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입부하량

Search Result 379,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제주항에서 오염부하의 정량적 관리

  • 조은일;강기봉;김종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7-231
    • /
    • 2003
  • 제주항을 대상으로 오염부하의 정량적인 관리를 위하여 물질순환모델을 이용하여 해수유동특성과 COD, DIN 그리고 DIP의 농도분포를 시뮬레이션 하였고, 이 결과를 통해 해역의 수질개선대책으로 하천오염부하 감소와 저질개선을 통한 용출부하 감소에 따른 COD, DIN 그리고 DIP의 농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부부하인 하천유입 부하량의 감소에 의한 제주항 내 오염물질 농도의 저감효과는 만 중앙부에서 만 외로 갈수록 그 영향범위가 미비하나 하천 유입부에 한정되어 큰 효과를 나타내고 있어 제주항 내로 오염부하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서 제주항의 하천 유입부 수질개선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내부부하인 저질 영양염 용출부하를 감소했을 경우의 제주항 내 영영염 농도의 저감 효과는 하천유입 부하량의 저감시와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제주항의 하천 유입부보다는 만 중앙부나 만 유입부의 수질개선에 효율적인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사료되며 특히, DIP의 경우 그 양상이 잘 나타났다. 하천과 저질의 총 부하량을 100% 감소했을 경우, COD의 농도분포는 하천유입부인 정점 St. 1에서 약 44%정도의 저감효과를 나타내어 하천유입 부하량만을 감소했을 때보다는 저감효과가 증가하였다. DIN의 경우는 하천유입부하와 저질 용출부하를 각각 따로 저감했을 경우에 비해 전체적으로 저감효율이 상승하고 있으며, 만 중앙부에서 만 유입부로 갈수록 그 경향이 잘 나타나고 있으며 총 부하를 저감시켰을 때 제주항내의 DIN 농도는 정점 St. 3 다음 지점부터 해역수질기준 II등급을 유지되는 수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DIP의 경우는 DIN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정점 St. 4 이후로 해역수질기준 II등급 이하로 유지되는 수질개선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현재 해역수질기준 III등급인 제주항 내에서 수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하천유입부하량의 저감뿐만 아니라 항내 저질개선 등을 통하면 전체적으로 II등급 이하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PDF

Analysis of water quality monitoring results during the rainfall period of Yeongju dam (영주댐 강우기 수질 모니터링 결과 분석)

  • Lee, Seungyoon;Shin, Cholong;Yi, Hye-suk;Chong, Sun-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463-463
    • /
    • 2018
  • 우리나라의 공공용수역에서는 오염배출규제 및 하수도 정비에 의한 점오염원 부하량의 삭감에 의해 수질개선이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비점오염원부하는 상대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실증하기 위한 강우시의 오염부하유출의 관측은 충분히 실시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주댐 유입하천을 대상으로 강우시 유입 오염부하량 파악 및 수질변동모의 예측을 위한 기초자료 획득을 위한 강우시 유입부하량 특성 및 수질영향이 분석되었다. 영주댐의 조사지점은 석표교, 멀내교의 총 2개 지점으로 본류인 내성천, 지류인 토일천에 각각 1곳씩 선정하였다. 유입수 샘플링은 자동모니터링 장치를 설치하여 채수하였고, 유랑조사는 교각에 설치된 자동수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사기간은 누적 강우량 133mm가 내린 2017년 7월 2일부터 5일간 실시하였다. 수질 시료 분석결과, 비강우시대비 COD 및 영양염류 부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일천에서 채수된 시료의 경우 T-P는 비강우시 유입농도보다 최대 60배 높고, T-N은 비강우시에 비해 약 2.3배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강우유출 발생 시의 수질은 비강우시의 수질보다 COD 및 영양염류 부하량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비 강우시 유입되는 영양염류농도에 비해 강우시에는 강우강도에 비례하여 높은 농도의 인과 질소성분이 유입되고 있었고, 댐 저수량의 많은 부분이 강우시의 유입수량으로 채워지는 점을 고려할 때, 강우시 유입 수질이 댐 저수지 수질변화에 큰 영향을 주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주댐 유역의 강우유출 특성은 강우유출이 시작 된 후, 수 시간 이내에 오염물질 농도가 급격히 증가하였고 유량의 증감속도와 유출량은 비례하였다. COD, 질소 계열 및 인 계열 물질의 유량과 비례한 증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강우시 질소와 인의 유출이 강우량과 영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계절적인 유출 특성의 유무를 무시 할 수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조사 및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pplication to the Water and Sediment Model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in Eutrophicated Seto Inland Sea, Japan (부영양화된 뢰호내해의 수질관리를 위한 수ㆍ저질예측모델의 적용)

