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사지수

Search Result 1,138, Processing Time 0.04 seconds

이변량 지수모형의 독립성검정

  • 김정일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v.4 no.2
    • /
    • pp.549-556
    • /
    • 1997
  • 본 논문에서는 Block과 Basu (1974)가 제안한 절대연속이변량지수분포(absolutely continuous bivariate exponential distribution : ACBVED)의 독립성검정에 대한 Score검정과 이 검정의 점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Cordeiro와 Ferrari (1991)가 제시한 Bartlett수정항과 유사한 형태의 수정된 Score검정을 유도하였다. 그리고 수정된 Score검정의 점근성의 효과와 주변분포가 동일하다는 가정하에서 Gupta, Mehrotra와 Michalek (1984)가 제안한 우도비검정을 모의실험으로 비교하였다.

  • PDF

A Change of Vegetation at the Ecological Restoration Area of Simwon Valley in Jirisan National Park (지리산국립공원 심원계곡 생태경관 복원공사지역 식생 변화)

  • Jung, Tae-Jun;Kim, Yeon-Gyeong;Kim, Young-Jin;Jung, Myung-Hee;Park, Kyoung-Hee;Shin, Chang-Keun;Park, Seung-hong;Kim, Young-Sun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35 no.3
    • /
    • pp.294-304
    • /
    • 2021
  • This study aims to obtain basic data for systematic restoration by analyzing the monitoring results of the Shimwon Valley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Project area in Jirisan National Park. In 2017, when the restoration project was completed, 12 monitoring plots and 4 control plots were installed for vegetation monitoring, and changes in the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between 2017 and 2020 were analyze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the surveyed areas where trees were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was 0-1.4552, and the similarity index with the control group was 0% except for one survey area at 1.32%. The very low species diversity index and similarity index in the survey areas were attributed to the loss of trees planted during the restoration project due to death, damage by wild boars, or erosion by running water. On the other h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was 0.9538-2.3222 in the monitoring plot where no tree was planted, and the similarity index was analyzed to be as high as 8.33%.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he long-term monitoring for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 landscape restoration methods in the national park and analysis of the succession in monitoring plots where no trees were planted.

A Study on Integrating Similarities (유사도 통합에 관한 연구)

  • Kim, Sunkyung;Park, Ji Su;Shon, Jin G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0.11a
    • /
    • pp.53-56
    • /
    • 2020
  • 유사도는 두 객체의 비슷한 정도를 실수로 나타낸 것이며 반대 개념인 다른 정도를 나타내는 것을 거리라 한다. 실세계에서 정확히 같은 것은 존재하기 힘들기 때문에 많은 응용 분야에서 유사도나 거리를 이용한다. 거리 중 대표적인 것으로 유클리드 공간에서 두 점 사이의 직선거리이다. 이 거리를 유클리드 거리라고 한다. 코사인 유사도는 벡터 공간에서 두 벡터 사이각의 코사인 값이다. 이외에도 용도에 따라 다양한 거리 또는 유사도가 연구되고 있다. 수학적으로 유사도는 이변수 함수로 나타낸다. 앞선 연구에서 민코프스키는 맨하탄 거리, 유클리드 거리 등을 매개변수 p를 이용하여 하나의 식으로 통합하였다. 이러한 유사도 통합은 유사도에 대한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고 또 다른 응용을 제공한다. 본 논문은 기존 유사도의 의미를 개관하고 추가적인 매개변수를 도입하여 민코프스키 거리와 코사인 유사도를 통합한 식을 제시한다.

