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지관리 우선순위

Search Result 164,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Basic Study for Development of Risk Based Bridge Maintenance Priority Decision Model (위험도기반 교량 유지관리 우선순위 선정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Kim, Dongiin;Lee, Minjae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 /
    • v.18 no.2
    • /
    • pp.108-116
    • /
    • 2017
  • It is expected that the maintenance cost of domestic bridges will increase considerably due to the increase of bridge service time. In response to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and relevant ministries are focusing on developing ways to efficiently allocate limited budgets and to rationally select maintenance bridge. In this study, to develop a risk - based bridge maintenance priority decision model, 14 common risk factors causing damage to bridges were extracted and AHP analysis was performed to select 5 important factor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consultation, we derive the evaluation criteria and the impact weights of the selected factors, and based on this, I presented risk based bridge maintenance priority model. Using this model in combination with existing maintenance priority methods will lead to more reasonable bridge maintenance priorities.

Improvement of the Priority Index for Choice between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s of Dam and River Facilities (댐·하천 시설물 보수·보강공법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지수 산정식 개선방안 연구)

  • Kim, Dong Hyun;Youn, Hee Jung;Yoo, Hyung Ju;Lee, Seung Oh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234-234
    • /
    • 2021
  • 국내 기반시설의 대부분은 1970년대 경제성장기에 건설되어 사용연수가 30년 이상 경과하였고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 중이다. 1990년대 성수대교와 삼풍백화점의 붕괴는 시설물 유지관리의 중요성에 대한 전국민적 관심을 집중시켰고, 이에 정부는 1995년 「시설물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다양한 정책 및 기준을 수립해왔다. 일반적으로 안전점검 및 정밀안전진단 등을 수행하여 시설물의 안전등급을 평가하고 결함에 대한 보수·보강을 실시하여 시설물을 유지·관리하고 있다. 그러나 유지관리 예산은 한정적이기 때문에 모든 결함에 대한 보수·보강 사업을 실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보수·보강 조치의 우선순위를 선정하는 것이 필요하며, 관련 법령 세부지침에는 부재의 중요도, 결함의 심각성, 경제성을 고려한 우선순위지수(PI, Priority Index)를 제시하고 있다. 이 식은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 의해 영향도를 50~100%범위 안에서 조정할 수 있으며, 일부 특정 부재는 동일한 가중치가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결정적으로 보수보강을 통한 효과를 효율적으로 고려하지 못하고, 대부분 경제성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한계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몇 가지 사례분석을 통해 현재 우선순위지수에 대한 문제점을 고찰하고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우선순위 산정식(PI)을 제시하였다. 과거 유지관리 시행 초기에는 보수보강 사례가 부족하였지만 현재는 수십년간의 축적된 자료를 바탕으로 제시된 산정식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보수보강 효과를 정량화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수행된다면 더욱 경제적인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산정할 수 있을 것이며 노후화된 기반시설 유지관리방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Packet Scheduling Algorithms that Support Diverse Performance Objectives in Enterprise Environment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다양한 서비스 요구사항을 지원하는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 Kim, Byoung-Chul;Kim, Tai-Yun
    • Journal of KIISE:Information Networking
    • /
    • v.27 no.3
    • /
    • pp.315-322
    • /
    • 2000
  • 네트워크에서 QoS를 보장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되는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대부분 우선 순위에 입각한 패킷 전송 서비스를 한다. 이러한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한 큐의 관리에는 많은 비용이 들므로 QoS를 보장하는 네트워크에서 우선 순위 큐의 관리 비용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 중 RPO+(Rotate Priority Queue)는 우선 순위 FIFO(First in first out)큐를 사용하여 주기 적으로 재명명되는 패킷 스케줄링 알고리즘이다. FIFO 큐에 패킷들을 근사 정렬하여 패킷의 우선 순위를 유지하므로 계산 복잡도를 줄이지만, 패킷 우선 순위를 유지하기 위해 2배(2P)의 큐를 필요로 한다.[1] 본 논문에서는 필요한 큐의 개수를 P개의 큐로 제한하여 큐에 대한 관리 비용을 줄였으며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요구하는 서비스 특성에 따라 클래스로 구분하여 적합한 패킷 스케줄링 서비스를 제공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본 기법은 추가적인 오버플로우 큐를 관리하고 패킷 어드미션 컨트롤러를 통해 패킷 전송 지연 시간을 제한함으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QoS 요구를 보장하고 패킷 전손 효율을 높였다.

