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측도

Search Result 274,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Construction of Fuzzy Entropy and Similarity Measure with Distance Measure (거리 측도를 이용한 퍼지 엔트로피와 유사측도의 구성)

  • Lee Sang-Hyuk;Kim Sung-Sh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5 no.5
    • /
    • pp.521-526
    • /
    • 2005
  • The fuzzy entropy is proposed for measuring of uncertainty with the help of relation between distance measure and similarity measure. The proposed fuzzy entropy is constructed through a distance measure. In this study, Hamming distance measure is employed for a distance measure. Also a similarity measure is constructed through a distance measure for the measure of similarity between fuzzy sets or crisp sets and the proposed fuzzy entropies and similarity measures are proved.

Comparison Study for similarities based on Distance Measure and Fuzzy Number (거리측도를 이용한 유사도의 구성과 퍼지 넘버를 이용한 유사도와의 비교연구)

  • Lee, Sa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7 no.1
    • /
    • pp.1-6
    • /
    • 2007
  • The similarity measure is derived with distance measure, and the proposed similarity measure is proved to verily the usefulness. Conventional similarity measure which is constructed through fuzzy number and Center of Gravity(COG) is introduced, furthermore two similarity measures are compared through various types of membership function.

Reliable Data Selection using Similarity Measure (유사측도를 이용한 신뢰성 있는 데이터의 추출)

  • Ryu, Soo-Rok;Lee, Sang-Hyuk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lligent Systems
    • /
    • v.18 no.2
    • /
    • pp.200-205
    • /
    • 2008
  • For data analysis, fuzzy entropy is introduced as the measure of fuzziness, similarity measure is also constructed to represent similarity between data. Similarity measure between fuzzy membership functions is constructed through distance measure, and the proposed similarity measure are proved. Application of proposed similarity measure to the example of reliable data selection is also carried out. Application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results that is obtained through fuzzy entropy and statistical knowledge.

Similarity Measure Construction of the Fuzzy Set for the Reliable Data Selection (신뢰성 있는 정보의 추출을 위한 퍼지집합의 유사측도 구성)

  • Lee Sang-Hyuk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0 no.9C
    • /
    • pp.854-859
    • /
    • 2005
  • We construct the fuzzy entropy for measuring of uncertainty with the help of relation between distance measure and similarity measure. Proposed fuzzy entropy is constructed through distance measure. In this study, the distance measure is used Hamming distance measure. Also for the measure of similarity between fuzzy sets or crisp sets, we construct similarity measure through distance measure, and the proposed 려zzy entropies and similarity measures are proved.

서버 측 그래픽스 처리 기술 동향

  • Lee, Ju-Haeng
    • CDE review
    • /
    • v.15 no.2
    • /
    • pp.7-12
    • /
    • 2009
  • 서버 측 그래픽스 처리(server-side graphics processing) 기술이 최근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특히,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의 OTOY와 OnLive를 주목할 만 하다. 기술의 실현 가능성에 대해서 아직 많은 논란이 있지만, 실시간 그래픽스 및 가시화에 직접 관련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응용이라는 점에서 흥미롭다. 더불어, CAD/CAM응용과 관련해서 Autodesk사에서 실험하고 있는 유사한 서비스들도 함께 소개한다.

  • PDF

Incremental User Adaptation in Korean Sign Language Recognition Using Motion Similarity and Prediction from Adaptation History (동작 유사도와 적응 추이를 이용한 한국 수화 인식에서의 사용자에 대한 적응)

  • Jung, Seong-Hoon;Park, Kwang-Hyun;Bien, Zeung-Nam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2a
    • /
    • pp.386-392
    • /
    • 2007
  • 최근 들어 손 제스처를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에 활용하는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 수화 인식은 청각장애인과 일반인 사이의 원활한 의사 소통을 하게 해 주는 인터페이스로서 중요성이 날로 더해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수화 인식 연구는 사용자 개개인의 수화 동작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다수 사용자를 위한 모델을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 따라 인식률이 낮아지게 된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개개인의 수화 동작 특성을 반영하여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적응해 가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점진적인 사용자 적응에 있어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어떻게 비관측된 상태(unobserved state)의 파라미터를 수정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동작 유사도와 적응 추이에 의한 추정을 통해 비관측된 상태의 모델 파라미터를 수정한다. 실제 청각 장애인들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제안한 방법이 기존 방법에 비해 더욱 빠르게 사용자의 특성을 시스템에 반영하고 인식률을 향상시킨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 보인다.

