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유도비

Search Result 6,370,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quivalent Damping Ratio of a SDOF Structure Combined with Coulomb and Viscous Damping (점성 및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

  • Seong, Ji-Young-Suck;Min, Kyung-Won
    • Proceedings of the Computational Structural Engineering Institute Conference
    • /
    • 2010.04a
    • /
    • pp.449-45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점성 및 감쇠가 있는 단자유도 구조물의 등가감쇠비를 효율적으로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건물에 설치된 마찰감쇠기는 외력의 크기에 따라 정지와 운동의 상태를 반복하여 외부 입력에너지를 소산시키기 때문에 외력과 응답관계가 비선형이다. 마찰감쇠기가 설치된 단자유도 건물은 마찰감쇠기외에 점성감쇠가 동시에 존재하므로 해석적인 정해를 구하기가 어렵다. 등가감쇠비를 산정하기 위해서 첫째, 점성과 마찰감쇠가 있는 단자유도계 건물의 자유진동 정해를 통하여 변위응답과 가속도 응답특성을 분석하였다. 둘째, 자유진동의 경우 응답이 멈출 때까지 소산에너지식을 이용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셋째, 조화가진 일 때는 수치해석을 통하여 마찰력비 $F_r$에 따른 응답 특성을 알아보았다. 넷째, 조화가진의 경우 에너지 균형식을 바탕으로 등가점성감쇠비를 유도하였다. 등가점성감쇠비는 변위응답비의 영향을 받으므로 응답을 알아야만 구할 수 있다. 건물 응답의 진동수 특성은 협소영역(narrow band)이므로 고유진동수에 의해 지배된다고 가정하여 등가점성감쇠비를 구하였다. 마지막으로, 유도한 자유진동과 조화가진의 등 가점성감쇠비를 이용한 등가선형운동방정식의 해를 비선형 수치해석 한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nonlinear constitutive relation in magnetostrictive materials (자왜 재료의 비선형 구조 방정식에 관한 연구)

  • Kang Kukjin;Roh Yongrae;Kim Yeon-Bo
    • Proceedings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autumn
    • /
    • pp.311-314
    • /
    • 2000
  • 자왜 재료는 자계 포화 이하에서 비선형 특성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비선형 특성을 표현하는 자왜 재료의 구조 방정식을 유도한 사례는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계 포화 이하에서 비선형 특성을 갖는 자왜 재료의 비선형 구조 방정식을 4차 텐서를 이용하여 유도하였다. 나아가 유도된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여 자왜 재료 내의 파동 방정식을 정식화하였다. 그리고 비선형 특성을 갖는 자왜 재료에서 평면파가 자계 방향을 따라 전파될 때 등방성 자왜 재료의 탄성파 속도를 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자왜 재료 중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Terfenol-D의 탄성파 속도를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유도한 자왜 재료 비선형 구조 방정식의 타당성을 일부 검증하였다. 향후에 자왜 재료의 정확한 특성을 측정하여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본 연구에서 유도한 비선형 구조 방정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PDF

Inversion of Time-domain Induced Polarization Data by Inverse Mapping (역 사상법에 의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자료의 역산)

  • Cho, In-Ky;Kim, Yeon-Jung
    • Geophysics and Geophysical Exploration
    • /
    • v.24 no.4
    • /
    • pp.149-157
    • /
    • 2021
  • Given that induced polarization (IP) and direct current (DC) resistivity surveys are similar in terms of data acquisition, most DC resistivity systems are equipped with a time-domain IP data acquisition function. In addition, the time-domain IP data include the DC resistivity values. As such, IP and DC resistivity data are intimately linked, and the inversion of IP data is a two-step process based on DC resistivity inversions. Nevertheless, IP surveys are rarely applied, in contrast to DC resistivity surveys, as proper inversion software is unavailable. In this study, through numerical modeling and inversion experiments, we analyze the problems with the conventional inverse mapping technique used to invert time-domain IP data. Furthermore, we propose a modified inverse mapping technique that can effectively suppress inversion artifacts. The performance of the technique is confirmed through inversions applied to synthetic IP data.

