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연필름

검색결과 164건 처리시간 0.019초

초박막 산화금속 필름을 이용한 유연투명전극 (Ultrathin Partially Oxidized Metal Films and Their Applications in Flexible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 윤정흠;이건환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65-165
    • /
    • 2015
  • 유연 폴리머 기판상에 광 투과 특성을 개선한 초박형 금속 필름 기반 투명전극 소재를 개발하였다. 본 유연 투명전극의 높은 광 투과성과 전도성으로부터 유연소자의 성능향상을 검증하였다.

  • PDF

유연한 점토-폴리(비닐 알코올) 하이브리드 필름의 특성 연구: 열적.광학적 성질, 모폴로지, 및 가스 투과성 (Characterizations of Flexible Clay-PVA Hybrid Films: Thermo-optical Properties, Morphology, and Gas Permeability)

  • 신지은;함미란;김정철;장진해
    • 폴리머
    • /
    • 제35권5호
    • /
    • pp.402-408
    • /
    • 2011
  • $Na^+$-사포나이트(saponite, SPT) 필름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수용성 고분자인 폴리(비닐 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을 다양한 함량(0~10 wt%)으로 사용하여 용액 삽입방법을 통해 SPT 하이브리드 필름을 제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PT 하이브리드 필름의 열적 광학적 성질, 모폴로지, 및 가스 투과성 등을 조사하였다. PVA 농도에 따른 SPT 하이브리드 필름의 성질들은 X-선 회절도(XRD), 전계방사형 주사전자현미경(FE-SEM), 시차주사 열량계(DSC), 열중량 분석기(TGA), 열기계 분석기(TMA), 자외선-가시광선(UV-vis.) 흡광도기, 및 산소투과($O_2$TR) 측정기 등을 통해 조사하였다. SPT 하이브리드 필름의 성질들은 PVA의 무게% 농도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았으며, 적은 양의 PVA도 SPT 하이브리드 필름의 유연성을 증가시키기에 충분하였다.

Thermoplastic-nanoimprint lithography 를 위한 유연한 고분자 몰드의 제작

  • 김강인;한강수;이헌
    • 한국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료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4.2-24.2
    • /
    • 2010
  •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nanoimprint lithography (NIL)는 고분자소재의 유연성과 투명성으로 인하여, 유기전자소자나 유연한 디스플레이소자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하지만, 고분자소재는 일반적으로 열저항성과 내구성이 낮아서, 고분자 몰드를 이용한 패턴형성 시, 자외선 경화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만약 복제가 쉽고, 가격이 저렴하며, 열저항성과 내구성이 강한 고분자 몰드를 제작한다면, thermoplastic-NIL 기술에 적용할 수가 있기 때문에, 고온을 요구하는 소자의 패턴형성 공정에 사용 가능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고분자 몰드 제작을 위하여, 열저항성과 내구성이 강한 polyimide 필름과 polyurethane acrylate (PUA)를 기반으로 제작된 resin을 이용하였다. 먼저 Polyimide 필름 위에 자외선 노광을 사용하여, PUA resin 을 경화시킴으로써 패턴을 형성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몰드를 thermoplastic-NIL기술에 적용함으로써, Si 기판 위에 sub-마이크로 급 패턴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작된 고분자 몰드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NIL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몰드의 내구성을 확인하였으며, 곡면 기판 위에 NIL을 함으로써 몰드의 유연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산화분해촉매를 함유한 rPP/ZnO 나노컴포지트 유연식품포장필름 제조 및 물성 특성 연구 (Designed of rPP/d2w®/ZnO Nanocomposite Flexible Film for Food Packaging and Characterization on Mechan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 이진경;길보민;이동진;이익모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1-11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수출 가능한 식품포장재로 pro-oxidant($d2w^{(R)}$)함유 rPP/ZnO 나노컴포지트 유연필름을 제조하였고, 이 산화분해 필름의 기계적 특성과 항균기능을 조사하였다. 산화분해필름은 일정조건의 열과 자외선 처리를 거친 후 특성분석으로 FT_IR, SEM, UTM, GPC를 측정하여 물성변화를 관찰하였다. 카보닐지수와 하이드록실지수에서 열과 자외선에 노출율이 많아질수록 수치는 상승하였다. 표면분석에서는 rPP/$d2w^{(R)}$/ZnO나노컴포지트 필름의 경우 표면이미지가 매끈하여 ZnO의 첨가가 고분자의 상용성을 향상시켰고, 열과 자외선차단효과로 분해를 감소시키는 효과로 작용하였다. 항균력시험에서는 그람음성균은 대장균으로 그람양성균은 황색포도상구균으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로는, ZnO는 시험에 사용한 농도에서 3로그 이상의 미생물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유연 필름용으로는 ZnO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투명도가 떨어지므로 사용에 제한이 있었다. rPP/$d2w^{(R)}$/ZnO가 함유한 시편에서 인장강도는 40% 상승하였고, 신율은 30% 감소되었다. ZnO를 첨가한 경우 기계적 물성상승과 열 안전성과 자외선차단성을 나타내었다. 산화분해능은 열 노출 $70^{\circ}C$ 온도에서 480시간 경과한 후, 자외선 조사로 72시간 노출 이후 시점의 분자량은 수평균분자량이 1,294 g/mol, 무게평균분자량이 5,920 g/mol로 분해되는 결과를 얻었다. 이것으로 UAE 5009:2009, ASTM 6954의 기준에 준한 필름을 제조할 수 있었다. 비교시편과 본 연구에서 제조한 산화분해필름의 분자량이 80.7%와 75.6% 감소한 결과를 얻음으로서, 자연 산화분해됨을 확인하였다. 식품포장재로서 안전성분석에서는 국내법 중 식품접촉플라스틱 폴리프로필렌의 기준에 적합하였다.

