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아 행동 인식

검색결과 57건 처리시간 0.021초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aternal family-of-origin experiences : focused on the mediated effect of value of children)

  • 신건호;심혜숙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227-237
    • /
    • 2018
  • 본 연구는 자녀가치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어머니의 원가족 경험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만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 24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 경험, 양육태도, 자녀가치 척도로 구성된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원가족 경험은 자녀가치에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어머니의 자녀가치 역시 양육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원가족 경험은 양육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녀가치는 원가족 경험과 양육태도 간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원가족 경험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높을수록 긍정적 자녀가치를 갖게되고, 자녀가치는 곧 양육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긍정적 자녀가치를 형성할 수 있는 다각적 방안과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공동양육자인 아버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녹색소비 실천교육이 유아의 녹색소비 인식 및 행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Green Consumption Practice Program for young children)

  • 전예화;제미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527-537
    • /
    • 2012
  • Green consumption refers to a variety of activities including use and purchase of eco-friendly products and services and disposing of products in an eco-friendly manner. The goal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green consumption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offered to young children in a university-sponsored daycare. The education and awareness program was designed to improve young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s toward the environment through green consumption education. The program was presented to 22 5-year old children in 15-20 minutes sessions, once a week for 4 weeks. Evaluation of the program was carried out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with the children and their mothers. Upon the completion of the green consumption education program, there were noticeable changes in children's knowledge and behavior toward the environment. Mothers of participating children reported that children's environmental behaviors changed significantly, displaying a stronger green consumption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environmental educational program during early childhood educational is an effective way of improving children's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and conservation practices.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인식 : Q방법론적 접근 (Happiness of kindergarten teachers: A Q-methodology approach)

  • 류칠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433-441
    • /
    • 2016
  •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가 인식하는 행복을 이해하고 구조적 유형을 분석하여 유치원 교사의 행복 유형별 특징을 제시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유치원 교사의 행복감을 증진하여 유아교육의 질적수준을 증진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은 D지역의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 41명을 무선 표집하였으며, 행복에 대한 인간의 주관성을 심층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방법론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유치원 교사의 행복에 대한 구조적 유형은 자신이 하는 일의 세계에서 고유의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하는 것에서 행복을 느끼는 자아 실현형, 행복은 지금 자신 안에 있으며, 자신에게 주어지는 모든 일에 기뻐하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내적 만족형, 가족이나 좋아하는 사람 뿐 만 아니라 무엇보다도 다른 사람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것과 사람들 간의 인간관계에 중요한 행복의 가치를 두는 사회 관계형, 다른 사람의 시선에 신경 쓰지 않고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생활하는 것과 자유롭게 행동하며, 가족이나 친밀한 사람과 함께 지내는 개인중심의 신념과 태도를 강조하는 개인 신념형의 4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유아대상 동요활동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n Effects of Singing Activities for Children)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218-228
    • /
    • 2017
  • 본 연구는 유아대상 동요활동의 효과성을 살피기 위해, 지난 16년 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석 박사 학위논문 및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관련된 요인에 대해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고, 요인들의 변화추이를 살피기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동요활동 관련 요인들의 전체효과크기와 요인군들은 모두 유의미한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요인군과 문화예술적 요인군은 큰효과크기를 보인 반면, 심리 정서적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요인군의 하부요인은 타인인식능력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유의미한 큰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자연친화적행동이 상대적으로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 정서적 요인군의 하부요인 중 자기표현능력과 자기조절능력은 큰효과크기를 스트레스억제와 정서지능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예술적 요인군의 하부요인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창의적 능력을 제외한 모든 요인이 큰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출판연도에 따른 효과크기 변화추이를 분석한 결과, 동요활동 관련 요인들의 전체효과크기와 사회적 요인군, 심리 정서적 요인군, 문화예술적 요인군 등 각 요인군 별 효과크기 변화추이가 최근 출판물에 가까울수록 활동효과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주목할 만한 시사점은 동요활동을 통한 효과에 있어 상대적으로 미진한 심리 정서적 효과 촉진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노력이 있어야 하며, 현 유야 교육관점에 맞는 창의력 효과 증진을 위한 체계화된 동요활동 구성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유아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보호자의 구강건강 인식도 조사 (A Survey of Parent's Oral Health Perception for the Oral Health Promotion of the Preschool Children)