Effects of Superovulation Induction on Embryo Quantity and Quality in Rat (과배란 방법이 Rat 수정란의 양과 질에 미치는 영향)

  • 진동일;양무희
    • Journal of Embryo Transfer
    • /
    • v.12 no.2
    • /
    • pp.127-132
    • /
    • 1997
  • 본 연구는 rat에서 PMSG도는 FSH 처리에 의한 과배란 유도가 배란율과 수정란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호르몬 처리하고 교미시킨 후 4일령에 난관과 자궁을 세척하여 정상 8-세포기 난자와 비정상 난자를 조사하였고 각 처리에서 채란된 난자 중에 정상난자를 골라 체외 배양하여 발육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미성숙 rat에서는 평균19.1개의 수정란이 채취되었으며 성숙rat에서는 14.2개가 채취되었고 미성숙 rat에서는 성숙 rat에 비해 더 많은 비율의 비정상적인 난자가 회수되었다. FSH와 LH-RH에 의한 방법이 PMSG와 HCG에 의한 방법보다 유의성 있게 많은 난자를 배란시켰으며, 비정상란의 빈도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호르몬 처리에 의한 두 가지 방법은 자연배란에 의한 방법에 비해 훨씬 높은 비정상난자의 배란을 유도하였다(FSH, 20.1%;PMSG, 41.2%;자연배란 13.4%). 또한 FSH처리에 의해 회수된 난자보다 체외 발육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rat에서 PMSG와 FSH를 이용하여 과배란을 유도할 수 있으나 배란된 난자의 비정상율은 자연배란에 비해 훨씬 높았고, 과배란 유도시 호르몬의 종류에 따라 체외 배양율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Aerodynamic Simulation of Air-Launched Missiles from a Complete Helicopter (헬리콥터 전기체에서 발사되는 유도무기 공력 모사)

  • Lee, Hee-Dong;Kwon, Oh-Joon;Lee, Bum-Seok;Noh, Kyung-H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097-1106
    • /
    • 2011
  • Unsteady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to simulate air-launched missiles from a complete helicopter in hover by using an unstructured overset mesh flow solver coupled with a module of six degree-of-freedom motion of equations. The unsteady comput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obtain flow fields around the complete helicopter including main rotor, tail rotor, and fuselage equipped with multiple missiles, and six-DOF simulation has been performed to predict the behavior of the air-launched missile. The effects of the launching position and the missile thrust on the trajectory of the missile were investigated as well as the aerodynamic interference of the air-launched missile under the unsteady downwash produced by main rotor.

Synchronous Drive for inverter of Switched Reluctance Motor (스위치드 릴럭턴스 모터 인버터의 동기 구동방식)

  • 김상영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0.07a
    • /
    • pp.513-516
    • /
    • 2000
  • 최근들어 에너지와 가격문제가 대두 되면서 고효율, 저가격의 모터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이런관점에서 SRM(Switched Reluctanec Motor)는 유도전동기에 비해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자기적으로 간단하며 기동 토크가 큰 장점이 있다 가격측면에서 SRM은 BLDC모터에 비해 장점은 있지만 기존 유도기에 비하면 가격의 상승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본 논문은 기존 유도기와 같은 수준의 가격을 제시할 수 있는 인버터 드라이브 방식을 구현하였고 효율은 유도기 대비 월등한 수준을 실현 하였다.

