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산소성 운동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7초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발표논문집 2부
    • /
    • pp.841-844
    • /
    • 2010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을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개발하여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PDF

슬관절과 견관절의 초기재활과정에서 관절운동범위와 스트레칭, 그리고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 (Range of Motion, Stretching, and Aerobic Exercise in Accelerated Rehabilitation of Knee and Shoulder)

  • 김용권;진영수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6-61
    • /
    • 2003
  • 본연구는슬관절과견관절의초기재활과정에서관절운동범위와스트레칭, 그리고유산소성운동프로그램에대한논문이다. 만약관절이손상후장기간동안고정된다면관절이굳어지고 근육은위축이 될것이다. 그러므로본 프로그램은다양한운동기술을포함하고있다. 즉관절의경직을예방하기위한운동범위확보와근육의이완을위한스트레칭, 심폐기능의감소를예방하기위한심혈관훈련(수영, 상체자전거, 고정식자전거)을포함하고있다. 초기재활과정에서는임상운동전문가와환자사이의상호관계를형성하는것이매우중요하다. 또한임상운동전문가는환자의통증과운동적응도, 체력수준, 프로그램의진행등에관해스포츠의학전문의와상의하는것이권장된다.

  • PDF

유산소성 운동과 비만교육이 비만 여고생의 렙틴 및 인슐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Obese Education on the Insulin and Leptin in Obese Girls′ High School Students)

  • 이재규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796-802
    • /
    • 2002
  • 본 연구는 BMI가 26kg/$m^2$ 이상인 비만여고생 30명을 대상으로 유산소 운동과 비만교육집단(8명), 유산소운동집단(8명), 비만교육집단(8명), 통제집단(6명)으로 나누어 8주 동안 유산소 운동과 비만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와 프로그램 중단 8주 후의 신체조성, 인슐린, 렙틴, 혈청지질의 변화를 구명하기 위하여 유산소 운동은 8주 동안 조깅을 최대심박수의 65~75%의 운동강도로 매회 50분, 주당 4회씩 실시하였으며, 비만교육은 주1회, 60분 동안 실시하였다. 인슐린과 렙틴에서 유산소 운동과 비만교육집단, 유산소 운동집단에서 프로그램 전과 프로그램 중단 8주 후보다 프로그램 후가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여고생들의 비만 관리를 위해서는 지속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운동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 분말 섭취와 유산소성 운동훈련에 의한 마우스의 에너지 대사 변화 (Effects of Grasshopper (Oxya chinensis sinuosa Mistshenko) Powder and Aerobic Exercise on Energy Metabolism in ICR Mice)

  • 김이슬;전병덕;최석립;김우철;이동운;류승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5권1호
    • /
    • pp.53-6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벼메뚜기(Oxya chinensis sinuosa) 분말 섭취가 유산소성 운동훈련(트레드밀 달리기)의 병행 유무에 의해 ICR 생쥐의 에너지 대사를 증가시키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8 마리의 ICR 생쥐를 보통식 대조군(CON), 보통식 대조군으로서 운동훈련 병행군(COEX), 벼메뚜기 분말이 혼합된 사료 섭취군(GH), 그리고 벼메뚜기 분말이 혼합된 사료를 섭취함과 동시에 운동훈련을 병행군(GHEX)으로 구분하였다. 벼메뚜기 분말 사료섭취 및 운동은 6주간 진행하였다. 체중증가율은 유의하지 않았다. 지방량은 GH와 GHEX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혈중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와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 수준은 처치 집단간 변화가 없었다. 제2형 당수송체 및 제4형 당수송체는 처치 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GHEX의 fibronectin type III domain-containing protein 5 단백질 발현량이 가장 높았다. AMP-activated protein kinase 단백질 수준은 GHEX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Glycogen synthase kinase 3 beta 단백질 발현량은 GHEX가 CON과 비교할 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벼메뚜기 분말을 섭취하면서 지구성 운동훈련을 하는 경우에 에너지 대사에 영향을 준다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유산소 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혈중 MDA 및 SOD, GPx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erobic Exercise with Resistance Exercise Programs on Blood MDA and SOD, GPx Activities in Elderly Women)