  • 박향숙;김진수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35-139
    • /
    • 2007
  • 유아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한 보호자의 구강건강 인식도 조사대상은 인천광역시 동구관내 유치원 및 어린이집 25곳을 방문하여 아동으로부터의 결과는 아동의 보호자 360명 이었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어린이집)에서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했는지 묻는 설문에 실시했다고 응답한 사람이 254명(74.5%)이고 실시하지 않았다라고 응답한 사람이 87명(25.5%)으로 나타났다. 유치원 및 어린이집 이외에서 구강보건교육을 실시한 경험이 있는지 묻는 설문에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사람이 70명(20.5%)이고 경험이 없다고 응답한 사람이 271명(79.5%)으로 나타났다. 2. 자녀의 구강건강행동 및 태도 관찰여부 치과방문경험이 있는지 묻는 설문에 249명(73.0%)이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92명(27.0%)이 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였다. 자녀의 칫솔질 방법을 관찰하는지 묻는 설문에 321명(94.1%)이 관찰한다고 응답하였고 20명(5.9%)이 관찰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다. 3. 모친의 취업여부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 모친의 취업유무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p < .01). 4. 구강보건교육 인지도 및 사전경험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 구강보건교육 인지여부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p < .001). 5. 자녀의 구강건강행동 및 태도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 치과방문 경험유무, 자녀의 칫솔질방법 관찰여부, 자녀의 치아 관찰여부에 따른 구강보건교육 실시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게 나타났다(p < .01, p < .001). 자녀의 치아건강관심에 따른 구강보건교육실시여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 PDF

유치원 친환경급식 실시에 따른 학부모의 인식도 및 유아의 식행동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 배지원;오명숙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646-658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households, parental percep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environment-friendly food service group; EFG) versus children from kindergartens with general food service (general food service group; GFG). We sought this basic information to examine the impact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preschool food services. Age, education level, and monthly family income of the EF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GFG. The frequency of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FG than the GFG, with the most frequently purchased items in both groups being vegetables. The G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than the EFG in the superior quality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owever, a greater proportion of the GFG than the EFG thought environment-friendly products were too expensive. The most frequent reason for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both groups was safety. When purchas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e most important selection factor for the majority of both groups was the label certifying quality assurance. Both groups also considered price reduction as essential for promoting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In regard to parental perceptions on food service in kindergarten, the EFG had a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nutritional adequacy of the menu compared to the GFG. Both groups considered food safety and health as primary reasons for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with a greater proportion of the EFG than the GFG responding this wa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FG and GFG, as the main satisfaction from using environment-friendly foods in the EFG was safety, freshness, and good hygiene, whereas the main satisfaction in the GFG was a good food service menu, freshness and good hygien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in the EFG were also significantly superior to the GFG. Thus,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dietary behaviors of preschool children and should be increased in the preschool food service. Lowering prices and a strict supervision of quality assurance is also necessary to promote consumption of environment-friendly food materials.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Program to Improve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on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Skills)

  • 이은주;박인희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5권3호
    • /
    • pp.721-72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참여가 자기주도학습능력의 동기, 인지, 행동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D지역 소재, 대학교 재학생 2,302명으로, 데이터 수집은 2022년 3월 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이루어졌다. 자기주도학습능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751명)과 참여하지 않은 대조군(1551명)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0.24점 증가하였고, 대조군은 0.08점 증가하여 두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t=34.89, p<.001)를 나타냈다.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따른 자기주도학습 능력 점수의 사후 비교분석에서, 프로그램 참가 1회~3회와 4회~6회는 0.067점 차이(p<.001), 4회~6회와 7회 이상은 -0.135점 차이(p<.001), 1회~3회와 7회 이상은 0.067점 차이(p<.001)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자기주도학습능력은 대학 교육에서 중요한 역량으로 인식되며, 프로그램참여를 촉진하고 참여 횟수를 높이는 노력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