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지관리표준안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9초

SPI를 위한 SPA의 모델링 및 결함 연관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 Modeling and Defect Relation Analysis for SPI)

  • 박정환;이은서;장윤정;이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2)
    • /
    • pp.4-6
    • /
    • 2002
  • 최근 소프트웨어 산업에서는 개발 기간의 지연, 비용 증대와 같은 위험관리를 하기 위한 방법으로, SPI 전략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실표준인 CMM이나 국제표준인 SPICE 등이 SPI의 참조적인 모델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모델은 특정환경을 가진 소프트웨어 개발 조직에 대한 품질 개선을 위해서 필요한 구체적인 개선 절차와 방법을 기술하고있지 않다. 특히 SPI를 위해서 SPA가 선행되는 경우가 많은데, 효율적인 SPA를 위해서는 심사절차에 대한 정형화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심사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사의 정형화를 위해 SPA의 각 단계들을 UML을 사용하여 표현하고, 모델의 신뢰성을 ISO/IEC 9126의 6가지 품질 특성의 테두리 안에서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결함들(Defect)간에 연관성을 분석하여, SPA의 등급평가 절차에서 사용되도록 제안한다.

  • PDF

자바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문서 표준안 (Standard for Java Open Source Framework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ation)

  • 전혜영;류성열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328-331
    • /
    • 2007
  • 자바 프로그램언어를 이용한 개발이 많아지면서 사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도 많이 배포되고 있다. 오픈 된 자바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는 특정 부분에서 사용하는 기능을 개발한 것도 있지만 개발환경을 제공하는 프레임워크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개발자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하나이상의 프레임워크를 선정하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하게 되는데 각 프레임워크의 역할은 모든 프로그램이 동일하지는 않다. 그래서 프레임워크간의 관계 및 역할 등의 정보가 문서화가 이루어져서 개발자 뿐 아니라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특히 오픈 소스는 빈번하게 업그레이드되어 변화하는 프레임워크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면 매우 혼란스럽게 된다. 본 연구는 자바 오픈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려고 할 때 프레임워크의 정보 관리 및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를 설계 후 작성해야 하는 문서의 표준안을 제시한다. 이는 개발자는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구조를 표준화된 문서로 배포하면 사용자는 그 문서를 활용하여 소프트웨어의 구조 뿐 아니라 오픈 소스 프레임워크의 역할과 환경정보를 빠르게 이해하고 향후 효과적인 유지보수를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안) 설계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Elements for the Management of Digitized Records)

  • 서지인;노지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24
    • /
    • 2022
  • 이 연구는 디지털화 과정을 통해 생산되는 디지털화 기록의 체계적 관리와 품질 유지를 위해 필요한 메타데이터 요소(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메타데이터 요소(안)의 개발에 앞서 이 연구에서는 디지털화 기록의 정의와 특성을 확인하고, 원천 기록의 사본이자 대체물로서 디지털화 기록을 규정하여 원천 기록과의 관계를 정립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기록관리 메타데이터 표준과 미국 및 영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디지털화 기록에 대한 메타데이터 요소 비교 및 요소 설계시 고려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디지털화 기록 관리를 위한 메타데이터의 설계방향은 첫째, 원천 기록과 디지털화 기록의 관계 정립, 둘째, 자원 유형별 특성에 따른 자동추출 메타데이터 요소 확대, 셋째, 업무과정 및 프로젝트에 대한 메타데이터 작성 등 3가지로 정리되었다. 이에 근거하여 디지털화 기록의 메타데이터를 디지털화 기록 메타데이터과 디지털화 프로세스 메타데이터로 개체를 구분하고, 해외 사례를 참조하여 각 개체별로 추가되어야 할 요소를 제안하였다.