  • Lee In Cheol;Chang Sun-duck;Kim Jong Kyu;Ukita Masa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1 no.2
    • /
    • pp.96-108
    • /
    • 1998
  •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nd fishery resources with a major environmental problem in eutrophic coastal sea is studied. The numerical experiments using the water-sediment quality model (WSQM) were carried out for the management of water quality at the Seto Inland Sea in Japan. The results of long-term water quality simulation showed responses of seawater quality to input loads to vary in different localities. A formula roughly forecasting water qualify to estimate the effect of loading abatement was proposed. The simul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eawater quality showed the abatements of nutrient loads such as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as well as organic loads such as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 be peformed in the eastern Seto Inland Sea from Bisan Seto to Osaka Bay. On the other hand, it is indicated that the increase of loading leads to the increase of primary production. while not straightly to the increase of fish production for the catch of fisheries.

  • PDF

Separation of Runoff Components using Digital Filter Method and Non-point Source Load Estimation (Digital Filter 기법을 이용한 유출성분 분리 및 비점오염부하량 산정)

  • Cho, Young-Sik;Lee, Heung-Soo;Jung, Yong-Rak;Choi, Jung-Kyu;Chung, S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2069-2073
    • /
    • 2007
  • 효과적인 저수지 수질관리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상류 유역으로부터 오염원의 유출특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강우시 대부분 유입하는 비점오염원은 실측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어 부하량 산정에 어려움이 있어 전체 부하량에서 차지하는 기여도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igital Filter 기법을 이용하여 댐 유입량 수문곡선으로부터 유출성분을 분리하고, 강우시 유출하는 비점오염부하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지역은 대청호를 선택하였다. 유출성분별 오염부하량을 정량화하기 위해 댐 유입량을 각각 지표유출, 중간유출 및 기저유출 성분으로 분리하고, 강우시 지표유출과 중간유출을 합하여 비점오염원 부하량(직접유출)으로 산정하였다. 유출성분별 일별 부하량은 실측된 유량 및 수질자료로부터 유도된 유량-부하량의 상관관계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대청호 유입량의 유출성분비는 각각 지표유출 49.2%, 중간유출 25.5% 및 기저유출 25.4%로 산정되었다. 2001년 옥천지점에서 유출성분분리 결과, 총 유출량 중 기저유출, 지표유출, 중간유출의 비가 각각 35.1%, 39.5%, 25.5%로 산정되었고, 청성지점은 각각 39.7%, 36.1%, 24.2%로 나타났다. $2001{\sim}2005$년까지 유출 성분별 비점오염원 부하량을 산정한 결과, 대청호에 비점오염원 부하량 기여율의 범위(평균값)는 각각 BOD $65.2{\sim}88.0%$(평균 83.5%), COD $68.1{\sim}$ 89.3%(평균 86.8%), T-N $60.4{\sim}88.6%$(평균 84.2%), 그리고 T-P $77.7{\sim}96.6%$(평균 94.3%)로 산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대청호로 유입하는 유기물과 영양염류 연간 부하량의 80% 이상이 강우-유출과 함께 유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저수지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유역차원의 비점오염원 관리가 시급함을 시사한다.

  • PDF

Pollution Characteristics and Loading Flux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Riverine Waters of Jinhae Bay, Korea (진해만 하천에서 다환방향족탄화수소 유입부하량과 오염특성)

