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유기용매

검색결과 1,273건 처리시간 0.036초

PEDOT 합성시 유기용매 첨가에 따른 DC 전기전도 메카니즘 (DC conduction mechanism of PEDOT by adding organic solvents)

  • 박창모;김태영;김윤상;김종은;서광석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709-1711
    • /
    • 2004
  • 3,4-ethylenedioxythiophene(EDOT)을 ferric-toluenesulfonate(FTS)로 doping하여 합성하였다. 이때 다양한 유기용매를 함께 첨가하여 합성하였고, 온도에 따른 각각의 DC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FTS로 dofing된 poly(3,4-ethylenedioxythiophene) (PEDOT)는 3-D variable range hopping model을 잘 따르며, alcohol류의 용매와 함께 합성한 경우는 상온의 DC 전도도가 2 S/cm로 0.4 S/cm의 reference 보다 전기전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ketone류는 약 $10^{-11}$ S/cm로 전기전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전도도의 증감과 doping level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X-ray 분석을 하였다.

  • PDF

Rhodamine 6G 용매에 따른 CA 훈증 지문 증강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nhancement Effectiveness of Cyanoacrylate Fumed Fingermark by the Solvent of Rhodamine 6G)

  • 심예라;유제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294-302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잠재지문이 유류되어 있는 비다공성 또는 반다공성 검체를 CA 훈증하여 지문을 현출한 후 현출된 지문을 증강하기 위해 Rhodamine 6G를 사용하였다. 각기 다른 용매를 기반으로 조제한 두 종류의 Rhodamine 6G 용액 중 어떤 것이 더욱 효과적으로 지문을 증강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일곱 종류의 표면 모두 유기용매 기반 Rhodamine 6G보다 수용성 기반 Rhodamine 6G를 사용하였을 때 지문이 잘 증강되고 배경 염색도 적었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수집되는 감식 대상은 다양한 표면 재질과 색상을 가지는 한계점이 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공성 술폰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분리막을 통한 유기산의 이동 (Transport of Organic Acids through Porous Sulfonated Polystyrene Divinylbenzene Copolymer Membranes)

  • 이광재;한정우;조영일
    • 멤브레인
    • /
    • 제1권1호
    • /
    • pp.44-54
    • /
    • 1991
  • 가교제의 양과 희석용매의 종류(톨루엔, 시클로헥산, 시클로-핵산올) 및 희석용매의 비에 따라 양이온 교환막인 술폰화 폴리스티렌-디비닐벤젠 공중합체 분리막을 합성한 후 특성화하고, pH와 초기농도의 변화에 따른 유기산 투과량의 변화를 고찰하였다. 제조한 막은 가교제의 양이 감소할수록, 단량체 용액의 희석정도가 클수록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희석용매로는 시클로헥산올을 사용한 막이 다른 용매를 사용한 막에 비해 더욱 다공질이고 큰 함수율과 이온교환용량을 보였다. 유기산의 투과실험에서는 수용액상의 포름산, 아세트산과 같은 카르복시산은 pH가 pKa보다 낮아질수록 투과량이 증가하였으며, 아미노산인 L-알라닌은 등전점 pH에서 투과량의 최소치를 나태내었다. 한편, 모든 유기산에 대하여 초기농도 증가에 따른 플럭스의 변화는 전형적인 포화속도론적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 제조를 위한 신합성 연구(II) : 중합변수에 따른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의 전도도 변화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onducting Polymer Composites (II) : The Effect of Polymerization Parameters on Conductivity)

  • 손석희;박영준;김중현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061-1068
    • /
    • 1996
  • 본 연구는 다공성 입자에 전도성 단량체를 침투시켜서 전도성 고분자 복합체를 제조하는 연구로 다단계 seed 중합법을 이용하여 입자를 제조하고, 용매추출법으로 선형 고분자를 제거하는 방법으로 specific pore volume 및 specific surface area가 각기 다른 다공성 입자를 제조하였고, 이 다공성 입자를 모체 고분자로 하여 도핑제를 산화용액에 녹여 흡수시키고 건조한 뒤 전도성 단량체를 유기용매에 녹여 다공성 입자에 침투시킨 후 중합하여 전도성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이때, 모체 고분자에 침투되는 전도성 단량체의 농도 및 유기용매와 산화제의 산화용매 등을 중합 변수로하여 이 변수들과 전도도와의 상관 관계를 살펴보았다.

  • PDF

상용 유기용매 나노여과막 성능분석 및 비교 (Comparison of Commercial 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Membrane Performance)

  • 김수민;송건탁;김정
    • 멤브레인
    • /
    • 제31권4호
    • /
    • pp.282-29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Dead-end와 Crossflow 시스템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나노여과(Organic Solvent Nanofiltration, OSN) 상용분리막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가교된 polyimide 소재 기반의 Duramem (DM) OSN 분리막의 성능을 ethanol, dimethylformamide (DMF), acetone, acetonitrile 용매에서의 성능을 분석하였다. 네 종류의 분획분자량 성능을 갖는 DM 분리막의 성능을 평가하였을 때 dead-end보다 Crossflow에서 조금 더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동일한 분리막이더라도 용매의 특성에 따라 투과도와 선택도 차이가 크게 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압밀화현상으로 인한 초기 안정화 기간의 차이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며 분리막마다 안정화기간이 다르므로 신뢰성 높은 결과를 얻기 위해선 Crossflow 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더 적합한 것으로 보인다.