혼화재 치환율을 고려한 성숙도 기반의 콘크리트 압축강도 평가 모델 (Maturity-Based Model for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with Different Supplementary Cementitious Materials)

  • 문재성;양근혁;전용수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8권6호
    • /
    • pp.82-89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혼화재의 치환과 양생온도를 고려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을 평가할 수 있는 단순모델의 제시이다. 이를 위해 ACI 209의 포물선 식을 성숙도 함수를 기반으로 하여 수정하였으며, 압축강도 발현 상수 A, B 그리고 재령 28일 압축강도는 264개의 기존 실험결과들의 회귀분석으로부터 결정하였다. 제시된 모델의 검증을 위하여 혼화재 치환과 양생온도를 변수로 3그룹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콘크리트의 28일 압축강도는 양생온도가 표준양생온도(20도시)보다 높을수록 또는 낮을수록 감소하였다. 초기 재령3일동안 표준온도에서 양생을 한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발현은 그 이후 양생온도 변화에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았다. 제안된 모델의 예측값과 실험값의 비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각각 1.00와 0.08로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GIS를 이용한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방안 : 데이터베이스 설계 및 구축방안을 중심으로 (Database Development Guideline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Underground Facilities in Seoul)

  • 강영옥;조태영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5권1호
    • /
    • pp.115-131
    • /
    • 1997
  • 지하매설물은 지방자치단체, 통신공사, 전력공사, 도시가스회사, 지역난방공사 등 관리주체가 다양하며, 서로 다른 기본도 사용에 따른 중복투자발생, 관리부서별 다양한 도면 및 대장자료의 산재, 다양한 관리기관별 업무협조체제의 부재로 인해 통합된 정보부재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 선진외국에서 GIS를 이용하여 지하매설물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도시안전관리에도 기여함을 고려할 때, 지하매설물의 효율적 관리방안으로서 GIS 도입에 대한 연구가 절실함을 느낀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지하매설물 관리기관별 지하매설물 관리실태를 파악하고 둘째 서울시 지하매설물 관련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확장성있는 데이터베이스 표준안을 작성하였으며 셋째 지하매설물 데이터베이스 구축에 있어 탐사에 의한 방법과 기존의 각 관리기관에서 보유하고 있는 도면을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 검증 및 기존도면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경우의 입력절차를 제안하고, 넷째 데이터베이스 구축 후 유지관리를 위한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 PDF

ACL 기반 이동 에이전트 프레인워크 (ACL based Mobile Agent Framework)

  • 조정은;김원국;김상욱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2 (3)
    • /
    • pp.580-582
    • /
    • 1998
  • 본 논문에서는 ACL(Agent Communication Language)를 기반으로 한 에이전트 프레임워크 Mollet을 제안하고 코드와 데이터의 이동성을 중점을 두어 이를 OS 버그 패치 시스템에 적용하여 본다. Mollet의 메시지 전송과 에이전트 이동은 FIPA에서 표준안으로 정의한 ACL을 사용함으로 다른 에이전트와의 효율성을 높이고 있으며 전송 과정에서 노출을 막기 위하여 암호화 기법을 이용한다. 이동성, 협상, 보안, 인증, 등록 등의 에이전트가 가지는 공통적인 속성과 각 에이전트만이 가지는 속성을 모듈화함으로서 확정성을 높을 수 있으며 JDBC 사용으로 데이터베이스와의 투명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 Mollet은 하나의 호스트가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속성을 동시에 가질 수 있다. Mollet을 OS 버그 패치 시스템에 적용하여 사용자의 공식 패치 서버 검색을 자동화하고 신속하고 간편한 패치를 제공함으로 시스템의 보안과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고 시스템 관리자의 부담과 관리 비용을 줄인다.

  • PDF

XML 뷰 기반의 자료 저장소 랩퍼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Storage Wrapper based on the XML View)

  • 박진수;최규원;정채영;김영균;이미영;강현석;배종민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1 (B)
    • /
    • pp.163-165
    • /
    • 2002
  • 데이터베이스 통합론 중에서 미디에이터 기반의 데이터베이스 통합 방법은 미디에이터가 가상적으로(Virtual)통합된 (intergrated) 뷰를 유지하도록 하고, 사용자가 통합된 뷰를 통해서 질의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각 지역 데이터베이스와 직접 대화하는 자료저장소 랩퍼(wrapper)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역 데이터베이스의 내용을 W3C의 표준안인 XML Schema로 표현하고, 이를 바탕으로 사용자가 XML 뷰를 정의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리고 이 사용자 정의 XML 뷰 기반의 스키마 관리기, 질의어 처리기, 연결 관리기로 구성된 랩퍼 시스템을 설계, 구현한다.