  • PDF

C4I Maintenance Priority Decision using fault analysis methods (결함분석 기법을 활용한 C4I체계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 선정)

  • Kim, Kiwang;Kang, D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7.07a
    • /
    • pp.25-28
    • /
    • 2017
  • 네트워크 중심전에서 C4I체계의 안정적 운용을 통한 전장에서의 정보우위 달성을 위해 체계의 신뢰성 확보가 필요하여 각 군 C4I체계는 외주 용역업체를 통해 유지보수를 수행 중에 있다. 유지보수는 C4I체계의 수명 주기 중 가장 오랜 기간을 차지하고 있으며 결함 데이터 등의 실증적인 자료를 확보할 수 있는 기간이다. 따라서 유지보수 기간 중 수집한 결함 데이터를 결함분석기법을 통해 분석(치명도, 발생빈도)하고, 주요기능별 활용도를 이용하여 C4I체계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 선정기법을 제안한다. 이 후 제안 기법을 해군 C4I체계의 군적용 사례연구를 통해 유지보수 관리 우선순위를 선정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제한된 자원(예산, 인력, 시간 등)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판단의 근거로 사용이 가능함을 보인다. 뿐만 아니라 체계화된 결함분석과정을 통해 축적된 자료를 활용하여 유지보수의 연속성 보장과 향후 성능개량사업간 시스템 분석의 참고자료로 활용함에 따라 궁극적으로 C4I체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PDF

Review of the Priority Index for Selection between Repair and Reinforcement Methods of Dam Facilities (댐 시설물 보수·보강공법 선정을 위한 우선순위지수에 대한 고찰 )

  • Dong Hyun Kim;Hyung Jun Park;Hee Jung Youn;Seung Oh Le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7 no.3
    • /
    • pp.1-11
    • /
    • 2023
  • After the collapse of the Seongsu Bridge in the 1990s in Korea, attention was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various policies since the enactment of the Act in 1995 until recently. In general, safety inspections are performed to evaluate the safety grade of facilities, and facilities are maintained and managed by performing repairs and reinforcements for defects. However, since the budget is limited, it is impossible to carry out repair and reinforcement projects for all defects. It is necessary to prioritize repair and reinforcement measures. Then, the priority index (PI) is presented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members, the seriousness of defects, and economic feasibility. In this index, the degree of influence can be adjusted within the range of 50 to 100% according to the expert's subjective judgment, and the same weight is set for some specific members. Also, the effect through repair and reinforcement is not taken into account decisively, and most of them have a limit in which priority is determined by economic feasibility. Therefore, in this study, through several case studies, problems with the priority index were reviewed and an equation was presented to improve them.

Suggestion of Priority Decision Method for Performance Evaluation Based on Risk Index for Small and Medium Sized Bridges (위험도 지수 기반 중소규모 교량 성능평가 우선순위 결정 방안 제안)

  • Lee, Hee-Hyun;Shin, Byoung-Gil;Lee, Yeong-Il;Kim, Young-Min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 /
    • v.23 no.6
    • /
    • pp.70-76
    • /
    • 2019
  • This paper presents a methodology for priority decis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of small-and-medium-sized highway bridges. This methodology could be used for establishing a maintenance strategy of those bridges which are not liable to the law of the Special Act on the Safety Control and Maintenance of Establishments and are thought laid under blind spot. The risk index are calculated considering vulnerability and social influence, then the bridges are classified as three types, one requiring immediate evaluation, the other one requiring evaluation within next year, and the third one observing, according to the index. The suggested method was applied to a small bridge under service and its field applicability verified. From this study, it was judged that this methodology could be used appropriately for establishing maintenance strategy and saving the maintenance budget.

Bridge Scour Prioritization and Management System (I) - System Development - (교량세굴 위험도 결정 및 유지관리 시스템 개발(I) - 시스템 개발 -)

  • Kwak, Kiseok;Park, Jae Hyun;Chung, Moon Kyung;Woo, Hyo Seop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26 no.2B
    • /
    • pp.187-195
    • /
    • 2006
  • A bridge scour management system is developed to evaluate the vulnerability of bridge piers to scour and to help establish effective disaster measures, taking into account the locality and scour characteristics in Korea. This system is programmed using the techniques of the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GIS) for the storage, retrieval, and display of information regarding to bridge scour. The system functions are basically divided into two parts; prioritization and maintenance. Bridges are initially screened and prioritized for bridge scour inspection and evaluation using the basic information which is obtained from the office review. The bridge scour evaluation including site investigation is performed and the vulnerability of bridge piers is categorized into six groups taking into account the local scour depth, foundation bearing capacity, foundation type, foundation depth, and present scour condition. The system tabulates and plots all the data and the results.

