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전손실

Search Result 635,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Isolator Design and Analysis as a Function of YIG Ferrite Material Properties (YIG 페라이트 소재에 대한 아이솔레이터 설계 및 분석)

  • Jun, D.S.;Lee, H.Y.;Ko, K.S.;Kim, D.Y.;Lee, S.S.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18 no.6 s.84
    • /
    • pp.41-48
    • /
    • 2003
  • 본 논문은 아이솔레이터의 소재 파라미터에 의한 삽입손실 영향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페리자성공명반치폭($\Delta$Η), 유전손실, 자계세기 그리고 포화자화에 대한 아이솔레이터 삽입손실의 관계를 알아 보았고, 또한 공진 아래 모드를 사용한 아이솔레이터의 온도안정화 연구 및 구조설계에 대하여알아 보았다. 아이솔레이터의 온도특성은 영구자석, YIG(Yttium Iron Garnet) 페라이트 그리고 공진기로사용되는 도체 등에 의한 변화에 대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험시제품을 제작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측정결과 시뮬레이션 결과와 실험시제품 측정결과가 거의 일치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삽입손실 0.18~0.24dB, 반사손실 27dB, 아이솔레이션 27dB 그리고 대역폭 500MHz를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실험에 사용한 소재 파라미터는 포화자화 550G, 유전손실, $0.0004\Delta$Η20, 유전율 14로 하였다. 또한 온도안정화실험에서는 구조를 개선하여 온도안정화를 이루었다.

Microwave Dielectric Properties of $BaTi_4O_9$ Thin Film ($BaTi_4O_9$ 박막의 고주파 유전특성)

  • Lee, Suk-Jin;Jang, Bo-Yun;Jung, Young-Hun;Nahm, Sah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a
    • /
    • pp.105-109
    • /
    • 2004
  • [ $BaTi_4O_9$ ]계 유전체 박막을 Si 기판위에 RF Sputtering으로 성장시켜 유전체 박막의 두께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유전체 박막의 유전율 및 유전손실을 측정하였다. 유전체 박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유전율은 약간 증가하였으며 마이크로파 대역에서 벌크 유전체와 같은 38의 유전율 값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probe와 상두 전극사이의 접촉 저항을 고려한 값들을 보정함으로서 6GHz의 주파수 대역까지 $BaTi_4O_9$ 박막의 유전손실 값을 안정적으로 측정한 수 있었으며 유전체 박막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0.0001의 양호한 유전손실 값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rmal Deterioration Characteristics of Insulator in Oil Filled Distribution Transformers (배전용 변압기 절연물의 열화특성에 관한 연구)

  • Lee, Won-Kyu;Cho, Si-Hyung;Choi, Myeong-Ho;Shin, Dong-Hwi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5.07a
    • /
    • pp.533-535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열적 스트레스에서 충간 절연지가 받는 열화현상을 규명하고 절연지의 열화가 절연유 열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변압기 절연물의 열화는 온도와 시간에 좌우되므로 이를 모의화 할수 있는 시험장치를 제작하고 보다 정확한 모의시험이 가능하도록 절연유 열화와 절연지 열화시험을 구분하여 실험하였다. 실험결과 절연유가 열적 스트레스를 받는 경우 열화시간에 따라 절연내력이 감소되었고 유전손실은 증가되었다. 유전손실은 열화시간과 온도상승에 크게 좌우되었다. 절연지가 절연유 내에서 열적 스트레스를 받을 경우에는 열화시간에 따라 인장강도는 급격히 감소되었고 유전손실과 유전율은 증가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유전율의 변화는 절연유와의 절연지의 계면에서 전압 스트레스와 불균일하게 되어 수명단축의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Reduction Characteristics of Electromagnetic Fields in Cavity by Lossy Dielectric Materials (손실 유전체를 이용한 공동 내부의 전자계 저감 특성)

  • 정광현;김기채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 /
    • v.14 no.9
    • /
    • pp.950-95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delivered power and reflection coefficient in metallic shielding enclosure excited by the interior source, which are evaluated with the method of moments, and describes a method for reducing the radiation of electromagnetic fields in the cavity by putting lossy dielectric material in one inside wall. In this paper we introduce carbon polystyrene-foam as lossy dielectric material and observe it's effects of reduction when the thickness and permittivity of lossy dielectric material are changed. The results show that the reduction of the electromagnetic radiation can be achieved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arbon in lossy dielectric material. The theoretical analysis is verified by the measured delivered power.

Study on the Effect of Silica Particle Size on Dielectric Properties of Silica and Low Loss Polymer Composite Material (실리카-저손실 폴리머 복합 재료의 유전 특성에 관한 연구)

  • Kim, Sang-Hyun;Kim, Jun-Young;Yoo, Myong-Jae;Park, Seong-Dae;Lee, Woo-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8.06a
    • /
    • pp.275-276
    • /
    • 2008
  • 통신기기가 고주파수화 함에 따라서 저유전 저손실 재료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세라믹/폴리머 복합재료를 고주파 회로 기판 소재로 이용하려는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저손실, 저유전율 특성을 구현하기 위해 $SiO_2$를 세라믹 필러로 복합물을 제작하였다. 평균 입자 크기가 16nm, $2.3{\mu}m$의 fumed 실리카와 평균 입자 크기 $1{\mu}m$, $4{\mu}m$의 fused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이 4종류 실리카를 사용하여 slurry를 제작하고 이를 활용하여 tap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복합체 tape을 적층하여 기판을 제작해 기판의 유전특성을 측정하였다. fumed 실리카의 경우 $SiO_2$ 10vol%이상에서는 균일한 tape성형이 어려워졌으며, 유전 손실이 fused 실리카와 비교하였을 때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fumed silica, fused silica 두 종류 모두 입도가 증가하면 유전손실이 증가하였다.

