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지수

Search Result 1,138,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the Shrimp Beam Trawl Fisheries in the Adjacent Waters Geomundo, Korea (한국 거문도 주변 새우조망 어획된 새우류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 오택윤;김주일;고정락;차형기;이주희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isheries and Ocean Technology
    • /
    • v.39 no.1
    • /
    • pp.63-76
    • /
    • 2003
  •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s of shrimp caught in the adjacent waters Geomundo, Korea were studied using the monthly catch of beam trawl fishery from November 1998 to October 1999. During in the study period, a total of 700,765 shrimps consisting 36 species, 27 genus and 11 families were collected. The community was dominated by Palaemon gravieri, Parapenaeopsis tenellus, Solenocela melantho and Plesionika izumiae. The peak abundance of shrimp occurred in summer, and low abundance in winter and spring. Major species occurred in area A, B and C was P. gravieri, and P. tenellus, and P. izumiae and S. melantho, respectively. The number of individual and abundance showed in July, and low in November. It was noted that values of species diversity, dominance and evenness indices were high in adjacent water Geomundo and lower in adjacent water Chodo and Chodo-Sonjukdo. Analysis of dendrogram of the clustering showed that there were two distinct groups; Geomundo group and Chodo-Sonjukdo group.

The Similar Character Classification in the Mixed Document (혼용문서에서의 유사문자 분류)

  • Moon, Kyung-Ae;Chi, Su-Young;Oh, Weon-Ge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3.10a
    • /
    • pp.485-492
    • /
    • 1993
  • 본 논문에서는 혼용문서에서 문자들의 유사성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인식문자를 줄이기위해 대분류 단계에서 유사문자군을 찾고 이들 사이의 유사도를 계산, 분류하는 유사문자분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 방법은 유사문자군내의 각 문자마다 그 문자만이 갖는 고유한 요인과 그 문자를 제외한 나머지 문자일 가능성이 있는 요인을 찾아 입력문자와 비교하여 유사도가 가장 큰 문자를 인식문자로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또한, 인식 후 오인식된 문자들에 대해 특징사전의 갱신을 통하여 인식률을 향상시켰다.

  • PDF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 개선에 관한 연구

  • Choe, Won-Jin;Jeon, Se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9.11a
    • /
    • pp.257-258
    • /
    • 2019
  • 이 연구는 기 개발한 간이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의 조종성능 개선에 관한 것이다. 선박조종 시뮬레이터에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는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가능한 모델대상선박의 실제 움직임과 동등하거나 유사하게 설정되어야 한다. 선행연구에서는 이미 발표된 대학교 실습선(한바다호)의 선박조종 실선데이터를 기반으로 모델선박의 조종성 지수를 도출하였으나, 타각이 10°를 초과할 경우 네 종류의 실선시험 결과와 평균 17.9%의 상대오차가 발생하였다. 이에, 타각 10°, 20° 및 35°에서의 한바다호 조종성 지수에 대해 에르미트 보간을 이용하여 3차 다항식을 산출하고, 이를 모델선박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타각 35° 이내의 전 구간에서 조종성능의 상대오차가 평균 13.7%에서 11.6%로 약 2.1%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 PDF

Comparison of Environmental Index by Nation's Income and the Similarity Analysis against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국가소득별 환경지표 비교 및 환경성과지수 유사성분석)

  • Choi, Yeol;Kim, Dong In;Kim, Sang Sub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1 no.4D
    • /
    • pp.613-622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policies by using and evaluating 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Data of EPI for this study come from the 2010 World Economic Forum. By using these variables, we have comparison analysis of EPI of 163 countries. Next, the object of similarity analysis using MDS is the OECD countries and shown on PREMAP, drawing the position of each nation in environmental category and environmental policy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olicy index according to each nation's income and furthermore, similarity analysis makes it possible to locate environmental policy index of each nation in an awareness, which would help to set directions of policies conce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But it could be more worth investigating time-series analysis for the change of environment-related variables because EPI has been just four times published since its first announcement in 2002. Despite, such limits would be overcome through continuous data collected over time.