자산 포트폴리오 효율성 향상을 위한 상품선물의 공헌도에 대한 연구

  • Kim, Tae-Hyeok;Park, Jong-Hae;Gong, Bong-Jae;Gwon, Il-Ju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v.14 no.1
    • /
    • pp.15-39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미국, 영국, 한국 금융시장의 주식, 회사채, 국채, 부동산지수와 상품지수로 구성된 포트폴리오에서의 상품지수의 역할을 실증적으로 제시하고자 했다. 일반적인 금융상품으로만 구성된 포트폴리오와 상품지수가 포함된 포트폴리오의 수익률과 위험을 비교 분석하여 상품지수의 포트폴리오 구성요소로서의 타당성을 검증했다. 또한, 국가별 통화정책의 변화에 따라 분석기간을 긴축정책기와 확장정책기로 구분하여 그 성과를 비교함으로써 상품지수가 인플레이션 헤지수단이 될 수 있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미국과 영국의 경우 GSCI지수는 긴축기에 다른 금융자산에 비해 위험대비 수익률이 높아 포트폴리오 편입비중이 크며, 포트폴리오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국의 경우 환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분석결과가 크게 상이하지 않으나, 한국의 경우 환율을 적용한 GSCI지수의 포트폴리오 편입비중은 미국, 영국시장과 유사한 결과를 보이나, 환율과 GSCI지수를 각각 독립적인 자산으로 편입하여 분석할 경우 그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환율을 적용하여 편입한 GSCI지수의 포트폴리오 수익률 상승효과 중 상당한 부분이 환율로 인한 것이며, 해외시장의 경우와 단순히 비교하기는 어렵다는 점이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경우는 미국, 영국과 달리 환율을 적용한 상품지수가 인플레이션에 대한 헤지수단이 되나, 환율효과가 지배적이므로 상품지수 자체의 공헌도는 높지 않다고 평가된다.

  • PDF

Similarity measures for trajectories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셀룰러 공간에 존재하는 이동객체 궤적의 유사성 측정)

  • Kang, Hye-Young;Kim, Joon-Seok;Hwang, Jung-Rae;Lee, Ki-Joune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v.16 no.3
    • /
    • pp.291-301
    • /
    • 2008
  • While most GIS are based on Euclidean space, cellular space can be used as an alternative type of space for a large number of GIS applications. In order to analyze the pattern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we need new definitions of similarity between their trajectories since the trajectory in cellular space significantly differs from those in Euclidean space. In this paper, we study the properties of moving objects in cellular space. Based on these observations, we propose several similarity measures between trajectories in cellular space. We analyze the difference of the proposed measures by experiments.

  • PDF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Yields from the Chungju Dam Upstream Watershed (충주댐 상류유역의 유사 발생에 대한 시공간적인 특성)

  • Kim, Chul-Gyum;Lee, Jeong-Eun;Kim, Nam-Wo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0 no.11
    • /
    • pp.887-898
    • /
    • 2007
  • A physically based semi-distributed model, SWAT was applied to the Chungju Dam upstream watersh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spatial and temporal characteristics of watershed sediment yields. For this, general features of the SWAT and sediment simulation algorithm within the model were described briefly, and watershed sediment modeling system was constructed after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parameters related to the runoff and sediment. With this modeling system,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loss and sediment yields according to watershed scales, land uses, and reaches was analyzed. Sediment yield rates with drainage areas resulted in $0.5{\sim}0.6ton/ha/yr$ excluding some upstream sub-watersheds and showed around 0.51 ton/ha/yr above the areas of $1,000km^2$. Annual average soil loss according to land use represented the higher values in upland areas, but relatively lower in paddy and forest areas which were similar to the previous results from other researchers. Among the upstream reaches, Pyeongchanggang and Jucheongang showed higher sediment yields which was thought to be caused by larger area and higher fraction of upland than other upstream sub-areas. Monthly sediment yields at the main outlet showed same trend with seasonal rainfall distribution, that is, approximately 62% of annual yield was generated during July to August and the amount was about 208 ton/yr. From the results, we could obtain the uniform value of sediment yield rate and could roughly evaluate the effect of soil loss with land uses, and also could analyze the temporal and spatial characteristics of sediment yields from each reach and monthly variation for the Chungju Dam upstream watershed.

