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유아 교사의 이론과 실천에 관한 고찰: bottom-up 관점을 중심으로 (Theories and Practice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Bottom-up Perspectives)

  • 김미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6호
    • /
    • pp.107-119
    • /
    • 2017
  •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이론과 실천의 관계에서 교수 행위를 바라보는 상반된 두 가지 관점 중 bottom-up 관점에서 유아 교사의 실천을 탐색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적으로 유아교육에서는 top-down 관점을 중심으로 발달심리학 이론, 발달에 적합한 이론과 실제에 관한 담론, 그리고 발달이론에 근거하여 개발된 다양한 프로그램모델의 틀 안에서 유아교사의 실천과 교수행위를 정의하고 합리화해 왔다. 둘째, 이와 반대로 bottom-up 관점은 현장에서의 교사의 행위와 실천이 이론을 이끈다고 보며 반성적 사고를 통해 교사가 현장에서 실천방법을 구성해 가는데 초점을 둔다. 이 관점에서 실천은 이론의 근거가 되며, 교사는 암묵적 이론을 형성하면서 연구자의 역할을 한다고 보면서 개인경험, 학교풍토와 맥락, 그리고 우세한 교육담론이 교사의 이론을 구성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본다. 셋째, 실제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결과로부터 예비교사는 경험으로부터 오는 교수에 대한 기대가 양성과정에서의 담론과의 교류, 실습 및 학교의 영향으로부터 교수에 대한 이론을 발달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현직교사들은 그들이 지닌 암묵적 지식의 전개가 지속적인 전문성 발달과 관련이 있으며 행정적 압력 및 현장의 복잡한 현실적인 문제들을 개인적으로 발달시킨 전략을 사용하여 해결함을 보여준다. 연구 결과에 따라 bottom-up 관점에 근거한 향후 교사 실천에 관한연구 방향과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유치원 초임교사의 교육계획안 개발에서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협력 모형 구안 (Developing a Collaborative Model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Knowledge o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t First Career Period)

  • 황윤세;강현석
    • 아동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233-251
    • /
    • 2007
  • This study explored the contents of practical knowledge about educational planning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 constructed by kindergarten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and then developed a collaborative model of educational planning. Subjects were 6 teachers at early career stages. Using the ethnographic method, data were collected by in-depth interviews. Research outcomes were : (1) teachers specifically worked on 'difficulties in adapting to the teaching job', 'age of children that the teacher cares for', 'integration of theory and practice', and 'variety of actual teaching situations.' (2) A model for collaborative educational planning was constructed on the basis of review of the literature on teachers' knowledge, educational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curriculum, and learning of community.

  • PDF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한 초임 유아교사의 유아관찰 평가의 실천과 반성 (Child Observation Assessment Practice and Reflections of a First-year Early Childhood Teacher Through Collaborative Action Research)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159-170
    • /
    • 2020
  • 유아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교직 입문 과정에서 초임 유아교사들은 충분한 배경지식이나 실제적 지도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협력적 실행연구를 통하여 한 초임 유아교사가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신념과 실제를 반성적으로 바라보고 실천적으로 개선해나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한다. 실행연구의 순환과정을 통해 참여교사는 유아관찰평가에 대한 자신의 신념과 접근방식을 반성적으로 들여다봄으로 스스로를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임 유아교사의 교직 입문을 지원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으로 협력적 실행 연구의 적용을 제안하고자 한다.

액션러닝 교수법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의 부모교육 수업 사례연구 (Case Study Using Action Learning on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 김숙령;박정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48-157
    • /
    • 2017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 대상 부모교육 수업을 액션러닝으로 운영한 사례를 분석하여 부모교육 수업에서 액션러닝이 어떻게 활용 될 수 있는지 그 효과를 제시하였다. 대전에 위치한 P대학교 유아교육학과에 재학중인 예비교사 32명(유아교육학과 30명, 복수전공자 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동안 이론과 실제 액션러닝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매주 작성한 성찰일지, 조별과제, 심층면담자료, 동료 및 자기 평가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질적 사례연구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액션러닝 교수법은 학생 주도적, 그룹수업 경험을 통해 다양한 사고를 접하고 사고의 폭을 확장할 수 있었다. 예비 부모로서, 예비 유아교사로서 부모로서의 역량과 부모접하기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험을 하였다. 실제 갈등 상황을 해결해 보는 경험을 통한 실천적 지식의 획득은 어려운 부분도 있었지만, 부모역할과 유아교사 역할이 힘들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경험과 앞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실제 상황 해결에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on Climate Change)

