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리산

검색결과 2,296건 처리시간 0.033초

구연산 전처리에 의한 개량조개의 저염젓갈가공 (Processing of Low Salt Fermented Sauce of Shellfish with Citric Acid Pretreatment)

  • 유병진;장미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541-546
    • /
    • 1992
  • 저장성이 높은 저염젓갈을 가공할 목적으로 개량조개의 구연산 용액 전처리 및 숙성온도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저장성과 맛에 관련된 물질의 측정 및 젓갈의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5^{\circ}C$ 에서와 상온에서 발효시킬 경우 구연산 처리한 시료는 alcohol 첨가한 시료와 control보다 VBN값이 낮게 나타났다. 숙성기간 중 아미노태질소의 변화에 있어서 구연산 처리시료의 경우 최대값이 $618.4{\sim}691.6\;mg/100g$이었고 control은 501.3 mg/100g이었다. pH의 값은 구연산 처리시료는 $2.43{\sim}3.21$이었고 control은 $5.61{\sim}6.24$를 나타내었다. creatine 함량은 구연산 처리시료 및 control 시료에서 $36.8{\sim}27.6 mg/100g$으로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 핵산 관련물질은 구연산 처리시간이 증가할수록 ATP, ADP AMP의 분해가 빠르게 일어났다. 유리아미노산에서는 conrol의 경우 전체 숙성기간 중에 가장 많은 량을 나타낸 것은 Ala으로 $19.60{\sim}23.02%$이었고 Glu은 구연산 처리시료에서 숙성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필수아미노산도 $19.31{\sim}20.54%$에서 $31.40{\sim}42.02%$로 증가하였다. 관능검사에서 control보다 구연산 처리한 저염젓갈의 맛이 우수하였다.

  • PDF

함경도 지방의 전통가자미식해의 소금 첨가수준에 따른 숙성중 맛 성분의 변화에 관한 연구 (Effect of Salting Levels on the Changes of Taste Constituents of Domestic Fermented Flounder Sikhae of Hamkyeng-Do)

  • 정해숙;이수학;우강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59-64
    • /
    • 1992
  • 함경도 지방의 전통 향토식품인 가자미식해를 소금절임농도를 달리하여 맛 성분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당은 원료(대조구)에서 fructose, ${\beta}$-D-(+)-glucose, sucrose, maltose, mannose가 주로 검출되었고 그중 fructose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숙성된 식해에서는 fructose가 급격히 감소하는 반면 원료에서 검출되지 않았던 mannitol이 급격히 증가되어 15% 소금절임 식해에서 8.97%로 가장 높았다. 수용성 질소에 대한 아미노태 질소의 비가 가장 높은 것은 15% 소금절임 식해로 53.4%를 나타내었다. 식해에 많이 함유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leucine, alanine, arginine, glutamine, isoleucine, valine, glutamic acid, lysine등으로 이들이 주로 식해의 맛 성분에 관련하는 것 같았다. 5'-Nucleotide는 CMP, UMP, CTP, AMP, ADP, ATP등이 검출되었고 처리에 관계없이 UMP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나 처리에 따른 큰 변화는 없었다. 원료에 비하여 15% 소금절임 식해에서 CMP가 2배, CTP가 1.25배 증가하였다. ATP, ADP 및 AMP는 원료에 비하여 식해에서 감소하였다.

  • PDF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 숙성중(熟成中) 각종(各種)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변화(變化) (Changes in the Level of Various Nitrogen Compounds During the Ripening of Blue Cheese Made with Mucor Rennet)