Changes of Unusual Temperature Events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in Korea (한국의 이상기온 출현 빈도의 변화와 그 요인에 관한 연구)

  • Heo In-Hye;Lee Seung-Ho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v.41 no.1 s.112
    • /
    • pp.94-105
    • /
    • 2006
  • This paper aims to analyze changes of unusual temperature events on summer and winter and their controlling factors. There has been obviously an increased frequencies of summer unusual high temperature occurrence and decreased frequencies of winter unusual low temperature at most of stations. WMI, winter SHI and AOI might be essential for prediction of unusual temperature during winter and summer OHI and spring NPI for summer unusual low temperature. These factors are crucial because they reflect the recent global warming trend as well as have apparent associations with unusual temperature occurrence frequency in Korea.

Drought Severity Analysis Using VCI and SVI in the Fall of 2008 (VCI와 SVI를 이용한 2008년 가을가뭄 심도분석)

  • Park, Jung-Sool;Kim, Kyung-Ta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1570-1574
    • /
    • 2009
  • 2008년 여름 우리나라는 예년과 달리 홍수기에 북상하는 태풍이나 8월말에서 9월초까지 발생하던 장마전선의 영향을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홍수기 이후에도 중국에서 다가오는 동서고압대의 지속적인 영향으로 9월 중순 최고기온을 경신하면서, 강수가 없는 건조한 날씨가 계속되었다. 남부지방을 중심으로 8월말 이후 심화된 가뭄은 9월 중순에는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으며 도서지역의 부분적인 제한급수가 실시되거나 밭 작물 재배에 피해를 초래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2008년 가을가뭄의 시공간적 변화와 행정구역별, 권역별 가뭄 우심지역을 판별하였다. 또한, 가뭄정보를 제공하는 가뭄모니터링 시스템의 가뭄지수와 가뭄의 변화와 심도 등을 비교하였다. 위성영상자료는 MODIS NDVI를 이용하여 제작한 VCI와 SVI를 이용하였으며, 수자원공사의 '가뭄정보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주 단위의 가뭄지수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통합수자원평가계획 시스템개발'에서 제공하는 월 단위의 가뭄지수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행정구역상으로는 전라남 북도와 경상남도 지역이, 권역별로는 섬진 영산강 권역에서 극심한 가뭄이 발생한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식생지수 기반의 가뭄발생지역 판별 결과와 기상학적 가뭄지수인 SPI와 PDSI의 가뭄분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 PDF

Preliminary Research on Domestic Application of 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VegDRI) (식생가뭄반응지수(VegDRI) 국내 적용방안 기초연구)

  • Park, Junehyeong;Ji, Hee-sook;Lim, Yoon-Jin;Kim, Baek-J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48-248
    • /
    • 2017
  • 최근 가뭄 모니터링을 위해 과거에 비하여 고해상도의, 물리적으로 기반을 두는 정보가 요구되고 있다. 기존에 주로 활용하고 있는 통계적 방법론 기반의 가뭄지수들은 지니고 있는 한계에 대해 여러 개선과정을 거치고 있으나, 기상변수로부터 지표상의 식생 관련 변수로의 전파 과정에 대한 개별 통계적 가뭄지수 간의 관계 설명이 매우 어렵다. 이와 같은 관계로, 국내 유역에서의 물리적 기반을 둔 고해상도 가뭄 판단방법에 대한 시도가 필요한 시점이다. Brown et al. (2008)은 위성기반 식생정보, 기상학적 가뭄지수, 지형학적 조건을 고려한 식생가뭄반응지수(Vegetation Drought Response Index; 이하 VegDRI)를 개발하였다. 학습자료에 대해 CART 기반의 경험적 모델을 구축하여, 격자마다 근-실시간 자료를 적용한 VegDRI를 산출하여 고해상도의 지도를 산출하는 방식을 제시하였다. VegDRI는 NCDC의 U.S. Drought Monitoring에 활용되고 있으며, NOAA의 Drought Task Force Assessment Protocol에서는 가뭄 모니터링의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VegDRI를 적용하고자 필요한 자료수집 및 전처리 과정을 거쳐 결과를 도출하였다. 기상청 ASOS 기상관측소에서 얻은 기상변수, MODIS 위성으로부터 추출된 정규식생지수(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NDVI), 지형학적 정보와 기상학적 가뭄지수(SPI, PDSI)를 기계학습으로 모델링하여 VegDRI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VegDRI 공간분포도에 대하여 기존에 활용되던 유관기관의 가뭄 판단방법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비교 검토하여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 PDF