  • PDF

국내 해체공사 안전관리 관련 법령의 체계적인 개선방안 (Systematic Improvement of Safety Management-Related Laws in Domestic Demolition Works)

  • 하기주;하재훈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5호
    • /
    • pp.169-178
    • /
    • 2010
  • 해체공사는 건설행위에 의해 건립된 건축물의 수명이 평균 22년 이상 경과한 후에 시행되는 후행 건설공종이다. 90년대 이후 해체대상물이 고층화, 대형화됨에 따라 그에 대한 중장기적인 대비가 없었으며, 해체산업 관련 제도나 법 등이 체계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해체공사 안전관리 관련법의 개선방안을 마련하고자 3가지 법령 개선(안)을 제안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건설기술관리법의 안전관리계획 수립에서 해체공사 대상의 기준에 대하여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산업안전보건법의 해체공사표준안전작업지침의 문제점을 보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였으며, 셋째, 건설기술관리법의 안전관리계획과 산업안전 보건법의 유해 위험방지계획의 중복성에 대한 통합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로수해응급복구 지원을 위한 LBS 활용 시스템 개발 연구 (A Study of LBS System Development for Supporting the Emergency Flood Recovery Works at the Highway)

  • 최현상;구지희;장성현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4년도 국내 LBS 기술개발 및 표준화 동향세미나
    • /
    • pp.39-44
    • /
    • 2004
  • 우리나라는 매년 수천억에서 수조원에 이르는 수해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특히, 국가 교통의 중추인 도로 수해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이 매우 큰 실정이다. 간선도로에서의 수해발생시 최단시간 내에 수해 위치와 피해 현황 등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응급복구 및 관리가 필요하고, 수해발생 특성상 전국적으로 산재하여 나타나는 피해 지역에 대한 현황을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시스템이 필요하나 아직까지 이러한 시스템은 지원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각 지역별로 이루어진 문서기반의 수해복구 관리에서 벗어나 웹 GIS 및 모바일 기술을 이용하여 전국 간선도로망의 수해피해 및 복구현황을 총괄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국내 간선도로 수해관련 현황조사 및 도로재해 관련 국외 현황 분석을 실시하고, 수해복구 업무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둘째, 수해복구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국도유지관리사무소의 방문조사 및 업무분석을 통해 수해현장 지원을 위한 Mobile 지원시스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 전국적인 도로수해관리를 위한 Web기반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업무분석 결과에 대해 정형화 표준화하여 수해복구업무 표준안을 제시하고, Mobile 지워 시스템 및 Web 관제 시스템을 시범 구축하였다.

  • PDF

도로관리를 위한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응용 연구 (Application of Framework Data Model for Road Management)

  • 지정국;임승현;최영택;조기성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1-38
    • /
    • 2005
  • 국가 기반시설로서의 도로의 중요성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이에 따른 도로의 신설과 유지관리 비용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도로관리에 대한 비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본지리정보를 통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데이터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기본지리정보 연구는 각 기관별 항목중심으로 연구되어 많은 양의 데이터가 중복구축 되었다. 이에 따라 국토지리정보원에서는 국제표준에 맞는 기본지리정보 지침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동일한 데이터 가공에 대한 비용과 반복구축에 대한 비효율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통분야 기본지리정보를 적용한 도로관리 데이터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의 기본지리정보에 의해서 데이터모델을 개발한 사례가 많지 않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지리정보 데이터모델 지침안이 실제 주제별 데이터모델 구축시 클래스, 속성, 관계 등이 실제 적용하기에 적절한지 고찰하였고 도로관리 데이터모델 실제 적용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