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Borderlines in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urriculum' via Metaphor Analysis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한계

  • Received : 2016.06.15
  • Accepted : 2016.08.12
  • Published : 2016.08.31

Abstrac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is potentially relevant to the teaching practice in his/her classroom. The research explored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of 'curriculum' via conceptual metaphors. The participants (N=348) completed a prompt, "Curriculum is like A because B" and then the metapho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dure proposed by Moser (2000). The analysis found that 8 themes (i.e. 'educational basis', 'learning opportunity', 'educational material', 'difficulty', 'change', 'pre-determination', 'discordance', and 'reconstruction') were the underlying conceptions signified in those metaphors. The implications regard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were discussed on the perspective of post-modern curriculum. Moreover, it recommended the practical knowledge based approach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and transformation of current policy for program evaluation relevant to curriculum conceptualization.

Keywords

References

  1. 김두정 (2009). 교유과정 실행에 관한 교사의 이론: 혼합적 연구방법을 통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의 탐구. 교육과정연구, 27(3), 127-157.
  2. 김민정 (2012). 교사의 실천적 지식 이해: 구조와 내러티브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1), 191-206.
  3. 김영천, 주재홍 (2009).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생각해보는 교육과정 연구: 탐구주제와 연구영역들. 교육과정연구, 27(2), 1-31.
  4. 김윤희, 황해익 (2015). 누리과정 이해와 실행에서 나타난 공립유치원 교사의 실천적 지식 탐색. 유아교육논집, 19(4), 339-364.
  5. 김은미 (2014).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유아교사의 실행수준과 실천적 지식 및 교사 효능감 분석.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은주 (2010).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7-46.
  7. 김현수 (2016). 교육실습과정 중 예비유아교사가 형성한 실천적 지식과 그 형성과정에 관한 탐구: 교사-유아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역할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4(1), 275-302.
  8. 박민정 (2005). 포스트모더니즘 담론과 교육과정 논의의 쟁점. 교육과정연구, 23(4), 37-57.
  9. 배소연 (1993).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과 교사교육의 방향. 교육학연구, 31(5), 153-171.
  10. 염지숙 (2011). 교육과정 실행 주체로서의 유치원교사의 역할과 전문성. 유아교육학논집, 15(6), 295-310.
  11. 유영옥 (2008). 유아교사의 미술수업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탐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이경화 (2014). 국가수준 영.유아교육기관평가의 평가지표에 대한 비판적 탐색. 한국교육, 41(2), 107-137.
  13. 이경화, 손유진 (2014). 유아교사들이 인식한 "가르침의 순간"의 의미 분석. 유아교육연구, 34(3), 175-196.
  14. 이부미 (2011). 다문화 교육의 혼돈과 이해의 과정: 안산 '원곡동'현장 연구. 유아교육논집, 15(5), 103-127.
  15. 이성희, 박은혜 (2012).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계획.실행.평가에 나타난 실천적 지식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4), 319-353.
  16. 이정욱 (2000). 교사의 지식과 유아교사 교육. 한국교원교육연구, 17(1), 355-378.
  17. 이진경 (2002). 철학과 굴뚝청소부. 서울: 그린비.
  18. 임승렬, 이은정 (2014). "예측하지 못한 수업상황"에서 나타난 유아교사의 실천적 지식에 대한 탐구. 유아교육학논집, 18(2), 495-518.
  19. 임지룡 (2006).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 29, 29-60.
  20. 최성운 (2014). 유아수학교육 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한 유아교사들의 실천적 지식의 변화.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최윤정 (2005).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국제비교연구: 8개국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4), 5-32.
  22. 한국교육과정학회 (2010). 교육과정: 이해와 개발. 서울: 교육과학사.
  23. 한은미, 이경화 (2014). 개념적 메타포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유아에 대한 신념. 생태유아교육연구, 13(4), 1-22.
  24. 허미애 (2007). 유아교사의 이야기나누기에 대한 실천적 지식탐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Aoki, T. (1991). Teaching as Indwelling between two curriculum worlds. In W. F. Pinar & R. L. Irwin (Eds.), Curriculum in a new key: The collected works of Ted Aoki (pp. 159-165). Mahwah: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Apple, M. (1979). Ideology and curriculum. London: Routledge and Kegan Paul.
  27. Berliner, D. (1990). If the metaphor fits why not wear it? The teacher as executive. Theory into Practice, 29(2), 85-93. https://doi.org/10.1080/00405849009543437
  28. Cherryhomes, C. H. (1988). Power and criticism: Poststructural investigation in education. NY: Teachers College Press.
  29. Chou, C. (2008). Exploring elementary english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 case study of EFL teachers in Taiwan.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9(4), 529-541. https://doi.org/10.1007/BF03025668
  30. Connelly, F. M., & Clandinin, D. J. (2007). Teachers as curriculum planners: Narratives of experience, 교사와 교육과정: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강현석, 박민정, 소경희, 조덕주, 홍은숙 옮김). 서울: 양서원(원판 1988).
  31. Doll, Jr. W. E. (1993).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NY: Teachers College Press.
  32. Hiebert, J., Gallimore, R., & Stigler, J. W. (2002). A knowledge base for the teaching profession: What would it look like and how can we get one? Educational Researcher, 31(5), 3-15.
  33. Hyun, E. (2006). Teachable moments: Re-Conceptualizing curricula understandings. NY: Peter Lang Pub.
  34. Hyun, E., & Marshall, J. D. (2003). Teachable moment-oriented curriculum practice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5(1), 111-127. https://doi.org/10.1080/00220270210125583
  35. Inbar, D. (1996). The free educational prison: Metaphors and images. Educational Research, 38(1), 77-92. https://doi.org/10.1080/0013188960380106
  36. Kincheloe, J., Slattery, P., & Steinberg, S. (2000). Contextualizing teaching. NY: Longman.
  37. Meijer, P. C., Zanting, A., & Verloop, N. (2002). How can student teachers elicit experiences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Tools, suggestions, and significan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3(5), 406-419. https://doi.org/10.1177/002248702237395
  38. Moser, K. S. (2000). Metaphor analysis in psychology: method, theory, and fields of application. Forum: Qualitative Social Research [On-line journal], 1(2).
  39. Pinar, W. (2005). What is curriculum theory?, 교육과정 이론이란 무엇인가?(김영천 옮김). 서울: 문음사(원판 2004).
  40. Pinar, W., Reynolds, W. M., Slattery, P., & Taubman, P. M. (1995). Understanding curriculum. NY: Peter Lang.
  41. Schubert, W. (2004). Curriculum and pedagogy for reconstruction and reconceptualization. Journal of Curriculum and Pedagogy, 1(1), 19-21. https://doi.org/10.1080/15505170.2004.10411471

Cited by

  1. 유아교사들의 교육활동에서 드러나는 아동관과 교육과정에 대한 이해: 발달과 배움의 관점에서 vol.39, pp.5,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9.39.5.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