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자

검색결과 409건 처리시간 0.023초

화장품소재로서 유자발효물의 In Vitro 효능 연구 (An In Vitro Study on the Effect of Fermented Citrus junos as a Cosmetic Material)

  • 염현숙;조성미;박진오;이해광;이혜자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71-76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화장품소재로서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로 발효된 유자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wound healing, 보습 및 미세먼지 차단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유자발효물에서 우수한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자발효물은 scratch-induced wound healing 실험에서 무처리군 대비 세포 이동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유자발효물에서 보습 인자인 필라그린의 생성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PM10으로 유도된 세포 자극에 대한 미세먼지 차단 효과를 확인한 결과, 유자발효물의 세포 보호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유자발효물의 다양한 효과가 화장품원료 개발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건조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혼합한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 (Aroma Characteristics of Dried Citrus Fruits-Blended Green Tea)

  • 전주연;최성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739-745
    • /
    • 2011
  • 다양한 생리활성과 향미가 우수한 감귤류(밀감 및 유자)를 건조한 후 중급정도의 녹차와 혼합하여 밀감-녹차 및 유자-녹차를 제조하고 기호도와 관련 있는 휘발성 향기성분을 추출하여 GC 및 GC-MS로 분석, 동정하고 비교하였다. 밀감과 녹차를 1:1(w/w)로 혼합한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2종을 동정하였다. 밀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limonene 등의 terpene hydrocarbons의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으며, 유자와 녹차를 1:1(w/w)로 혼합한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으로 총 53종을 동정하였다. 유자-녹차에는 건조유자의 향기성분 44종과 녹차의 향기성분 21종 및 공통으로 포함된 16종의 화합물들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건조유자의 향기성분으로는 건조밀감과 거의 유사하게 달콤한 과일향을 띄는 terpene hydrocarbon류인 limonene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유자-녹차의 향기성분은 녹차의 향기성분인 꽃향을 띄는 linalool, phenyl acetaldehyde 등과 풋풋한 향을 띄는 hexanal 등에 건조밀감 특유의 향기성분인 달콤한 과일향이 혼합되어 나타났다.

유자(Citrus junos)씨와 유자씨 유지의 메탄올 추출물에 의한 HT-29 대장암 세포 생장 억제 효과 및 유효 성분 분석 (Anti-proliferative effect of methanolic extracts from Citrus junos seeds and seed oils on HT-29 human colon cancer cells and identification of their major bioactive compounds)

  • 김경은;조현노;정하나;이희재;황금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42-25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자씨와 유자씨 유지로부터 HT-29 암세포 생장 억제효과를 확인하고 주요 원인 물질을 확인하는 것이다. 유자씨, 헥산 추출 유자씨 유지, 냉압착 유자씨 유지로부터 60%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물(각각 ES, EHO, ECO)을 얻었다. 추출물의 성분은 HPLC-MS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ES, EHO, ECO를 HT-29 세포에 처리하여 생장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 EHO와 ECO가 유의적인 효과가 있었다(p<0.05). 반면, ES와 리모닌, 노밀린은 24시간과 48시간 처리 후에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없었다(p>0.05). 유자씨 유지 추출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효과에 주요 역할을 하는 성분을 탐색하기 위해 제조용 LC로 EHO와 ECO를 분획하여 이 분획물의 암세포 생장 억제 효과와 조성을 확인하였다. 분획물 중에서 EHO의 3개 분획물과 ECO의 2개 분획물이 유의적인 HT-29 세포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다(p<0.05). 이 5개 분획물의 HPLC-MS 분석 결과,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주요 성분일 것으로 추정되었다.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을 HT-29 세포에 처리한 결과, 이찬젠신이 유의적인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고(p<0.05), 아이소핌피넬린과 버갑텐은 약간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었으나 유의적이지는 않았다(p>0.05). 따라서 아이소핌피넬린, 버갑텐, 이찬젠신이 유자씨 유지 내의 주요 암세포 생장 억제 물질이며, 이 중에서 이찬젠신이 그 활성이 가장 높은 물질인 것으로 추정한다.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암세포 증식억제 상승효과 (Synergistic Effect of Yuza(Citrus junos) Extracts and Ascorbic Acid on Antiproliferation of Human Cancer Cells and Antioxidant Activity)