단위전류당 고유량 유기용매 이송을 위한 다공성 실리콘막 전기침투 펌프의 개발 (Development of Porous Silicon Electro-osmotic Pumps for High Flow Rate Per Current Flow Delivery of Organic Solvents)

  • 권길성;김대중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4권2호
    • /
    • pp.105-111
    • /
    • 2010
  • 양극산화법과 DRIE 법으로 제작된 다공성 실리콘막을 이용하여 두 종류의 전기침투 펌프를 제작하였다. 펌프의 성능은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유량과 단위전류당 유량으로 측정하였다. 두 종류 펌프 모두 기존의 다공성 유리막으로 제작된 전기침투 펌프보다 성능이 우월했다. 특히 DRIE 법으로 제작된 다공성 실리콘막은 유량과 단위전류당 유량이 모두 월등한 성능을 보였다. DRIE 법은 널리 알려진 방법이기에 이와 같이 제작된 펌프는 다양한 응용 분야에 비교적 쉽게 적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생물 에폭사이드 가수분해효소 활성을 이용한 유기용매에서의 광학활성 para-Nitrostyrene Oxide 생산 (Enantioselective Resolution for the Preparation of Chiral para-Nitrostyrene Oxide by Microbial Epoxide Hydrolase in an Organic Solvent)

  • 배현철;김현숙;이수정;이은열;양승택;김희숙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23-426
    • /
    • 2002
  • 방향족 에폭사이드 기질에 대한 입체선택적 가수분해 활성이 우수한 Aspergillus niger LK를 이용하여 광학활성 (S)-para-nitrostyrene oxide를 제조하였다. 수용액에서 기질 의 낮은 용해도를 극복하기 위하여 유기용매에서 광학분할 반응을 수행하였으며, 생촉매 활성 저하가 가장 적은 dodecane을 유기용매로 선정하였다. 반응온도 3$0^{\circ}C$ 및 최적 water content 2% (v/v)의 조건에서 약 10시간 정도의 반응을 통해 ee 값이 100 %인 광학적으로 순수한 (S)-para-nitrostyrene oxide를 37% 정도(이론수율 : 50 %)의 높은 수율로 얻을 수 있었다.

옻칠의 경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uring of Commercially Available Chines Urushiol)

  • 김영백;박덕수
    • 자연과학논문집
    • /
    • 제8권2호
    • /
    • pp.21-26
    • /
    • 1996
  • 시중에서 판매하는 중국산 옻칠을 그대로 혹은 유기용매에 녹는 부분과 녹지 않는 부분으로 분리하고 각각의 경화현상을 연구하였다. 그대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온에서 수분이 포화된 상태에서 경화를 관찰하였으며 유기용매로 분리한 부분의 경화는 섭씨 $100^{\circ}C$$150^{\circ}C$에서 경화를 관찰하였다. 서로 다른 방법으로 얻어낸 도막의 성질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옻 중 유기용매에 녹는 부분과 1,6-diisocyanohexane, toluendiisocyanate(TDI)를 공중합하였을 때 얻어지는 도막과 다른 도막과의 성질로 비교하였다. 가열하여 형성된 도막은 매우 깨어지는 성질(취성)이 매우 높았으며 자연상태로 경화된 도막에 비하여 친수성이 낮았다. Diisocyanate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경화에 산소가 필수적이어서 오랜 시간이 지나도 내부는 경화가 되지 않았다.

  • PDF

용매 증발에 의한 유기용매내 Horseradish peroxidase의 재생 (Reactivation of Horseradish Peroxidase in Organic Media Using Solvent Evaporation)

  • 최유성;유영제
    • KSBB Journal
    • /
    • 제14권4호
    • /
    • pp.465-469
    • /
    • 1999
  • Water/cosolvent mixture system에 사용된 활성을 잃은 효소를 증발을 통해 재생하였다. model system으로 HRP를 이용하였을 때, 활성을 잃은 효소를 증발과 희석을 통해 용매를 제거하였을 경우, 두 경우 모두 열역학적으로 동일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증발에 의해 재생된 효소의 활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증발이 활성을 잃은 효소의 재생에 어떤 영향을 주는 것으로 여겨진다. 형광분석법을 이용하여 효소의 구조를 간접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증발에 의한 경우가 희석에 의한 경우보다 효소의 구조적 변형이 적었음이 관찰되었다.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증발에 의한 재생 효과는 구조적으로 비활성화된 효소의 활성을 일부 되살리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한편 용매의 증발에 의해 재생된 효소는 초기 효소의, 유기용매 내에서의 상대적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