  • 남상남;김종혁;지민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1호
    • /
    • pp.391-398
    • /
    • 2009
  • 본 연구는 활성산소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는데 관여하는 항산화 효소계를 강화시키는 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노인 여성 12명을 대상으로 12주간 포크댄스를 통한 유산소성 운동(HRmax 50-60% 수준, 주 2회, 60분)과 탄력밴드를 이용한 근 저항성 운동(주 2회 60분)을 실시하여 혈중 MDA 및 항산화 효소인 SOD, GPx 활성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규칙적인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이 항산화 효소인 SOD와 GPx의 활성도를 복합운동 전에 비해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유산소운동을 병행한 근 저항성 운동인 복합운동은 노인들의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시켜 항산화계의 강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트레드밀 보행운동이 무용전공학생과 일반학생의 유산소 운동능력에 대한 비교 (The Effects on the Aerobic Function of Major in Dance and Common Students after Treadmill Gait Exercise)

  • 서교철;박승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79-84
    • /
    • 2019
  • 20대 무용전공자들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보행운동이 유산소 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대 한국무용 전공자 10명과 일반 여대생 10명을 대상으로 트레드밀 보행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실험 전과 후에 심박수 회복율, 최대산소섭취량, 최대환기량, 젖산 회복율을 측정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자료는 SPSS win 16.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 후 유산소 운동능력의 변화를 비교해 보면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심박수 회복율과 젖산 회복율에서 유의한 증진의 효과가 나타났으며, 최대환기량과 최대산소섭취량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실험전후 집단 간 검증에는 심박수 회복율에서 유의한 수준으로 높게 나타났다. 한국무용 전공자의 트레드밀 훈련을 통해 유산소성 운동능력을 증진시켜 기초체력의 향상에 도움이 줄 수 있으며 과학적인 운동처방의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혈중지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Low Intensity Resisted and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Blood Lipid in Chronic Stroke Patients)

  • 이동엽;조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753-758
    • /
    • 2011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 운동 훈련을 적용하여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6개월 이상 장애를 가진 37명의 환자가 연구에 참여하였고, 저강도의 저항운동군 19명과 유산소운동군 18명으로 나뉘었다. 저강도 저항운동군은 저강도의 저항운동 훈련을 이용하여 50분씩 주 5회, 8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전과 후의 혈액학적 특성인 혈중 지질을 측정하여 본 연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운동군은 순수하게 유산소 운동만을 실시하였다. 통계처리 방법으로 실험 전. 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저강도의 저항운동군은 혈액학적 특성에서 TG, TC HDL-C, LDL-C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p<.05), 유산소 운동군에서는 TC와 LDL-C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흥미를 유발하고 기능회복의 효과를 강화할 수 있는 저강도의 저항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훈련을 환자의 시기별, 등급별로 적용 가능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복합운동의 운동유형 순서변화가 비만여성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anging the Order of Exercise Types on Body Composition and Blood Lipid in Obese Women)

  • 한창수;이규승;이무식;황혜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888-3894
    • /
    • 2009
  • 본 연구는 복합운동 유형 순서 변화에 따른 생리적, 생화학적 변화를 비교 하고자 40대 비만여성(n=18)을 대상으로 12주간 복합운동을 실시하였다. 복합운동 유형은 유산소성 운동과 저항성 운동그룹 A(n=9) 그리고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성 운동그룹 B(=9)로 구성하였다. 체지방량의 경우 A그룹의 평균변화량이 B그룹 평균변화량보다 더 많이 감소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혈당의 경우는 A그룹보다는 B그룹이 더 많이 감소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따라서, 비만 중년 여성의 체중감량을 위한 신체구성 변화 유도를 위해서는 복합운동의 순서 변화에 따른 운동유형이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질 수 있다.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지표 및 Myokine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Combined Exercise on Fall Injury Index and Myokine in Older Adults)

  • 박우영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89-199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운동이 노인여성의 낙상관련 지표 및 마이오카인에 미치는 효과를 보는데 있다. 근감소증은 근력의 손실로 인해 발생하고, 기능적 상태의 감소, 활동력의 저하에 따른 낙상의 위험성이 높아지고 끝내 사망의 위험성이 높아지게 된다. 유산소운동은 대근을 이용한 리듬과 반복적인 동작으로 특징 지워지고 주로 유산소성 대사를 통한 산소를 에너지 이용으로 심폐체력, 체성분 및 심장과 호흡계 건강에 기여한다. 한편 저항운동은 근육에 스트레스를 가해 노인들의 근력관련 체력과 기능적 수행 개선에 기여한다. 근기능 및 심폐지구력 향상을 꾀하는 복합운동은 노년들의 효과적인 건강증진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내고 있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마이오카인은 운동에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고 있는데 지방세포 감소, 골격, 근육 및 인체 전반에 걸쳐 유익한 효과를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