Estimation of Habitat Suitability Index of Fish Species in the Nakdong River Water System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HSI) 산정)

  • Lee, Jong Jin;Hur, Jun 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85-48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 수계에서 어류의 수생태 건강성이 악화된 지점, 장기간 수질이 악화되거나 수위가 저하된 지점, 보호종이 지정된 지점을 중심으로 어류 서식지적합도지수(Habitat Suitability index, HSI)를 산정하였다. 현장조사는 하천유량이 감소하는 4월부터 6월 사이 총 4회 실시하였고, 투망과 족대를 이용해 어류 채집하였다. 어류의 서식지 특성 조사를 위해 채집 지점에서 수심, 유속, 하상재료를 조사하고 기록하여 엑셀 자료를 구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하천 단면의 물리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는 WDFW(Washington Dept. of Fish and Wildlife) 방법을 이용하여 어류 서식처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에서 실시한 어류 조사 결과는 전체 9과 35종 2,227개체이다. 낙동강 수계 10개 지점의 대표어종을 선정하기 위해 법정보호종, 유영성종, 고유종, 기타 중요종을 검토한 다음 각 지점별 대표어종, 대리어종, 유사어종 등을 산정하였다. 낙동강 수계 전반에 걸쳐 피라미가 우점종으로 조사되었으며, 낙동강 상류지역에는 모래무지, 하류에는 수수미꾸리와 유사한 종의 출현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낙동강 전역에 걸쳐 서식하고 있는 피라미는 가능한 대표어종에서 제외하고, 보호종과 고유종을 중심으로 대표어종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낙동강 상류 내성천 합류전 지점에서는 피라미, 내성천에서 참마자, 위천에서 참몰개, 갑천에서 돌고기, 황강에서 모래무지, 금호강에서 돌마자, 밀양강에서 쉬리. 남강에서 피라미, 형산강에서 참갈겨니, 태화강에서 피라미로 대표어종을 각각 결정하였다. 다음으로 각 지점별 대표어종에 대한 수심, 유속, 하상재료 조사 자료를 이용해 대표어종에 대한 서식지적합도지수를 산정하였다. 최근 갈수기 유량 감소로 생태계가 위협받는 기간이 증가하고 있다. 하천의 정상적인 생태기능 유지를 위한 최소한의 유량이 필요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 어류의 서식지적합도지수를 활용해 갈수기 어류 서식에 필요한 최소한의 유량을 결정하거나, 수생태계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Document Citation Indicators Based on Citation Network Analysis (인용 네트워크 분석에 근거한 문헌 인용 지수 연구)

  • Lee, Jae-Y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5 no.2
    • /
    • pp.119-143
    • /
    • 2011
  •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recent citation-based indicators for assessing a single paper in the context of their co-relationships. Five predefined indicators were examined with three variants of h-index which are convened in this study; the formers are PageRank, SCEAS Rank, CCI, f-value, and single paper h-index and the latters are $h_S$-index, h1-index, and $h_S$1-index. The correlat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were performed to group the indicators by common characteristics, after which the indicators were calculated with the dataset from KSCI DB. The results show statistical evidence that distinguishes h-index type indicators from oth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cators were verified with citation frequency factors using correlation analysis. Finally, the implications for ap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 New Method for Computing Node Similarities in Information Networks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새로운 노드 유사도 계산 방안)

  • Kim, Ji-Soo;Yoon, Seok-Ho;Kim, Sang-W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1.04a
    • /
    • pp.1255-1256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기존 링크 기반 유사도 계산 방안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실험을 통하여 제안하는 방안과 기존 링크 기반 유사도 계산 방안의 정확도를 비교함으로써 제안하는 방안의 우수성을 검증한다.

Improved Escalation Method for the Cost Estimation System using Previous Bid Price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공공 건설공사에서의 실적공사비 적용에 따른 물가변동률 산정기준 개선방안)

  • Baek, Seung-Ho;Kang, Tai-Kyung;Lee, Yoo-Sub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12 no.1
    • /
    • pp.108-114
    • /
    • 2012
  • Escalation method examining the changes in price index has been widely utilized in public construction projects. The previous escalation method determined estimated changes in price based on the average unit price of contract items over a period of time. In relation to this method, the issue has been raised that the fluctuation rates of previous method show different trends compared with other related price indices, as the influence of the small group of contract items with large unit prices overwhelms the others. This research suggested an improved escalation method which estimates the fluctuation rate by examining the changes in CCI (construction cost index) and applies it to the total amount or the partial amount deducted for labor cost in price escalation for previous bid price method. To verify the improvement, a case study is conducted on an educational facility, and the fluctuation rate was estimated in two different base periods (short term, long term). The results over the long term showed similar tendencies to those of related price indices, as well 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ctuation rates compared to those of the previous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