  • 손미예;박석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649-654
    • /
    • 2006
  • 유자의 생리활성 식품 소재로서 검토하기 위해 비타민 C가 첨가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암세포 억제활성에 대한 상승효과를 측정하였다. 과육과 과피의 추출물 중에 총 페놀 함량은 각각 건물당 $97.87{\mu}g/mg$$121.17{\mu}g/mg$으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약 1.24배 높았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건물당 $0.28{\mu}g/mg$$0.59{\mu}g/mg$로서 과피가 과육보다 2.11배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유자 과피의 추출물은 유자 과육의 추출물보다 약간 높았으며, 이들 추출물은 그 자체에 비하여 각각 추출물에 비타민 C를 첨가할 경우가 상승효과는 더 크게 나타났는데, 특히 저농도($30{\mu}g/mL$) 시료보다는 고농도($300{\mu}g/mL$)에서 전자공여능이 크게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과피 추출물 $1,000{\mu}g$에 비타민 C $500{\mu}g$를 혼합한 경우의 비타민 C $500{\mu}g$ 단독만을 첨가한 경우보다 각각 20분 반응에서 2.6배, 40분 1.5배, 60분에는 1.2배가 높았다. 환원능은 유자 과피 추출물의 $30{\mu}g/mL$$50{\mu}g/mL$ 저 농도에서 고농도에서와 비슷하게 아주 높게 나타났다. 유자 과피 및 과육의 추출물로 처리한 간암 세포주에서 다른 암 세포주에 비하여 비교적 항암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100{\mu}g/mL$에서는 각각 63.8%와 73%를 나타내었다. 유방암 세포주는 모든 시험농도에서 유자 과피의 추출물이 과육 추출물보다 항암활성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유자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암활성 은 함유되어 있는 페놀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Physicochemical Properties, Free Sugar and Volatile Compounds of Korean Citrons Cultivated in Different Areas)

  • 이수정;신정혜;강민정;정창호;주종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92-98
    • /
    • 2010
  • 산지별 유자의 이화학적인 특성, 유리당 및 향기성분 등을 비교한 결과 과실의 총 중량은 107.97~154.86 g으로 산지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과실의 총 중량에 대한 과육의 비율은 거제, 고흥 개량종 및 남해 재래종에서 과피보다 높았다. 산지별 유자의 크기는 남해 재래종이 가장 컸으며, 산지별 유자 과피의 색도는 고흥산 유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산지별 유자 과피의 경도는 거제산 유자의 과피가 가장 단단하였으며(2337.13 $cm/kg^2$), 고성산 유자 과피가 가장 무른 것으로 나타났다(1592.38 $cm/kg^2$). 유자 과육 중 수분은 85.35~87.81 g/100 g, 회분은 0.8 g/100 g 미만이었다. 거제산 유자의 조섬유 함량이 과피 중 가장 유의적으로 낮았음에도 불구하고, 과피가 과육에 비해 1.88~2.60배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유자 중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및 sucrose의 순으로 검출되었으며, fructose와 glucose에서 과피가 과육에 비해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총 유리당 함량은 8.44~12.19 g/100 g의 범위였으며, 고흥 및 남해 개량종이 재래종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한편, 유자의 과피로부터 동정된 향기성분 15종에서, dl-limonene의 함량이 전체 향기성분 중 59.52~74.30%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gamma$-terpinene(5.60~7.88%)이었다.

