

  • 곽정민;박찬우;문영식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7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4 No.2 (C)
    • /
    • pp.505-509
    • /
    • 2007
  • 색 변환(Color Transfer) 기법은 컴퓨터 비전 및 영상 처리 분야에서 점점 더 많은 연구가 되고 있는 분야이다. 이는 참조 영상의 분위기를 원본 영상에 반영하는 기법이다. 본 논문에서는 채도가 낮은 색상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연산 결과를 해결하기 위해 채도 문턱치에 따라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여 인덱싱 하고, Lab색 모델에서 색상 채널인 a, b를 사용하여 그림 영상에서의 색 변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영상의 화소들의 채도 문턱치를 이용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분류하는 단계, 분류된 화소들의 색 특성을 이용한 cylindrical metric를 이용한 인덱싱 하는 단계, 각 인덱스 내의 위치적 표준편차와 화소수를 이용하여 인덱스들의 우열을 가리는 단계, 인덱스들의 우세한 순서로 Lab 색 모델에서 a 채널과 b 채널을 이용하여 색 변환하는 단계 등 4단계로 구성된다. 실험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무채색과 유채색이 잘 분류되어 인덱싱 되었음을 보이고 원본 영상의 색이 참조영상의 색으로 잘 변환된 것을 보인다.

  • PDF

색차 정보를 이용한 디지털 워터마킹 (Digital Watermarking Using Color Difference)

  • 김희수;하영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5권1호
    • /
    • pp.118-12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인간 시각 체계(human visual system) 특성과 DCT 계수 분포 특성을 이용하여 칼라 정지 영상에 효과적으로 워터마크 신호를 삽입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일반적으로 인간 시각 체계 특성에서 무채색(achromatic) 신호보다 유채색(chromatic) 신호에 대한 변별력이 떨어지는 특성을 이용하여 입·출력 장치로 획득된 RGB 좌표계의 칼라 정지 영상을 무채색 성분과 유채색 성분으로 완벽히 분리되는 다른 좌표계로 변환하여 워터마크를 유채색 신호에 삽입한다. 워터마크를 검출하는 과정에서 원영상을 사용하지 않고 DCT 계수들간 고유한 특성을 이용하여 삽입된 워터마크를 추출하였다. 칼라 정지 영상을 실험한 결과 특히 비가시성 특성 부분에서 기존 방법들과 비교할 때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채색 분리 기반의 색 변환 기법 (Color Transfer Method Based on Separation of Saturation)

  • 곽정민;김재협;문영식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5권3호
    • /
    • pp.149-159
    • /
    • 2008
  •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영상의 분위기를 전환하고자 할 때, 영상의 분위기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 하나인 색을 이용하여 영상이 가지는 분위기를 변환한다. 색을 변환할 때, 국부적인 색상의 특징을 반영하기 위해 입력 영상의 화소에 대하여 색인을 하는데 낮은 채도 상에서는 색상의 식별력 저하로 인해 부적절한 색인의 색상 항목으로 색인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유채색과 무채색을 분리하여 처리함으로써, 낮은 채도 상에서의 잘못된 색인이 일어나지 않도록 제한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채도의 문턱치를 이용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을 구분하는 단계, 구분된 화소들을 실린드리컬 거리(Cylindrical metric)를 이용하여 11가지 색상 항목(Index color)으로 색인을 하는 단계, 각 색상 항목의 우선순위 결정하고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는 단계, 마지막으로 Lab 색 공간에서 색을 변환하고 영상의 잡음과 의사 윤곽선(pseudo-contour)을 제거하기 위한 후처리 단계의 4단계로 구성된다. 실험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기법은 낮은 채도 상에서도 유채색과 무채색이 잘 분리되어 색인이 되었으며 원본 영상의 색이 참조 영상의 색으로 자연스럽게 변환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대 패션에 나타난 무채색과 유채색 코디네이션 특성 - 파리, 밀란, 뉴욕, 런던 컬렉션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In Current Women's Fashion -Centered on the Collections of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 권혜숙
    • 패션비즈니스
    • /
    • 제12권4호
    • /
    • pp.73-87
    • /
    • 2008
  •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of contemporary female fashion by reviewing 'pre-a-porter Collections' of four collections (i. e. cities) - Paris, Milan, New York, London - from the periods of 2002 S/S to 2006/7 A/W. The data was collected by reviewing 'pre-a-porter Collections' magazine and total 677 observations were made. Statistical analysis of frequency and also qualitative interpretation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characteristics were completed. The main findings were; (1) The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was identified as one of most used color coordination in contme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2) Black and white mainly used for achromatic color, and brown used the most often, then followed by blue, red, yellow, green and the others for chromatic color in achromatic & chromatic coordination of contmeporary women's fashion collections. (3) The characteristics of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of modern women's fashion collections from 2002 S/S to 2006/07 A/W showed various images according to chromatic colors and tone variation. The combination of achromaticand brown color variations produced an intelligent and sophisticated image. The soft or light chromatic color and chromatic color combination projected soft, feminine and subtle feeling, while the combination of vivid or strong chromatic color and achromatic color projected a clean and strong feeling through contrasting tones of clear and bright colors. The chromatic color of deep or dark tone and black combination demonstrated supernatural and gloomy image. (4)In all four collections, Paris showed most use of two color coordination and then followed by Milan, N.Y, and London. N.Y showed higher rate of using achromatic & chromatic color coordination, and then followed by Paris, London and Milan.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Based on Primary Color Selection Considering Lightness)