Watershed priority evaluation for water circulation management (물순환 관리를 위한 소권역 우선순위평가)

  • Kim, Seokhyeon;Kim, Sinae;Gwak, Jihye;Lee, Hyunji;Kim, Hakkwan;Kang, Moon-S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9-499
    • /
    • 2022
  • 급격한 도시화와 이로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는 유역의 물순환을 왜곡시키고 있다. 직접유출의 증가와 침투량 감소로 이어지며 이는 지하수 함유량의 감소와 하천건천화를 유발한다. 환경부는 더 이상의 물순환 왜곡을 막기위해 물환경보전법상의 물순환율을 정의하고 물순환 관리목표를 설정하였으며, 제3차 강우유출 비점오염원관리 종합대책에서 물순환 사업 추진을 위한 소권역 별 우선순위산정을 과제로써 제시하고 있다. 대표적인 물순환 사업은 저영향개발기법 설치이다. 저영향 개발기법은 토지 및 공간을 이용해야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높고 위치선정에 제약이 많으며 유지관리도 어렵다. 이에 물순환 사업에는 단순 불투수면 뿐만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하여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물순환 우선순위를 산정하기위해 불투수면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적 요소까지 고려한 종합적인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유역 물순환 평가를 위해 PSR framework을 이용하였다. PSR framework는 OECD가 개발한 지속가능성 평가 개념이며, Pressure, State, Response 세 가지 요소로 구분해 평가하게된다. PSR framework의 기본 개념은 인간의 활동들이 환경에 압력 (P)를 주고, 이로 인해 자연의 질과 영향 (S)을 미치며, 이에대한 회복을 위해 인식과 행동을 통해 정책과 제도 등을 통해 반응 (R)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PSR framework의 평가요소 Pressure는 불투수면 및 강우, State는 물순환, 하수관거, 수질, 수생태계, Response는 협력, 인식, 재정, 토지로 구분하여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불투수면적 감축 대상 소권역('30년 무대책 불투수면적률 25% 이상)소권역에 대하여 최종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 PDF

Applicability Estimation of LID Techniques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평가)

  • Yeon, Jong Sang;Kim, Eung Seok;Shin, Hyun Suk;Jang, Young s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444-444
    • /
    • 2015
  • 현제 도시유역의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해 유역 내 불투수면적의 증가는 직접 유출량 증가, 지하수자원 고갈, 침투량 감소, 증발산량의 감소 등의 물 순환 체계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러한 도시 유역 내 물 순환 체계 변화를 개선하기 위해 여러 국가에서 저영향개발(Low Impact Development, LID)의 개발 및 도입이 진행되고 있다. LID는 분산형 빗물관리 시설로써 유역 내 소규모의 LID 요소기술을 대상유역에 적용하여 강우유출수를 저류, 체류, 방지 및 처리하는 시설을 의미한다. LID는 궁극적 목표로 계획단계에서 개발이전의 수문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보전, 영향최소화, 유출이동시간 유지, 추가유출량 감소, 오염발지에 초점을 맞추어 계획된다. 현제 LID의 성능 및 적용성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해되어지고 있으나, LID 요소기술별 시공 비용, 유지관리 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다양한 인자를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LID요소기술별 적용성 평가를 수행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ID 요소기술 중 나무화분 여과장치, 옥상녹화, 빗무정원, 투수성포장, 침투트렌치, 빗물통, 식생수로 등의 총 7가지 LID 요소기술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시공비용, 유지관리비용, 강우유출수 저감효율, 비점오염원 저감효율, 적용위치 등의 촐 5가지 평가인자를 Entropy 방법을 이용하여 평가인자별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후 다기준의사결정 방법 중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의 우선순위를 산정하였다. 현제 PROMETHEE 방법을 이용하여 LID 요소기술별 우선순위를 산정한 결과 옥상녹화가 첫번째 우선순위로 분석되었으며, 침투트렌치, 나무화분여과장치, 투수성포장, 식생수로, 빗물통, 빗물정원 순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국내에 LID를 적용할 경우 옥상녹화, 침투트렌치, 나무화분 여과 장치 등의 LID 요소기술의 적용성 및 기대효과가 클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국내의 모든 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있으며, 국내 LID 요소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대상지역별 신뢰도 높은 LID 요소기술 적용성 평가를 위해서는 대상유역 내 시공된 LID 요소기술을 계측하여 비점오염원 및 우수유출수 저감효율, 시공 비용, 연간 유지관리 비용을 분석하여 평가를 수행되어 한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