  • PDF

수종 점막증 메치오닌엔케팔린 및 유사체의 분해 특성

  • 전인구;이치호;신영희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Pharmacology
    • /
    • 1992.05a
    • /
    • pp.61-61
    • /
    • 1992
  • 여러 점막 추출액증 Met-Enk의 효소적 분해는 매우 신속하였고 1차식에 따랐으며 점막측 추출액에서의 분해속도는 직장>눈>질>비강점막의 순이었다. 비강, 직장, 질점막의 점막측 및 장막측 추출액 간의 분해속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으나 눈점막의 경우 내피측 추출액에서의 분해속도 (1.03 $\times$ $10^{-3}$ $min^{-1}$)가 표피측 추출액에서보다 현저히 낮았다. 모든 추출액에서 검출된 주요 분해산물은 Tyr 및 Des-Tyr-Met-Enk로 천연 Met-Enk의 점막 추출액중 분해는 주로 aminopeptidase류가 관여되고 있음을 알았으며 Tyr-Gly, Tyr-Gly-Gly등의 분해산물이 소량 출현함으로 보아 endopeptidase류도 분해에 다소 관여하고 있음을 알았다. YAGFM은 Met-Enk보다 분해가 현저히 지연되었으며 그 분해속도도 직장>질>비점막의 순이었다. 이러한 분해는 분해산물로 Tyr이 검출되지 않은점으로 보아 YAGFM의 점막 추출액중 분해는 주로 endopeptidase류가 주로 관여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 PDF

A Renewable Resource Modeling Method in WASP-IV (WASP 모형 기반의 신재생전원 모델링 방안 연구)

  • Park, Jong-Bae;Park, Yong-Gi;Shin, Joong-Rin;Roh, Jae-Hyung;Park, Jae-Seung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11.07a
    • /
    • pp.394-395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신재생자원인 풍력발전을 WASP 모형 내에 공급측 자원으로 반영하여 수급계획을 수행해 보았다. 기후적 요인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강한 수력발전의 경우 WASP 모형 내에서 모델링이 가능한데, 다른 신재생에너지의 경우도 수력과 유사한 형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WASP 모형 내에서 수력발전 시스템과의 입력형태만 맞추어 주면 신재생에너지의 공급측 관점에서의 해석이 가능해진다. 이는 신재생에너지로 인한 신뢰도 영향, 즉 LOLP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5차 수급계획에서 예측수요에서 시간대별 신재생에너지를 차감한 수요측 관점의 신재생에너지 모델링 방법과 공급측인 수력발전으로 모델링하여 수급계획을 수행한 결과와의 LOLP값을 비교하였다.

  • PDF

Improved Method of Reliance on a Network for Service - based Mobile Applications (서비스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네트워크 의존도 개선 방안)

  • Song, Tae-Joon;Park, Seok-Cheon;Kim, Jong-Hy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3.05a
    • /
    • pp.853-856
    • /
    • 2013
  • 서비스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은 디바이스의 장점을 부각시키고 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제안된 응용 형태 이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의 일부는 서버 측에 배포하고,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과의 네트워크를 통한 상호작용을 통하여 전체 기능을 실행 한다.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전체 기능 및 데이터베이스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측과 서비스 제공자 측에 설치된 서버 측에 분리되어 있다. 전체 어플리케이션 기능 중 비교적 적은 자원을 필요로 하는 간단한 기능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실행이 되며, 복잡한 계산 및 데이터 조작을 요구하는 기능은 서버 측에서 실행이 된다. 더욱 공통적이며 재사용 가능한 기능들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며, 이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와 유사하다. 다양하고 풍부한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독립형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제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즉, 성능 좋은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모바일 디바이스의 특징인 부족한 컴퓨팅 자원을 확장해서 복잡한 기능의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서비스 적인 측면의 기능들은 네트워크의 안정성이 보장이 되어야만 사용자가 기능 호출에 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서비스 기반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높은 네트워크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웹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집분석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 Gang, Hyeon-Cheol;Han, Sang-Tae;Seon, Yeong-S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Conference
    • /
    • 2003.10a
    • /
    • pp.313-318
    • /
    • 2003
  • 최근 인터넷은 기업이 고객과 접촉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으로써 기업의 홍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사업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방문자의 웹사이트 이용형태를 파악하기 위한 다양한 기법들이 제시되고 있으며, 웹로그 데이터에 대한 자료분석 기법들이 여러 학문분야에서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웹로그 데이터에 대한 군집분석을 위해 거리측도 및 분석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실제 자료에 이를 적용하여 제안된 알고리즘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