도금 하지층으로 금속 증착막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제조 (Fabrication of electromagnetic shielding film used metal evaporated thin film for under coated layer)

  • 이성준;김동현
    • 한국표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표면공학회 201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58
    • /
    • 2013
  • 폴리에스테르 필름상에 무전해 Cu 도금 및 무전해 Ni-P 도금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 박형 전자파 차폐 필름의 제조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무전해 도금의 전처리 방법으로 기존의 Pd 촉매를 사용하는 대신에, 증착법에 의한 Sn 피막의 형성으로 전자파 차폐 특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박형 전자파 차폐 필름의 형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 PDF

덱스트란 필름의 제조 및 개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Dextran Film and Its Modification)

  • 김성현;김병훈;김도만;조동련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778-784
    • /
    • 2002
  • 덱스트란 용액으로 필름을 제조하여 여러 가지 특성들을 살펴보았으며, 가소제 및 가교제를 첨가하거나 저온 플라스마로 표면을 처리함으로써 이러한 특성들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를 살펴보았다. 덱스트란 필름은 기계적 강도는 우수하였으나 부스러지기 쉽고 수분에 대단히 약한 특성을 보였다 가소제를 첨가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크게 개선되는 대신에 기계적 강도가 크게 약화되었다. 하지만, 가소제를 첨가한 다음 가교제로 가교시키거나 함께 첨가할 경우에는 비교적 우수한 기계적 강도와 함께 유연성을 지닌 필름이 제조되었으며, 수분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되었다. 또한, 아세틸렌 플라스마로 처리할 경우 필름 자체의 특성은 크게 변하지 않으나 친수성인 표면이 소수성으로 바뀌었다.

항균 특성을 위한 나노구조 유연 필름의 제작 및 평가 (Fabrication and Assessment of Flexible Nanostructured Film for Antibacterial Properties)

  • 박현하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105-109
    • /
    • 2022
  • In the field of medical and marine industries, antibacterial surfaces have been emerg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Recently, many researchers have been studying antibacterial surfaces to kill bacteria or prevent the adhesion of bacteria. In their researches, various materials and structures are suggested to inhibit the adhesion of bacteria or kill the attached bacteria. However, chemical materials such as antibiotics or metal could be toxic. Moreover, frequent use of antibiotics causes super bacteria having resistance to antibiotics. In this study, nano-pillar structured surface was fabricated using polyurethane acrylate (PUA) and the mechanically induced antibacterial function was confirmed based on the fabricated nanostructures. Nanostructures can damage the bacterial membrane of Gram-negative bacteria through stretching of bacterial membrane via interaction with the nanostructures and the bacterial membrane. Consequently, the proposed transparent, flexible and nanostructured PUA films can be one of promising candidates for antifouling and antibacterial surfaces which can be applied in various industries.

용액 코팅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고분자 유연 패턴필름 제조 (Manufacturing of Flexible Patterned Cover Film for Solar Cell by Solution Coating)

  • 박찬욱;강호종
    • 폴리머
    • /
    • 제37권5호
    • /
    • pp.656-662
    • /
    • 2013
  • 태양전지의 효율 증가를 위하여 유리비드가 함유된 polymethyl methacrylate(PMMA) 용액을 PMMA 필름 위에 코팅하여 유리비드가 코팅된 고분자 유연 패턴 필름을 제조하고 패턴 필름이 태양전지 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필름 위에 코팅된 유리비드로 인하여 빛의 입사각 0도에서 90도 범위에서 태양전지의 상대효율이 최대 3.4%까지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효율 증가는 빛의 입사각 변화에도 필름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구 형태의 유리비드로 인하여 빛이 수직으로 입사되어 방향성에 의한 태양전지 효율 감소가 최소화되기 때문이다. 태양전지상대효율 증가는 필름 표면 위의 유리비드가 반구의 형태를 가질 때 가장 높으며 유리비드 함량에 따라 증가되나 유리비드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 오히려 광 투과도 감소 및 빛의 간섭 효과에 의하여 상대효율이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