유자박 식이섬유를 이용한 유자과립 제조 및 이화학적 특성조사 (Production of yuzu granules using enzyme treated yuzu pulp powder and evaluation of its physiochemical and functional characterization)

  • 성현준;이보배;김덕현;이승현;하지영;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82-39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유자박분말(YP)에 효소처리하여 불용성 식이섬유를 수용성 식이섬유로 전환시키고, 효소처리한 유자박분말(EYP)을 이용하여 유자과립을 제조 후 이의 이화학적특성, 제형안정성과 기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유자박분말에 CL을 처리할 때 48.68%로 가장 우수한 가용화정도를 나타냈다. FE-SEM으로 YP와 EYP의 미세구조 관찰결과 효소처리 후 표면 불규칙하고 다공성이 됨을 확인하였다. YP에서 EYP로 변함에 따라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비슷하지만 SDF는 1.5배 증가하였고, IDF는 2배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SDF/IDF는 3배 증가하였다. 식이섬유의 구성성분인 hemicellulose는 3배 감소하였고, cellulose는 2.5배 감소하였다. 유리당은 YP에서 galacturonic acid와 arabinose가 없었으나 효소처리 후 각각 1.64, 2.91 mg/g DW 생성되었다. 효소처리에 따라 설탕은 30% 감소하였으며, 포도당은 2배 증가함을 보였다. EYP를 이용하여 5가지 유자과립을 제조하였고,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 유자과립의 pH는 3.25-3.28, 산도는 3.42-3.84%, 당도는 8.7-8.9°Brix를 나타냈다. 색도는 V의 황색이 21.57로 가장 높았으며, EYP의 함량에 비례해 황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제형안정성은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15% EYP를 함유한 IV가 용해도를 제외한 수분보유력, 유지보유력, 팽윤력, 흐름성에서 각각 1.07, 2.36, 2.60 g/g, 20.09 Arctano으로 제형안정성이 우수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을 측정하였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EYP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여 IV (15% EYP)와 V (20% EYP)가 7.69 mg/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항산화능과 tyrosinase저해활성능은 IV에서 각각 68.4, 82.5%로 우수함을 보여, 전체적으로 유자박이 많이 첨가된 과립이 항산화능과 미백효능이 뛰어났다. 본 연구의 데이터를 종합적으로 볼 때 유자박분말에 효소처리를 통해 수용성이 높아지는 유자박분말을 생산하였고, 이를 이용해 제조한 유자과립은 기능성식품으로 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소비자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기능성물질을 포함한 제품 개발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며 본 연구에서 제조한 유자과립은 naringin, narirutin, hesperidin, neohesperidin 등의 기능성 플라보노이드, 식이섬유, 유산균을 함유하고 있어 산업적으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생체정보보호를 위한 워터마킹 기법 (Watermarking for Bio Information Security)

  • 김여진;안정호;변혜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2 (2)
    • /
    • pp.730-732
    • /
    • 2004
  • 생체 정보를 도용하기 어렵다는 장점에도 불구하고 생체 인증시스템이 그 자체로 안전한 것은 아니다. 생체정보를 위조하기는 어렵지만 손상되기는 쉽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생체 정보로부터 생성된 초기 값을 이용하여 생체정보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생체 인증시스템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 카드 소유자를 소유자로 인식한 확률은 최적 파라미터 하에서 약 96%정도였으며, 비소유자를 소유자로 오인한 확률은 0%였다. 학습에 참여한 비소유자 뿐만 아니라, 학습에 참여하지 않은 비소유자도 100% 기각을 하여 소유자 검증에 놓은 신뢰도를 보였다.