Change of Seawater Intrusion Range by the Difference of Longitudinal Dispersivity in Hydrodynamic Modeling (수리동역학적 모델링에서 분산지수에 따른 해수침투 범위의 변화)

  • 심병완;정상용;김희준;성익환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7 no.4
    • /
    • pp.59-67
    • /
    • 2002
  • As a parameter for hydrodynamic modeling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dispersivities are frequently determined from pre-experiments or theoretical studies because field experiments need a lot of time and expenses. If the dispersivities are inadequate for an aquifer, the numerical results may have some errors. We examined the validity of longitudinal dispersivities by comparing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with numerical modeling, field data and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In the numerical modeling the TDS distributions simulated by the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are more similar to the values of TDS measured at monitoring wet]s and boreholes than those by the Neuman's longitudinal dispersivity. The ranges of seawater intrusion by numerical simulations using Xu's longitudinal dispersivity show that the contour line of 1000 ㎎/L. as TDS is located at 480 m from the coast in May, while at 390 m in July. The difference is originated from the shift of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It moved toward the coast in July because of the seasonal increase of hydraulic gradient according to rainfall. A contour line of 15 ohm-m was used to defin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apparent resistivity sections. From this criterion on the interface between seawater and fresh water,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s located at 450 m from the coast. This result is similar to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imulated by the numerical modeling using Xu's dispersivity. Therefor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shows the difference due to the dispersivities used for the hydrodynamic modeling and the dispersivity generated by the Xu's equation is considered more effective to decide the range of seawater intrusion in this study area.

Sediment Measurement Characteristics Analysis in 2006 (2006년 유사량 측정 성과 분석)

  • Han, Myoung-Sun;Kwon, Dong-Seok;Song, In-Ryeol;Lee, Yeon-Kil;Kang, Kyu-Sang;Jung,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1689-1695
    • /
    • 2007
  • 본 연구는 2006년 전국 4대 권역, 6개 지점에 대한 유사량 측정성과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6개 지점에 대해 살펴보면 한강권역은 적성(임진강수계) 및 여주 지점, 낙동강 권역은 왜관 및 낙동 지점, 금강 권역은 공주 지점, 영산강 권역은 구례(섬진강수계) 지점이다. 이들 지점에 대해 유사량 측정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현장에 적합한 유사량 측정 기준, 부유사 및 하상토 입경 분포 곡선 분석, 부유사량 산정, 향후 개선사항에 대해 정리하였다. 유사량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측선별 농도의 편차는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6개지점의 모두 유량 및 유사량 관계를 기존의 단순 지수함수로 표현하기에는 측정성과의 분산이 너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 보고서에도 알려진 바와 같이 수위 상승시와 하강시의 유사량 특성이 너무 상이하기 때문이다. 향후 정밀한 측정 및 분석으로 유량 및 유사량 관계를 적절히 표현하는 방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향후 전문인력에 의한 정밀 유사량 관측과 장기관측을 통해 보다 신뢰성 있는 유사량 특성을 분석할 수 있을 것이며, 홍수 방재를 위한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The Motion Artifact Reduction from the PPG based on EWMA (지수가중 이동평균 기반의 PPG 신호 동잡음 제거)

  • Lee, Jun-Yeo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1 no.8
    • /
    • pp.183-190
    • /
    • 2013
  • The Photoplethysmogram is a similar periodic signal that synchrinized to a heartbeat. In this paper, we propose a exponential weight moving average filter that use similarity of Photoplethysmogram. This filtering method has the average value of each samples through separating the cycle of PPG signal. If there are some motion artifacts in continuous PPG signal, disjoin the signal based on cycle. And then, we made these signals to have same cycle by coordinating the number of sample. After arrange these cycles in 2 dimension, we put the average value of each samples from starting till now. So, we can eliminate the motion artifacts without damaged PPG sig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