  • 김세루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79-386
    • /
    • 2022
  •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G광역시 G대학교 예비유아교사 1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를 수집하여 빈도와 백분율, 다중응답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인식은 모두가 인지하고 있었으며, 온실효과 개념, 기후변화개념, 온실가스 종류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요구되며 과학적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에 대해 지구온난화 원인과 기후변화신호에 대해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구온난화 영향에 대한 인식은 높았으나 종합적인 이해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 대응에 대해 기후변화협약은 어느 정도 알고 있으며 기후변화 방지 주체는 국제사회로 인식하고 기후완화노력은 개인에 한정되어 나타났다. 생활 속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실천내용에 있어서 대부분 잘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후변화에 대한 예비유아교사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예비유아교사가 경험한 프로젝트 접근법 (Learning Experiences of the Project Approach i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양정은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457-46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가 학습자중심 교사교육을 통해 배워가는 학습경험과정과 그 학습경험이 그들에게 주는 의미를 통해 그 가치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유아교육 접근법 중 하나인 프로젝트 접근법 이론을 학습하고 직접 실행해 보는 학습경험을 살펴보기 위해 완전한 참여자로서 참여관찰, 개인면담 및 개인성찰일지, 활동 보고서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예비유아교사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과정의 의미는 본인 관심으로 시작된 문제를 해결해 가는 중 유목적적인 실행을 통해 학습에 몰입하였으며, 자신이 경험한 학습의 기쁨을 타인과 공유하고 싶어 했다. 그리고 행위와 사고의 주체자로서 자신을 인식하며 이러한 학습경험을 토대로 자신의 학습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프로젝트 이론과 실행이 동시적으로 진행되어 프로젝트를 내면화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며, 실제 상황의 경험을 통해 프로젝트의 변형 가능성을 체득하게 되었다. 종합해보면, 프로젝트 접근법은 예비교사에게 이론적 지식을 습득하게 하는 것뿐만 아니라, 학습의 주체로서의 경험을 통해 반성적 사고를 하고 실천적 지식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가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따라서 예비교사를 교육하는 한 방안으로써 프로젝트 접근법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유아교사'를 경험한 '엄마'의 양육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arenting Characteristics of mothers experienced child care teachers)

  • 박지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48-56
    • /
    • 2016
  •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양육지식에 대한 학습을 바탕으로 현장에서 영유아 교사를 수행한 경험이 실제 자녀 양육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알아봄으로써 이를 통해 예비부모시기에 필요한 양육지식에 관한 틀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5년 7월 둘째 주부터 8월 셋째 주까지 총 7주에 걸쳐 참여자별로 심층면담 5회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교사 출신 엄마의 양육과정에서는 대화가 중심이 되고, 아이 방을 유치원 교실과 같이 활동 영역을 준비해주는 환경구성을 중시하였으며, 내 아이는 달라야 한다는 부담감과 아는 만큼 엄마로서 스스로를 평가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부였다. 이는 경험의 재창조를 통해 양육과정이 나아갈 방향을 알고 긍정적인 양육을 실천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일부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보건지식 및 실천정도 분석 (Analysis of the Oral Health Knowledge and Practice of Teachers in Som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김수화;임미희;정재연;황윤숙;이선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79-385
    • /
    • 2010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구강건강지식 및 구강건강실천정도를 파악하고자 유아교육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사 1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SPSSWIN 14.0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강건강지식정도에 있어서 치아우식증 관련지식 평균 7.97(9), 잇솔질 2.66(3), 치주조직병 2.86(5), 불소 2.42(5), 식이 1.04(2)로 나타났으며, 전체 24문항을 기준으로 평균 16.98로 100점으로 환산시 70점 정도의 구강건강지식 수준을 보였다. 2. 구강건강실천정도는 혀닦기를 하는 경우가 4.22로 가장 높은 반면, 정기구강검진에 있어서는 2.60으로 낮게 나타났다. 전체 구강건강실천정도는 3.11정도의 수준을 보였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지식과의 차이는 전체적인 지식에 있어 30대 연령 17.47, 5년 이상-10년 미만의 교육경력 17.50, 대졸이상 17.27, 원장인 경우가 18.26, 교육경험이 있는 경우가 17.01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일반적 특성에 따른 구강건강실천정도와의 차이는 연령에 있어서 당분섭취제한, 정기구강검진, 구강위생보조용품사용, 혀닦기, 전체적인 구강건강실천정도에 있어 나이가 많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5. 구강보건지식정도와 구강건강실천정도와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각 영역별로 구강보건지식이 높을수록 실천정도가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지속적인 구강보건교육을 통한 지식의 향상은 물론 구강보건실천 향상도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한계 (Borderlin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urriculum' via Metaphor Analysis)

  • 이경화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31-149
    • /
    • 2016
  •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potentially relevant to the teaching practice in his/her classroom. The research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urriculum' via conceptual metaphors. The participants (N=348) completed a prompt, "Curriculum is like A because B" and then the metaph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Moser (2000). The analysis found that 8 themes (i.e. 'educational basis', 'learning opportunity', 'educational material', 'difficulty', 'change', 'pre-determination', 'discordance', and 'reconstruction') were the underlying conceptions signified in those metaphors. The implica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ere discussed on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curriculum. Moreover, it recommended the practical knowledge based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transformation of current policy for program evaluation relevant to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교육공동체 참여경험과 그 의미 (Experienc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al Community in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Using Storytelling and its Meaning)

  • 김경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219-228
    • /
    • 2021
  • 본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유아교사들 간 그리고 연구자와의 협력적 관계로 이루어진 교육공동체 참여 경험을 살펴보고, 그 경험의 의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 소재 유치원 교사 3명과 연구자가 2016년 3월 14일 교육공동체의 형성으로 시작되어 2016년 7월 26일까지 진행되었으며, 교육공동체 모임 토의전사자료, 교사와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자료, 교사의 개별면담 전사 자료를 수집하여 질적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교육공동체 참여 경험은 개인적 수학경험과 수학적 상황을 공유하고 공유를 통해 수학내용지식을 이해하고 학습하였으며, 교육공동체를 통해 소통하면서 자신의 수학적 경험에 대하여 반성적 사고를 하였다. 둘째,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교육 공동체 참여 경험의 의미를 살펴보면 수학적 오류를 통해 함께 배우고, 공유를 통해 더 나은 수업의 방향을 습득하여 협력적 수학탐구과정을 즐기는 교사로 성장하였고,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에서의 협력을 통한 공동실천을 증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