  • 김종우;이락진
    • 농업과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201-211
    • /
    • 1989
  • Mucor rennet의 이용(利用) 가능성(可能性)을 타진(打診)하기 위하여 Blue cheese를 제조(製造)하고 그 각종(各種)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Blue cheese의 수율(收率)은 calf rennet과 Mucor rennet간(間)에는 큰 차이(差異)가 없었다. 2. 숙성과정중(熟成過程中) cheese의 고형분(固形分) 함량(含量)은 증가(增加)하였고 첨가비율(添加比率)에 따른 차이(差異)는 인정(認定)되지 않았다. 3. water soluble nitrogen은 숙성(熟成)이 진행(進行)됨에 따라 증가(增加)하였으며 숙성초일(熟成初日)부터 calf rennet에 비(比)하여 Mucor rennet 편이 높았고 숙성(熟成) 40일(日)부터는 혼합(混合)rennet이 calf rennet보다 낮았다. 4. non protein nitrogen, peptone amino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proteose nitrogen, peptone nitrogen 및 숙성율등(熟成率等)도 water soluble nitrogen과 동등(同等)한 변화(變化)를 보였다. 5.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 casein을 전기영동(電氣泳動)한 결과(結果) as-casein과 ${\beta}$-casein의 분해도(分解度)가 높았으나 calf rennet로 제조(製造)한 Blue cheese의 as-casein과 ${\beta}$-casein의 분해도(分解度)는 비교적 낮았고 숙성(熟成) 60일(日)에는 Mucor rennet 처리구(處理區)의 casein은 다소 잔존(殘存)함을 알 수 있었다. 6. Blue cheese를 60일간(日間) 숙성(熟成)시켰을때 유리(遊離)아미노산(酸) 함량(含量)은 Mucor rennet으로 제조(製造)한 cheese보다 전(全) 숙성기간(熟成期間)동안 많았다.

  • PDF

품종을 달리한 오디 추출물의 Resveratrol 및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 (Composition of Resveratrol and Other Bioactive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in Different Mulberry Cultivars)

  • 최일숙;문용선;곽은정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3호
    • /
    • pp.301-307
    • /
    • 2012
  • 오디의 건강기능성 자원으로서의 가치를 높여 이용성을 증가하기 위해 '대성뽕', '수원뽕', '청일뽕'의 오디 3종과 함께 블루베리, 딸기를 시료로 사용하여 기능성 성분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고 비교해 보았다. 시료 과실의 60% 에탄올 추출물의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함량 및 trans-resveratrol 함량은 '대성뽕'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수원뽕'이 높았으며, 총 anthocyanin 함량은 '대성뽕' 다음으로 블루베리가 높았다. 공시된 과실 추출물의 DPPH 및 ABTS free radical 소거능, FRAP에 의한 항산화 활성은 총 phenol성 화합물, 총 flavonoid, 총 anthocyanin 함량과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항산화 활성과 기능성 성분간에는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국내산 '대성뽕' 품종 오디는 국제적 건강기능성 과실인 블루베리보다도 기능성 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현저하게 높아 이의 추출물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이용하여 오디 소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단백질 분해효소(Flavourzyme)의 첨가량에 따른 오골계 증탕액의 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 (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Boiled Soup Extracted from Crossbred Ogol Chicken as Affected by the Level of Flavourzyme)

  • 채현석;유영모;안종남;조수현;박범영;이종문;김용곤;윤상기;최양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16
    • /
    • 2003
  • 오골계교잡종을 이용한 증탕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오골계 교잡종(오골계와 한국재래닭과 로드아일랜드레드종간의 3원교잡)에 단백질분해효소인 Flavourzyme을 각각 0% (Con-trol), 0.1%(T$_2$),0.1%(T$_3$) 및 0.5%(T$_4$)을 첨가하여 45$^{\circ}C$에서 4시간 동안 가수분해한 후 한약재(십전대보)와 재증탕하여 제조한 증탕액의 화학적, 관능적 특징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효소 Flavourzyme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오골계 증탕액의 수분, 단백질, 지방의 함량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무기물함량은 증가하였다(P<0.05). 각 성분별 무기물의 함량에서 Na는 효소처리구가 비효소처리구에 비하여 높았으나, 첨가량 증가에 따른 함량의 변화는 없었고, Fe은 효소를 0.1% 처리한 오골계 증탕액의 경우 Iysine, aranine 및 arginin이 많이 검출되었다. 결론적으로 오골계 증탕액에 Flavourzyme 효소를 처리하였을 경우 무기물과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에 약간의 변화를 가져왔고, 관능검사 결과에서 비교할 때 0.1%첨가까지는 대조구와 맛, 향미 등이 유사함으로써 오골계 증탕액의 제조시 효소 Flavourzyme의 사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함기포장과 진공포장이 도축 후 단기 유통 돈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ir and Vacuum Packaging on the Qualities of Pork during the First 4 Days Post Mortem)

