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Necktie Image of Striped Pattern according to Area-Ratio Variation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Sung, Nam-Suk (Dept. of Silk & Fashion, Hankuk National University)
Choi, Su-Koung (Dept. of Beauty & Care, Masan College)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9, no.4, 2009 , pp. 67-8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characterize the effect of different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1:2:3 area-ratio variation of stripe necktie, and gender on the image of male wearer. The experimental materials developed for this study are a set of stimuli and response scales. The stimuli consist of 84 color pictures manipulated with every combination of 12 different colors and 7 different area-ratio. The 7-point scale designed for visual evaluation of image formation included 26 bipolar adjectives. The subjects were 2016 undergraduate students in Gyeongnam, Seoul, Busan, and Daegu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nalyses of images of male wearer in terms of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I :2:3 area-ratio variation of oblique stripe necktie reveal that the concerned factors are of five characteristic dimensions of youth-activity, ability, attractiveness, appeal, and warmness. In addition, it has been found that individual images of male wearer are affected by observer's gender as well as combinations of chromatic-achromatic colors and 1:2:3 area-ratio variation of stripe neckties and that those images vary with every combination of each factor. The study results are highly expected to be used as useful sources in developing necktie designs.
Keywords
necktie image; striped pattern; chromatic and achromatic; area-ratio vari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박은정, 홍지원 (2003). 체형을 고려한 맞춤형 넥타이에 관한 연구(제1보)-넥타이 길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7(11), pp. 1198-1207
2 박순천, 이순홍 (2002). 중년남성 수트 디자인 요소에 따른 이미지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10(6), pp. 697-708
3 박영희 (2004). 남성복에 나타난 문양의 감성이미지와 선호도. 복식, 54(4), pp. 113-127   과학기술학회마을
4 吉岡 澈(1990). 縞柄の2色配色におけろイメ-ヅ計量. 纖維製品消費科學誌, 31(5), pp. 250-262
5 강경자, 문주영 (2004).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미여대생의 자각 반응 연구(제3보)-유채색과 무채색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8(7). pp. 962-973
6 임지영 (2007). 컨트라스트 배색조화에 영향을 미치는 색과 톤의 영향-남성복 셔츠와 타이를 중심으로-. 한국의류산업학회지, 9(4), pp. 373-379
7 林知己夫, 相馬一郞, 富家直, 近江源太郞, 矢部和子(1975). 配色の調和に及ぼす面積比の効果. 日本心理學會, 第39回 大會
8 橋本令子, 加藤雪江 (1991). 被服着裝狀態におけろ縞炳面積と配色効果 - 2色配色と3色配色. 日本家政學會誌, 42(2), pp. 1073-1083
9 이은미, 강혜원. 앞의 책, pp. 197-210   과학기술학회마을
10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과학기술학회마을
11 임지영, 강경자. 앞의 책, pp. 637-645   과학기술학회마을
12 강경자, 임지영. 앞의 책, pp. 753-768   과학기술학회마을
13 선향란 (1992). 넥타이에 사용된 직물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7
14 최유진, 이명희 (2004). 남성의 재킷, 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 지각과 선호도 연구. 복식, 54(6), pp. 131-140   과학기술학회마을
15 최은영 (1995). 무늬의 크기, 배열, 명도대비에 따른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격자무늬와 물방울 무늬를 중심으로-. 복식, 24, pp. 193-204
16 강경자, 임지영 (1996). 넥타이의 색과 무늬가 남성복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0(5), pp. 753-768   과학기술학회마을
17 조진숙 (1993). 추동복 정장양복과 콤비의 색채 및 직물문양에 관한 연구-성인 남성의 연령별 신체적 조건 및 직업에 따른 선호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1), pp. 193-210
18 Horn. M, & Gurel. L.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p. 1
19 Pastoureau, M. (2003). The Devil's Cloth, A History of Stripes, New York: Washington Squre Press, pp. 81-110
20 최유진, 이명희 (2004). 남성의 재킷, 셔츠, 넥타이 색의 이미지지각과 선호도 연구. 복식, 54(6), pp. 131-140
21 김혜수 (2002). 스트라이프에 내재된 리듬 특성과 복식디자인을 위한 자원화 방법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41-243
22 남미우, 강혜원 (1994).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의 연령이 남자 의복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18(3), pp. 311-326   과학기술학회마을
23 納谷嘉信 (1973). 色彩の心理效果. テレビヅヨソ(編), 測と色彩心理, 日本放送出版協會
24 클리포드 홍보팀 (2007). The Necktie & Shirt. 성남:(주) 클리포드 홍보팀, p. 10
25 선향란. 앞의 책, pp. 27-35
26 이영진, 정해진, 박희주, 이주현, 조길수 (2002). 블록스트라이프 패턴의 디자인요소가 감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감성과학회지, 5(3), pp. 21-28
27 이은미, 강혜원 (1994). 의복단서 및 착용자 연령이 인상형성에 미치는 영향-남성정장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8(2), pp. 197-210   과학기술학회마을
28 강경자, 임지영. 앞의 책, pp. 753-768   과학기술학회마을
29 남미우 (1992). 상황, 의복단서 및 관찰자변인이 남자 착용자의 인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7
30 이혜숙, 김재숙 (1996). 의복디자인 요소의 이미지 지각에 대한 연구-색. 무늬를 중심으로 한 심층면접. 복식문화연구, 4(3), pp. 349-359
31 임지영, 강경자 (2006). 셔츠와 넥타이의 톤 온 톤 배색에 대한 조화감 연구-한난색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3(4), pp. 637-645   과학기술학회마을
32 이효진, 김주연 (2003). 넥타이에 반영된 현대 패션 트랜드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학회 춘계학술대회지, p. 65
33 橋本令子, 加藤雪江 (1991). 被服着裝狀態におけろ縞炳面積と配色効果 - 2色配色と3色配色. 日本家政學會誌, 42(2), pp. 1073-1083
34 클리포드 홍보팀. 앞의 책, p. 15
35 이은미, 강혜원. 앞의 책, pp. 197-210   과학기술학회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