  • You, Young-Seok;Kim, Jwa-Kwan;Cho, Hyeon-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15 no.4
    • /
    • pp.275-282
    • /
    • 2009
  • PAHs(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compounds may enter into the marine environment in a number of ways, and PAHs in coastal area and estuary adjacent to urban area and industrial activities region are mainly introduced into marine environment via atmosphere or river. The field surveys to evaluate the pollution of PAHs in rivers of Jinhae bay were carried out in August, 2008. The water samples collected from seven main rivers and Deokdong WWTP(Waste water Treatment Plant) which lead to Jinhae bay. 16 PAHs which had been selected as priority pollutants by EPA were analyzed. The range and mean of dissolved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the rivers and Duckdong WWTP that lead to Jinhae bay were shown to be 9.79~128.25(mean 36.94)ng/L, while the range and mean of Total PAHs concentrations in SPM(Suspended Particulate Matter) were shown to be 1,81434~8,893.37(mean 4,657.73)${\mu}g$/kg dry wt. The dissolved Total PAHs and Total PAHs in SPM were shown to be high concentrations in the Semhocheon which leads to Masan bay that is the most polluted area of Jinhae bay, while those were shown to be low concentrations at rivers which lead to the west area of the bay. The ranges and means of the loading fluxes from rivers and Duckdong WWTP were calculated at 0.06~12.05(mean 1.86)g/day for dissolved Total PAHs and at 0.12~16.00(mean 2.41)g/day tor Total PAH in SPM. The loading flux of Total PAHs from Duckdong WWTP was shown to be the greatest, occupying more than 80% of Total loading flux from all rivers and WWTP to Jinhae bay. The composition patterns of PAHs compound by the number of benzene ring between dissolved PAHs and PAHs of SPM were different each other. Low molecuar weight PAHs of dissoloved compounds were in high concentration, while high molecular weight PAHs of SPM were in high concentration. These results were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of PAHs and were similar to those of other studies. The total PAHs concentrations of dissolved and SPM in this study are lower than those of other studies. The extent of PAHs pollution appeared to be not serious in reverine waters of Jinhae bay.

  • PDF

Analysis on the Pollutant Load Changes due to Rainfall in Daecheoncheon (강우에 의한 대천천 오염부하량 변화 분석)

  • Cho, Hong Yeon;Cho, Bum Jun;Jeong, Shin Tae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4.05b
    • /
    • pp.547-551
    • /
    • 2004
  • 연안유역으로 유입되는 소하천의 유량 및 오염물질의 농도는 유역의 기상상태(강우량 및 증발량), 토지피복도, 인공구조물의 운영규clr 등에 의하여 변화한다. 특히, 강우에 의한 오염부하량 변화는 평상시의 오염부하량에 비하여 그 변화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평상시의 측정간격으로는 보다 정확한 오염부하량 산정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청남도 보령시를 관통하는 대천천을 대상으로 강우에 의한 오염부하량 변화를 연속적으로 측정하였다. 대천천은 상류지역에 청천저수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보령시내를 관통하는 과정에서 도시 오염물질이 유입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천수만 입구지역으로 유입되는 지방하천이다. 유역오염부하량 계산에 필요한 유량은 보(weir)에서 측정한 수위자료를 이용하여 환산하였으며, 수온, 탁도 및 염도는 OBS-3A 장비를 이용하여 연속측정하였다. 또한, 영양염류의 오염물질 농도는 30분 간격으로 채수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오염물질 항목에 따라 시간에 따른 오염부하량 변화양상이 매우 상이하게 나타났으며, 변화 폭도 매우 크게 나타나서 강우시의 오염부하량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1시간 간격 이내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이 타당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Analysis of occurred flow change on dry section in Anyangcheon (소하천 유역에서의 강우 오염부하량 강우-상관관계 분석)

  • Kim, Man-Sik;Lee, Dong-Ryul;Kim, Young-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6.05a
    • /
    • pp.963-967
    • /
    • 2006
  • 어떤 강우사상에 대해서 특정유역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출특성은 첨두농도, 산술 평균농도, 첨두 오염물질 부하량, 평균 오염물질 부하량 또는 총 유출 부하량 등으로 나타낼 수 있다(이재수 등, 2001).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강우시 발생하는 총 부하량이 개개의 농도 또는 첨두 부하량보다 더욱 중요하다. 그 이유는 유출사상이 비교적 짧고, 강우 유출수가 유입되는 수체, 특히 저수지나 댐 내에서는 어느 정도의 혼합 현상이 수반되므로 저수지내의 오염물질 농도는 강우로 인한 유출수(저수지로 유입되는)내 개개의 농도변화보다는 결국 총 부하량의 반응이기 때문이다. 특히, 저수지나 호수에서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염류에 대해서 총 부하량은 가장 중요한 수질영향 및 결정 변수일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은 이유로 강우사상에 대한 평균농도 또는 유량가중 평균농도(EMC, event mean concentration)는 비점원 오염물질의 유출을 평가하는데 가장 적절한 인자로 인식되고 있으며,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EPA, 1983). 본 연구에서 소하천 유역을 대상으로 유량과 수질농도를 실측하여 대상하천에 대한 수문자료를 구축하고, 오염부하모의 모형을 통해 대상유역에서의 강우사상별 오염부하량을 모의하였는데 모형의 보정은 실측된 유량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실측된 수질농도자료와 유량자료로 산정한 오염부하량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된 모형에 대하여 100개의 강우사상에 대한 무작위 모의를 수행하였고, 결과자료를 활용하여 대상하천에 대한 강우-오염부하량의 상관관계식을 도출하였다.