  • 문윤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15-422
    • /
    • 2005
  • 도축 후 24시간 냉장한 지육에서 양쪽 등심을 분할하고 한쪽은 진공포장, 나머지 한 쪽은 함기포장하여 $4^{\circ}C$에 냉장하였다. 그리고 냉장 1, 2 및 3일째의 물리화학적 품질을 비교하였다. 냉장 1일(도축 후 2일)째의 함기포장한 육은 진공포장한 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은 반면 보수력과 관능적 조직감 평가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p<0.05).냉장2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 감량이 적고 전단력이 낮은 반면 적색도가 높고, taurine과 alanine 함량이 많으며, 기호도가 우수하게 나타났다(p<0.05).냉장 3일째의 함기포장육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육즙감량이 적고, 저작성 및 전단력이 낮은 반면 VBN 함량 $(12.37\;mg\%)$이 높고 일반 세균수$(2.6\times10^4\;CFU/cm^2)$가 많았으나(p<0.05), 신선도가 유지되고 있었다. 냉장 기간이 같은 경우, 함기포장육의 pH, 지방 산패도, 명도, 황색도, 가열 감량, 경도, 탄력성, 응집성, 뭉침성, 유리 아미노산 함량 및 가열육 향은 진공포장육에 비하여 유의적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해 볼 때에 도축 후 유통 기간이 짧은 돈육의 경우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진공포장 방법을 재고할 필요가 있겠다.

우육포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연잎추출물 첨가효과 (Adding Effect of Lotus Leaf Extract on the Quality of Beef Jerky)

  • 박경숙;이재상;박현숙;최영준;박성숙;정인철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394-401
    • /
    • 2014
  • 본 연구는 연잎추출물이 우육포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우육포는 물 100 mL 첨가(T0), 물 60 mL와 연잎추출물 40 mL 첨가(T1), 물 40 mL와 연잎추출물 60 mL 첨가(T2) 그리고 연잎추출물 100 mL 첨가(T3)한 것 등 네 종류를 제조하였다. 우육포의 수분, 단백질, 지방 및 회분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총 유리아미노산함량은 T0가 가장 높고, T3가 가장 낮았다(p<0.05). 표면색깔 중 L- 및 b-value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a-value는 T3가 가장 높았다(p<0.05). 경도, 탄성, 응집성, 뭉침성 및 씹힘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분활성도 및 pH는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TBARS값 및 총균수는 T0 및 T1보다 T2 및 T3가 유의하게 낮았다(p<0.05). VBN함량은 T3가 가장 낮았다(p<0.05). 풍미, 맛, 조직감,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시료들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색깔은 T3가 가장 우수하였다(p<0.05).

유구낭미충(有鉤囊尾蟲) 낭액(囊液)의 아미노산(酸) 및 유리지방산(遊離脂肪酸)의 정량분석(定量分析) (Quantitative Analysis of Cystic Fluid Components in Cysticercus cellulosae)

  • 문준;정명숙;주경환;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6권2호
    • /
    • pp.141-153
    • /
    • 1991
  • Free amino acid(FAA), free fatty acid(FFA), and amino acid obtained by hydrolysis of protein components of cystic fluid(CF) of Cysticercus cellulosae in pig and man were analyzed. FFA was analyzed by gas chromatography using Varian model 2700, and flame ionization detector with 6 feet${\times}$1/4inch glass column. Flow rate of $N_2$ was 30 ml/min, $H_2$ was 30 ml/min, air was 350 ml/min respectively and chart speed was 1 cm/min. Amino acid was analyz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using Waters model 441, and fluorescence detector at 338nm/425nm with column of amino acid analyzer. Buffer A of mobile phase was pH 3.05 and pH of buffer B was 9.6 respectively.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 Seven FFAs containing 12~18 carbons were detected : Saturated fatty acids were lauric acid ($C_{12}$), myristic acid($C_{14}$), palmitic acid($C_{16}$), Stearic acid($C_{18}$).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oleic acid($C_{12}^{=1}$), linoleic acid($C_{12}^{=2}$), and one unidentified fatty acid was detected. Generally much more quantity of FFA was determined in CF obtained from pig than that from man. FFA of the largest quantity was palmitic acid; 0.078 mg/ml. Eighteen FAAs were detected and the largest quantity was alanine. Ouantity of alanine was 386 ug/ml in CF from pig 108 ug/ml in CF from man respectively. while histidine in CF from pig was 273 ug/ml, that from man was only 4.3 ug/ml. Eighteen amino acids were identified by hydrolysis of protein in CF from man. But, histidine was not identified in CF from pig. Amino from pig and ug/ml from man.