  • PDF

Influence of Glass Dielectric Property 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유리관의 유전 특성이 외부전극 형광램프에 미치는 영향)

  • Shin, Myeong-Ju;Jeong, Jong-Mun;Kim, Jung-Hyun;Kim, Ga-Eul;Lee, Mi-Ran;Yoo, Dong-Gun;Koo, Je-Huan;Hong, Byoung-Hee;Choi, Eun-Ha;Cho, Guang-Sup
    • Journal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 /
    • v.16 no.5
    • /
    • pp.330-337
    • /
    • 2007
  • Influence of glass dielectric property (dielectric constant K, dielectric loss) on th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of the dielectric barrier discharge has been investigated with 4-different glasses. Conventional borosilicate glass tubes with $K=5.6{\sim}5.9$ and tan ${\delta}=5.0{\times}10^{-3}{\sim}6.0{\times}10^{-3}$ and aluminosilicate glass tubes with high K=6.6 and low tan ${\delta}=1{\times}10^{-4}$ and soda-lime glass tribes with K=7.7 and tan ${\delta}=1.37{\times}10^{-2}$ have been compared. The high value of dielectric constant K makes the capacitance of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intensity and enhances the discharge efficiency. The dielectric loss of tan ${\delta}$ shows the factor of power consumption in the external electrode to induce heats and to be weak in pinhole stability. The aluminosilicate glass tubes of high K and low tan ${\delta}$ have been enhanced by $14{\sim}18%$ in luminance and efficiency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borosilicate glass tubes and the aluminosilicate 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s are strong against the pinhole formation. Soda-lime glass tubes with high K and high tan ${\delta}$ are a little favorable in luminance and efficiency and they are very weak in pinhole occurrence.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of Cereal Grains by Nondestructive Microwave Measurement Technique (마이크로파 비파괴 계측기술을 이용한 곡류의 유전율 측정)

  • Kim, Ki-B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Nondestructive Testing
    • /
    • v.22 no.4
    • /
    • pp.369-376
    • /
    • 2002
  • The dielectric properties of cereal grains such as short-grain rough rice, brown rice and barley with various moisture contents wer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attenuation and phase shift of the microwave signal trough the grain samples at 9.5GHz. The microwave free-space transmission measurement system consisted of sample holder, horn antenna and network analyzer. Dielectric constant and loss factor of grain samples increased with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and agreed well with previous research results. Moisture density, which is defined as the product of moisture content and bulk density, was proposed as a bulk density and variety compensation factor. The technique for measurement of dielectric properties based on free-space transmission may be useful for other particulate materials.

Dielectric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with Varying Frequency (에폭시 복합체의 주파수 변화에 따른 유전특성)

  • Lee, Ho-Shik
    • Journal of the Korean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 /
    • v.35 no.3
    • /
    • pp.676-682
    • /
    • 2018
  • In order to study electrical properties of epoxy composites with various frequency. To measure of dielectric characteristics have been performed over a frequency range from 30[Hz] to 3[MHz] and a temperature range of $20[^{\circ}C]$, $100[^{\circ}C]$, $140[^{\circ}C]$. We observed values of dielectric constant and dissipation of the epoxy composites with various frequency. We were observed dielectric loss and dispersion in low frequency region. Also, we observed to decrease of the dielectric constant due to the effects of filler in high temperature region.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of Piezoelectric Transformer for Converter by Finite Element Method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컨버터용 압전 변압기의 온도 특성 해석)

  • Joo, Hyun-Woo;Jung, Hyun-Ky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Conference
    • /
    • 2004.07b
    • /
    • pp.753-756
    • /
    • 2004
  • 최근 전자 부품으로써 널리 사용되는 압전 변압기근 고전계 구동시 야기되는 압전체의 기계적인 진동 손실 및 유전 손실에 의해 높은 온도 상승이 초래된다. 이는 압전 변압기의 동작 특성 변화를 일으키며 결국 안전 변압기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 및 효율의 감소 등 비선형성의 원인이 된다. 본 논문에서는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압전 변압기의 공진 특성을 해석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압전 변압기의 기계저인 진동 손실 및 유전 손실을 계산하였다. 또한 유한 요소법을 이용한 3차원 열전달 방정식의 해석을 이용하여 암전 변압기의 온도 분포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실험적으로 검증하였다.

  • PDF

A Design Method for Dielectric-slab Waveguide Polarizer With A Low Return Loss over A Wideband Frequencies (광대역에서 저반사 손실을 가지는 도파관 유전체 편파기 설계 기법)

  • 김도균;이석곤;이종대;안병철
    • Proceedings of the Korea Electromagnetic Engineering Society Conference
    • /
    • 2001.11a
    • /
    • pp.161-164
    • /
    • 2001
  •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주파수대역에서 우수한 원편파 특성을 가지고 광대역에서 저반사 손실을 가지는 이종대역 안테나 피드용 원형도파관 유전체 편파기의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양호한 편파특성을 위한 유전체판 두께와 원형 도판관 직경의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종 대역 안테나 피드용으로 광대역에서 저반사 손실을 가지기 위한 유전체 형상 설계기법을 제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