  • PDF

제주항의 수질특성과 오염부하량 산정

  • 조은일;강기봉;김종구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225-226
    • /
    • 2003
  • 육상으로부터 유입되는 오염부하와 그로 인한 제주항의 해양수질 환경특성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제주항의 수질특성을 각 항목별로 보면, 용존산소(DO)의 농도분포는 평균 7.3 mg/L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그리고 COD의 농도분포는 평균 2.2 mg/L로 대상해역의 대부분이 III등급 해역에 속하였으며 해역의 부영양화에 관계되는 영양염인 DIN과 DIP는 각각 평균 12.20 ${\mu}g$-at/L와 평균 1.18 ${\mu}g$-at/L로 2001년 개정 전 해역수질환경기준인 농도와 비교해 보면 평균농도에서 III등급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산지천의 수질특성을 보면 용존산소(DO)는 평균값은 7.4 mg/L로 하천수질기준 II등급에 해당되었으며 BOD의 경우는 평균값으로는 3.4 mg/L를 보여 하천수질기준 III등급에 해당되었다. 그리고 DIN과 DIP의 경우는 각각 4.696~5.410 mg/L와 0.306~0.332 mg/L의 범위를 보여 각각의 평균값은 5.110 mg/L과 0.315 mg/L였다. 산지천의 하천 유입부하량을 산정한 값을 보면 COD의 경우는 0.30 ton/day의 값을 보였고 DIN과 DIP의 부하량은 각각 300.0 kg/day와 18.0 kg/day의 값을 보였다. 이상에서 조사된 제주항의 수질특성과 산지천 유입부하량은 제주항의 수질관리를 위한 물질순환모델을 적용할 때 기초입력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Seasonal Variation Estimation of Inflow Pollutant Loads of Yeong-il Bay by using Tank Model (Tank모델에 의한 영일만 유입오염부하량의 계절변동 예측)

  • Lee In-Cheol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 /
    • v.6 no.3
    • /
    • pp.63-71
    • /
    • 2003
  • This study investigated about the seasonal variation of pollutant loads flowing into the Yeong-il bay from constructing Tank model which is the simulation model to evaluate the daily river discharge and pollutant load in the Hyeong-san river watershed. The estimated annual average river discharge of Hyeong-san river flowing into Yeong-il bay is about 878.34×10/sup 6/㎥/year which is about 73% of annual average of total precipitation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The annual average of pollutant load flowing into Yeong-il bay was estimated each 15.11 ton-COD/year, 23.24 ton-SS/year, 10.65 ton-TN/year, and 0.54 ton-Tp/year. For the seasonal variation of pollutant loads, it was tended as increasing of river discharge as increasing of inflow pollutant loads at June and July of summer and October of autumn. The main source of pollutant loads was found to be the Pohang city and Pohang industrial complex which are located near the mouth of Hyeong-san river. Therefore, for effective water quality management of Yeong-il bay, the counterplan to reduce pollutant loads from the main source of pollutant loads is required.

  • PDF

화산석/폴리우레탄 복합 담체를 충전한 바이오필터에서 Ethyl Acetate의 제거특성

  • 임진관;김중균;이택관;감상규;이민규
    • Proceedings of the Korean Environmental Sciences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168-171
    • /
    • 2003
  • 화산석/polyurethane 복합담체를 충전한 biofilter에서 ethyl acetate의 제거특성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탑접촉시간(EBCT)을 30 sec로 운전시에는 ethyl acetate의 유입농도가 300 ppmv 이하에서는 100%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유입부하량에 따른 제거용량을 살펴보면 유입부하량이 160 g/m3/hr 이하일때는 유입부햐량과 제거용량과는 직선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본 연구에서 ethyl acetate의 최대제거용량은 210 g/m3/hr으로 산정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