  • 박태용;조양호;이명영;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5호
    • /
    • pp.77-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64개 기준색을 사용한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에서 나타나는 밝은 영역에서의 색 자극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벡터 오차 확산법은 양자화 과정에서 입력 벡터와 기준색 벡터간의 기하학적 거리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기준색이 선택되는 색 자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의 채도를 계산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고, 유채색일 경우 입력 벡터의 휘도를 이용하여 밝은 영역, 중간 밝기 영역,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한다. 밝은 영역일 경우 60개 유채색 기준색중에서 입력 벡터와의 휘도차가 작은 N개의 후보 기준색을 구성한다. 최종 기준색을 선택할 때는 N개의 후보 기준색과 4개의 무채색 기준색중에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와의 최소 기하학적 거리를 가지는 기준색을 출력색으로 결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자은 영역에서 색 자극이 줄어들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결과를 보였다.

도서관 주간 포스터의 표현 방식에 대한 선호도 분석 (Analysis of the Preference in Expression Style for the Library Weekly Poster)

  • 임성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85-106
    • /
    • 2021
  • 본 연구는 1964년부터 57년 동안 이어진 도서관 주간의 공식 포스터 31개의 표현 방식 중 문자 레이아웃 형식과 색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시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것을 밝혀 향후 포스터 제작의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포스터 표현 형식을 분석한 결과 문자 레이아웃은 '문자의 상단 위치'가 13개(41.9%)로 가장 많았고, 색채에서 색의 분류는 '유채색'이 30개(96.8%), 색의 온도감은 '한색'과 '후퇴색', '수축색'이 각각 18개(58.1%)로 가장 많았다. 이어서 설문조사 분석 결과 문자(표어) 레이아웃의 경우 '상단 위치'를, 색의 분류에서는 '유채색'과 '한색', '진출색'과 '팽창색'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도서관 주간 포스터의 문자 레이아웃은 '문자의 중심 위치'에, 색은 '유채색'과 '난색', '진출색'과 '팽창색'을 활용해 제작할 필요가 있다.

유채색과 무채색 배색에 따른 체크무늬의 의복이미지 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Image of Checked Pattern according to Coloration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 최수경
    •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33-143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image according to gender, coloration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16 color pictures, in which the gender(male, female), interval(0.5cm, 1.5cm, 3.5cm, 5.5cm), and coloration(WR: white+red, WY: white+yellow, WB: white+Blue, WP: white+purple) were manipulated. The 7-point scale was used for evaluation of clothing image. Data were obtained from 192 male college students and 192 fe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Seoul, Gwangju, Daegu, Jinju, and Changwon on March 2010. For data analysis, ANOVA and Duncan-test were used by using SPSS program.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Clothing image according to coloration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 and interval of checked pattern consisted of six dimensions of attractiveness, appeal, activity, freshness, modesty, and cuteness. Gender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appeal, activity, freshness, and cuteness. Interval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ttractiveness. Coloration showed an independent effect on appeal, activity, freshness, modesty, and cuteness. Also, interaction effects of gender and coloration on freshness and cuteness were found.

  • PDF

무채색과 유채색의 면적비 변와에 따른 스트라이프 패턴의 넥타이 이미지 연구 (A Study on Necktie Image of Striped Pattern according to Area-Ratio Variation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 성남숙;최수경
    • 복식
    • /
    • 제59권4호
    • /
    • pp.67-81
    • /
    • 2009
  •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1:2:3 area-ratio variation of stripe necktie, and gender on the image of male wearer.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consist of 84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every combination of 12 different colors and 7 different area-ratio. The 7-point scale designed for visual evaluation of image formation included 26 bipolar adjectives. The subjects were 2016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nam, Seoul, Busan, and Daegu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alyses of images of male wearer in terms of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I :2:3 area-ratio variation of oblique stripe necktie reveal that the concerned factors are of five characteristic dimensions of youth-activity, ability, attractiveness, appeal, and warmnes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individual images of male wearer are affected by observer's gender as well as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1:2:3 area-ratio variation of stripe neckties and that those images vary with every combination of each factor.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sources in developing necktie designs.

무채색 셔츠와 유채색 타이의 배색이 남성 패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chromatic Shirt and Chromatic Tie Combination on Image of Menswear)

  • 임지영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1007-1019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chromatic shirt and chromatic tie combination on image of menswear. This experiment was designed by shirt color(N9, N7, N4, N2), tie color(red, orange, yellow, green, blue, purple), tie tone(vivid, light, dull, dark), and perceiver gender(a male, a female).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were a set of stimulus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were 96 upper body photographs and 26 7-point bi-polar adjectives were used to evaluate the image.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480 male and 480 female college students. The data was analyzed by using SPSS program. Analysis methods were four-way ANOVA. The items of the adjectives were classified into 4 image factor: potency, activity, attractiveness, and visibility. Shirt color, tie color, tie tone influenced on the 4 image dimension greatly by interaction as well as independently. Dull or dark tone tie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potency image. And white color shirt, vivid or light tone tie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activity image. White or black shirt had a positive effect on attractiveness, and black shirt or vivid tone tie was effective for visible im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