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Environmental Index by Nation's Income and the Similarity Analysis against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국가소득별 환경지표 비교 및 환경성과지수 유사성분석

  • 최열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동인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
  • 김상섭 (부산대학교 도시공학과, 부산인적자원개발원)
  • Received : 2011.03.02
  • Accepted : 2011.03.30
  • Published : 2011.08.3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undamental references for the establishment of environmental policies by using and evaluating EPI (Environmental Performance Index). Data of EPI for this study come from the 2010 World Economic Forum. By using these variables, we have comparison analysis of EPI of 163 countries. Next, the object of similarity analysis using MDS is the OECD countries and shown on PREMAP, drawing the position of each nation in environmental category and environmental policy index.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policy index according to each nation's income and furthermore, similarity analysis makes it possible to locate environmental policy index of each nation in an awareness, which would help to set directions of policies concerning environment through the comparison with other advanced countries. But it could be more worth investigating time-series analysis for the change of environment-related variables because EPI has been just four times published since its first announcement in 2002. Despite, such limits would be overcome through continuous data collected over time.

본 연구는 2010년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된 환경성과지수(EPI) 데이터를 활용하여 국가별 환경지표 비교와 유사성분석을 하였다. 환경지표에 대한 비교분석은 환경성과지수 대상국인 163개국을 4개의 소득집단으로 나누어 분석을 하였으며, 유사성분석은 OECD 30개국을 대상으로 환경보건부문과 생태건전성부문으로 PREFMAP에 나타내었다. 먼저 비교분석의 결과를 보면 국가 소득에 따라 대부분의 환경지표 차이가 있었으며, 본 논문에서는 소득그룹별 차이를 보인 변수들만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환경정책지표별 유사성분석을 통하여 OECD국가별 환경정책지표별 위치를 하나의 인지도에 나타냄으로써 다른 선진 국가들과 비교하여 취약점을 파악하였다. 이는 향후 환경관련정책수립 시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는데 있어서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하지만 본 연구에 있어서 시계열적 자료를 확보하여 환경관련변수별 시간적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 더욱 가치 있는 연구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되나 EPI가 2002년 처음 발표된 이후 지금까지 총 4차례에 걸쳐 발표되어 실시하지 못한 점에 아쉬움이 있다. 그러나 이 한계점은 향후 시간이 흘러 데이터가 확보되어 더욱 발전된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상목, 김명수(2000) 환경지표의 지표체계 개발, 국토연구원
  2. 김명수, 박정은, 정진규, 박태선, 왕광익, 서연미, 백승연(2009) 녹색성장 개념정립과 국토분야 정책과제, 국토연구원
  3. 계라하, 김금수(2007) 정치제도와 환경성과 : 130개국의 환경성과지수에 관한 실증분석, 국제지역연구, 제11권 3호, pp. 100-124.
  4. 김경태, 정성관, 유주한(2006) Ecological footprint를 활용한 도시의 환경용량 평가,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1권 3호, pp. 109-120.
  5. 김유나, 문태훈(2009) 환경성과지수(EPI)를 활용한 도시환경지속성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44권 6호, pp. 171-183.
  6. 양병이, 이관규(2002)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평가지표,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7권 5호, pp. 27-48.
  7. 유주한, 정성관, 오정학(2005) 지속가능한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평가지표 체계구축, 한국환경생태학회지, 한국환경생태학회, 제19권 3호, pp. 287-298.
  8. 이동근, 윤소원(1998) 지속가능한 도시개발을 위한 환경지표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 제6권, pp. 61-76.
  9. 조덕호, 배민기(2004) 환경지표의 중요도와 성취도 평가를 통한 환경정책집행의 우선순위 설정,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4호, pp. 129-145.
  10. 최덕일, 장준기, 김명진, 이재운(1992) 환경평가지표의 개발, 환경영향평가, 제1권 1호, pp. 31-41.
  11. 최열, 조수영(2004), 시각적 및 정서적 특성과 유사성 차원에 따른 환경적 이미지 분석, 국토계획,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제39권 제2호, pp. 189-203.
  12. 최열, 최재도(2007) 다차원척도법을 이용한 교량경관 구성요소에 대한 선호 및 유사성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호, 제27권 제2D호, pp. 207-216.
  13. Christian Krotscheck, Michael Narodoslawsky(1996) The Sustainable Process Index A new dimension in ecological evaluation, Ecological Engineering, Vol. 6, pp. 241-258. https://doi.org/10.1016/0925-8574(95)00060-7
  14. Edward L. Glaeser(1998) Are Cities Dying?,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 Vol. 12, No. 2. pp. 139-160. https://doi.org/10.1257/jep.12.2.139
  15. Giannetti, B.F., Bonilla, S.H., Silva, C.C., and Almeida, C.M.V.B. (2009) The reliability of expert' opinions in constructing a composite environmental index : The case of ESI 2005, Journal of Environmenal Management, Vol. 90, pp. 2448-2459. https://doi.org/10.1016/j.jenvman.2008.12.018
  16. Konstantinos I. Vatalis and Demetrios C. Kaliampakos(2006) An Overall Index of Environmental Quality in Coal Mining Areas and Envergy Facilities, Environ Manage, Vol. 38, pp. 1031- 1045. https://doi.org/10.1007/s00267-005-0114-5
  17. Maria Vittoria Giulian and Massimiliano Scopelliti(2009) Empirical research in environmental psychology: Past, present and fu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Vol. 29, No. 3. pp. 375-386. https://doi.org/10.1016/j.jenvp.2008.11.008
  18. Vincent Martinet(2010) A characterization of sustainability with indicators, Journal of Environmental Economics and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