  • PDF

Drain Induced Barrier Lowering for Ratio of Channel Length vs. Thickness of Asymmetric Double Gate MOSFET (채널길이 및 두께 비에 따른 비대칭 DGMOSFET의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현상)

  • Jung, Hakkee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5.05a
    • /
    • pp.839-841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채널길이와 채널두께의 비에 따른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하고자한다. 드레인 전압이 소스 측 전위장벽에 영향을 미칠 정도로 단채널을 갖는 MOSFET에서 발생하는 중요한 이차효과인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는 문턱전압의 이동 등 트랜지스터 특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친다.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현상을 분석하기 위하여 포아송방정식으로부터 급수형태의 전위분포를 유도하였으며 차단전류가 $10^{-7}A/m$일 경우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의 상단게이트 전압을 문턱전압으로 정의하였다. 비대칭 이중게이트 MOSFET는 단채널효과를 감소시키면서 채널길이 및 채널두께를 초소형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널길이와 두께 비에 따라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를 관찰하였다. 결과적으로 드레인 유도 장벽 감소 현상은 단채널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하단게이트 전압, 상하단 게이트 산화막 두께 그리고 채널도핑 농도 등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the Aging Change of Exit Light by Measuring the Ratio of Luminance (휘도비 측정을 통한 유도등의 경년변화 연구)

  • Jung, Jong-Jin
    •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 /
    • v.33 no.6
    • /
    • pp.181-185
    • /
    • 2019
  • In this study, Exit light installed in offices, malls, hospitals, and factories were analyzed to analyze the luminance performance of CCFL and LED light sources. In addition, fire protection products with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Exit light may change their performance due to ambient temperature, humidity, and dust. So it was extracted by installation place and analyzed its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Exit light for CCFL type showed the value of 'ratio of luminance 2' for large, medium and small. Considering that the reference value was 'lower than 9', the value was very good an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ratio of luminance due to aging. The Exit light for LED type showed a value of 'ratio of luminance 5', which means that the light on the display surface is not uniform. In addition, there was almost no change in ratio of luminance due to ageing, but the ratio of luminance was larger than Exit light for LED type. This is an unsatisfactory result from a visual point of view. To improve this, it is necessary to disperse the light of LED light source and strengthen the regulation on ratio of luminance.

유도무기체계 구동장치 기술현황(1)

  • Mun, Ui-Jun
    • Defense and Technology
    • /
    • no.10 s.152
    • /
    • pp.64-69
    • /
    • 1991
  • 유도무기체계를 위한 구동장치는 크게 유도탄 조종용 구동장치와 유도무기 발사대 터렛 구동장치로 나눌수 있다. 유도탄 구동장치는 1회용이지만 높은 출력/무게비가 요구되고, 발사대 구동장치는 대부하라는 점에서 기술적 특성이 구별된다. 유도무기 구동장치로는 유압, 공압, 전기모타 구동장치가 쓰일수 있으나 종래에는 작은 동력이 요구되는 전술용 유도무기의 구동장치를 제외하고는 많은 경우에 출력대 무게 비가 높은 유압구동장치가 사용되어왔다

  • PDF

비침투식, 선택적 암세포 제거를 위한 나노 물질의 유도 결합 고주파 가열에 관한 연구

  • Lee, Hyo-Chang;Lee, Jeong-Gyu;O, Seung-Ju;Jeong, Jin-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Vacuum Society Conference
    • /
    • 2010.02a
    • /
    • pp.104-104
    • /
    • 2010
  • 최근 나노 입자가 항체와 호환이 가능하다는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외부에서 나노 입자를 비침투식으로 가열할 수 있다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치료할 수 있기에, 본 연구는 유도결합 고주파 가열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암세포를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에 관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13.56 MHz의 고주파를 인가하였으며, 카본나노튜브 용액을 유도 결합 고주파 가열시킨 후 용액의 온도 상승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인체와 호환이 가능하도록 제조된 특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도 결합 고주파 가열 실험을 하였으며, 그에 따른 온도 증가를 측정하였다. 용액의 온도는 농도가 짙고, 고주파 전력이 높으며, 그리고 인가 시간이 길수록 온도 상승이 급격해짐이 관찰되었으며, 이러한 온도 상승은 유도 가열에 의한 에너지 전달이 효과적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 유도 결합 고주파 가열법은 비침투식, 선택적 암세포 치료에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