  • PDF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기간 중 이화학적 특성 및 제조된 막걸리의 관능적 특성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Makgeolli with Dried Citron (Citrus junos SIEB ex TANAKA) Peel)

  • 양희선;황수정;이성희;은종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03-610
    • /
    • 2011
  •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최적 첨가량을 확정하기 위하여 건조유자과피를 각각 3, 6, 9%를 첨가하여 제조한 막걸리의 발효 중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에 비해서 건조유자과피를 첨가한 막걸리에서 관능적 결과가 더 낮았고, 이는 건조유자과피의 첨가량이 늘어날수록 기호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거의 모든 이화학적 특성에서 각 샘플들 간의 유의차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관능적 기호도로 볼 때 건조유자과피는 3% 첨가량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그러나 대조구에 비해서 관능적 기호도가 낮으므로 이는 적절한 첨가 형태라고 볼 수 없으며, 향후 적정 첨가시기, 발효 기간 등에 관한 연구가 더 진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유자의 종류별 생리화학적인 특성과 향기성분, 총 페놀 함량 분석 (Biochemical Properties, Volatile Compounds and Total Phenol Contents of Yuza Variety)

  • 황성희;김민정;김강성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85-692
    • /
    • 2013
  • 재래유자, 개량종 I(유자+탱자), 개량종 II(유자+유자) 세가지 유자의 종류별, 부위별 이화학적인 특성과 유기산, 지방산 및 향기성분을 분석하였고, 총 페놀 화합물을 분석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중량은 재래종이, 껍질(혹은 껍질+씨)의 비율은 개량종이 높았다. 단백질은 재래종보다 개량종I의 껍질에서 다소 높게 나타났고, 회분도 개량종의 껍질에서 다소 높았다. Vit. C는 과즙의 경우 재래종에서 29.6mg%로 껍질에서는 개량종 I이 57.7mg%로 다소 높았다. 유리당은 과당이 주였는데, 개량종 I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유기산은 구연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는데, 개량종 II에서 가장 유기산 함량이 높았다. 유자의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인산이 가장 많았고, 과피와 과즙에서 품종별 특징을 보이고 있었다. 향기성분은 dl-Limonene이 향기성분의 64~70%를 차지하는 물질로, gamma-terpinene과 함께 개량종 II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유자에 함유된 총 페놀 함량은 품종별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과즙에 비해 과피에 2.5배 정도 많은 양이 들어 있었다.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의 제조 및 생리활성 (Development of an Onion Vinegar Beverage Containing Yuza (Citrus junos Sieb ex Tanaka) and Its Biological Activity)

  • 정은정;차용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63-570
    • /
    • 2016
  • 양파식초는 양파특유의 냄새로 인한 관능적인 저하를 가지므로 양파의 불쾌치를 차폐할 수 있는 감미조향제의 선택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중심합성계획에 따른 반응표면분석을 통하여 감미조향제(유자착즙액, 사과농축액 및 황설탕)의 첨가량을 결정하였다. 즉 독립변수를 달리한 각 실험조건을 다섯 단계로 부호화 하고 실험설계 18조건(8개 요인실험점, 6개의 축점, 4개의 중심점)에 따라 기호도검사(9점 평점법)를 실시하여 중심합성법의 종속 변수로 선정하여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양파식초 : 용수 : 황설탕 : 사과농축액 : 유자착즙액 = 6.0 : 77.6 : 4.9 : 9.2 : 2.3(w/w비율))를 제조하였다. 최적 배합조건에서 제조된 유자 양파발효음료의 phenolic compound, total flavonoid, quercetin 및 생리활성(항균성, 항항산화성, 항혈전용해능) 분석결과 총 phenol함량은 14.8 mg/100 g, total flavonoids의 함량 2.6 mg/100 g, quercetin 함량은 1.4 mg/100 g으로 측정되었다. 유자 첨가 양파발효음료는 Staphylococcus aureus, Salmonella typhimurium, Escherichia coli 및 Enterobacter aerogenes 4종의 균에서 항균성을 가졌고 DPPH 라디칼 소거능에서는 18.2%, SOD 유사활성에서는 11.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 개발된 유자 양파발효음료는 원료인 양파로부터 기인되는 영양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생성되는 각종 유기산으로부터 복합적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제품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