  • PDF

고강도 강관을 적용한 SP-록볼트 개발 및 현장 적용을 위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of SP-Rockbolt with high-strength steel pipe)

  • 신현강;정혁상;안동욱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9권4호
    • /
    • pp.651-668
    • /
    • 2017
  • 터널 굴착에 따른 초기 안정성 확보를 위해 1차 지보재인 숏크리트와 록볼트를 가장 적절한 시기에 터널 굴착면 주면으로 타설하여야 한다. 이러한 지보재의 역할은 장 단기적인 터널 안정성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여기서 록볼트는 터널 굴착시 응력이완에 따라 발생되는 외압을 축력으로 받아들여 터널 굴착면의 숏크리트에 전달하여 전체적인 안정성을 도모하는 중요한 지보재이다. 현재까지 록볼트의 재료는 현장 수급이 유리한 이형강봉을 많이 이용하였으나 최근들어 불확실한 품질의 중국산 자재의 시장진입과 록볼트 주면 모르타르 충전시 흘러내림에 의한 밀실한 충전불량, 용수에 의한 부식 등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현재의 설계기준상 이형강봉에 대한 기계적 성질의 기준은 있으나 그 외 섬유보강 플라스틱(FRP)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명확한 기준은 제시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새로운 소재로 개발되더라도 실제 현장 적용에 있어서는 해결해야 할 부분이 많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기존 록볼트가 지니고 있는 여러 문제점을 해결, 개선하고자 Autobeam 재료를 이용한 고강도 강관 록볼트(Samrt Pipe-록볼트, 이하 SP-록볼트)를 개발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개발된 록볼트의 성능평가를 위해 현장시험을 수행하고, 기존 모르타르 충전을 개선할 수 있는 충전재를 개발하여 록볼트의 성능을 더욱 향상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무현장의 적용성 확보를 위해 설계 및 시공기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채 꽃가루 분말을 이용한 효모 배양배지 제조 (Making yeast culture medium with rapeseed pollen granules)

  • 이영화;김광수;장영석;최인후;이경보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3-99
    • /
    • 2015
  • 본 연구는 유채 꽃가루 분말의 영양성분 분석과 파쇄한 꽃가루 분말을 이용하여 효모 배양용 액체배지와 고체배지를 제조하여 효모 배양효율을 분석하였다. 유채 꽃가루 분말(100 g)은 탄수화물 58.9 g, 단백질 20.8 g, 지방 4.1 g, 회분 2.5 g 및 수분 13.7 g으로 구성되었다. 당질 중에서는 Fructose(13.7 g), Glucose(11.1 g)와 Sucrose(6.6 g), 미네랄 중에서는 K(606.7 mg)와 P(603.3 mg) 함향이 높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2,482.4 mg), Aspartic acid(2,136.5 mg), Lysine(1,648.3 mg), 및 Leucine(1,631.1 mg) 순으로 많았다. 유채 꽃가루 분말을 단독 또는 NaCl을 첨가하여 액체배지 및 고체배지 제조하고 효모를 배양한 결과, 꽃가루 분말이 15 g/L 이상 함유된 액체배지는 효모 배양 후 건물중이 YPD 배지(대조구)에 비해 많았고, 꽃가루 분말의 농도 의존적으로 효모 건물중이 증가하였다. 또한 액체배지에 NaCl을 1~20 g/L 추가 시 배양된 효모의 건물중이 한층 더 증가하였다. 유채 꽃가루로 제조한 고체배지를 이용하여 효모를 배양(48시간)한 결과, 콜로니(colonies) YPD 배지와 유사하게 잘 자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