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윈도우 변형

Search Result 42,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Video Segmentation Method using Improved Adaptive Threshold Algorithm and Post-processing (개선된 적응적 임계값 결정 알고리즘과 후처리 기법을 적용한 동영상 분할 방법)

  • Won, In-Su;Lee, Jun-Woo;Lim, Dae-Kyu;Jeong, Dong-Seok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 /
    • v.13 no.5
    • /
    • pp.663-673
    • /
    • 2010
  • As a tool used for video maintenance, Video segmentation divides videos in hierarchical and structural manner. This technique can be considered as a core technique that can be applied commonly for various applications such as indexing, abstraction or retrieval. Conventional video segmentation used adaptive threshold to split video by calculating difference between consecutive frames and threshold value in window with fixed size. In this case, if the time difference between occurrences of cuts is less than the size of a window or there is much difference in neighbor feature, accurate detection is impossible. In this paper, Improved Adaptive threshold algorithm which enables determination of window size according to video format and reacts sensitively on change in neighbor feature i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above. Post-Processing method for decrement in error caused by camera flash and fast movement of large objects is applied. Evaluation result showed that there is 3.7% improvement in performance of detection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In case of application of this method on modified video, the result showed 95.5% of reproducibility. Therefore,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ccurated compared to conventional method and having reproducibility even in case of various modification of videos, it is applicable in various area as a video maintenance tool.

A Stereo Matching Algorithm with Projective Distortion of Variable Windows (가변 윈도우의 투영왜곡을 고려한 스테레오 정합 알고리듬)

  • Kim, Gyeong-Beom;Jeong, Seong-Jong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 /
    • v.25 no.3
    • /
    • pp.461-469
    • /
    • 2001
  • Existing area-based stereo algorithms rely heavily on rectangular windows for computing correspondence. While the algorithms with the rectangular windows are efficient, they generate relatively large matching errors due to variations of disparity profiles near depth discontinuities and doesnt take into account local deformations of the windows due to projective distort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deal with these problems, a new correlation function with 4 directional line masks, based on robust estimator, is proposed for the selection of potential matching points. These points is selected to consider depth discontinuities and reduce effects on outliers. The proposed matching method finds an arbitrarily-shaped variable window around a pixel in the 3d array which is constructed with the selected matching points. In addition, the method take into account the local deformation of the variable window with a constant disparity, and perform the estimation of sub-pixel disparities. Experiments with various synthetic image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significantly reduces matching errors both in the vicinity of depth discontinuities and in continuously smooth areas, and also does not be affected drastically due to outlier and noise.

A Study on the technique of DEM Generation from LiDAR Data (LIDAR 데이터를 이용한 DEM 생성 기법에 관한 연구)

  • Lee, Jeong-Ho;Yu, Ki-Yun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12a
    • /
    • pp.125-131
    • /
    • 2004
  • LiDAR 데이터의 필터링은 원 데이터로부터 건물, 수목 등과 같은 비지면점을 제거하는 과정이며, 이러한 필터링을 통해 DEM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필터링 방법들로는 분산을 이용한 linear prediction 기법, 주변 점들과의 경사관계를 이용한 slope-based 기법, morphology 필터, local maxima 필터 등이 있으며 이러한 기존의 기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부분의 필터링 기법들은 필터의 크기(윈도우의 크기)와 같은 인자를 대상 지역에 적합하게 사용자가 직접 설정해주어야 한다. 더욱이 복잡한 지형, 지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인자를 변형시켜줘야 하며 특히,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적용하기 위해서는 가변적인 크기의 필터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크기의 건물이 존재하는 지역에 대하여 필터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고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는 연산기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목이나 자동차 등과 같은 작은 개체의 제거를 위해 고정된 작은 크기의 윈도우를 가지는 모폴로지 필터를 우선 적용한다. 그 후 건물과 같은 큰 개체의 포인트는 이웃 포인트와의 고도차이를 이용하여 인식하고 이웃에 위치하는 지면 포인트로 대체하며, 갱신된 값이 바로 다음 연산에 반영 되도록 한다. 또한 상, 하, 좌, 우 네 방향에 대하여 라인별로 독립된 연산을 수행한 후에 이들을 비교함으로써 오차를 보정한다.

  • PDF

Study for Coordinate measurement in Wired Tablet (유선 타블렛의 좌표 측정 방법 연구)

  • Hong, Dong-Goo;Ryu, Young-Kee
    • Proceedings of the KIEE Conference
    • /
    • 2008.10b
    • /
    • pp.437-438
    • /
    • 2008
  • 본 논문은 유선 타블렛에서 공진 회로가 적용된 펜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좌표측정 방법을 소개한다. 현재 연구하고 있는 유선 타블렛은 공진회로가 적용된 펜과 루프코일에 라인안테나가 적용된 패드를 사용한다. 공진회로가 적응된 펜을 패드 위에 놓게 되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측정하여 현재 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루프코일에 라인안테나를 설치하면 이를 Differential coil이라고 부르는데 루프 안테나와 라인 안테나 사이에 흐리는 전류를 알 수 있다. 이때 라인안테나를 기준으로 펜의 위치에 따라서 전류량도 변화하며, 또한 라인 안테나를 기준으로 왼쪽과 오른쪽의 전류의 극성이 다르다. 루프회로에 라인안테나를 겹쳐 놓은 형태인 타블렛의 패드는 라인안테나를 순차적으로 변경해 가면서 공진 회로가 적용된 펜에 의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를 측정하게 되며, 이 측정된 값들을 비교하여 좌표를 알아낼 수 있다. 하지만 그 전류의 변화는 아주 적어 직접적인 신호로는 좌표를 알아낼 수 없다. 그래서 우리는 차등증폭을 이용하여 신호를 증폭시켜 신호를 변형한다. 이 변형된 신호를 이용하여 각 라인안테나에서 측정된 전류세기로 좌표를 알아낸다. 이런 연구에서는 전자기 유도현상에 의해 발생된 전류의 세기를 이용해 실제 윈도우 프로그램에서 펜의 위치를 알 수 있는 방법을 찾고, 구현된 모습을 보여준다.

  • PDF

Video see-through HMD based Hand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Video see-through HMD 기반 증강현실을 위한 손 인터페이스)

  • Ha, Tae-Jin;Woo, Woon-Tack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2a
    • /
    • pp.169-17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Video see-through HMD 에 기반 하여 증강 현실을 위한 손 인터페이스를 제안한다. 착용형 컴퓨터의 입력 장치로써 Video see-through HMD 에 부착된 USB 카메라로부터 영상을 입력 받은 후, HSV 컬러 공간에서 탐색 윈도우 안의 개체를 이중 임계 값을 이용해 손과 팔이 포함된 객체로 분리한다. 그 다음 거리 변형 행렬을 이용하여 손과 팔을 분리하고, 볼록 다각형 외각점 추출을 통해 손 끝의 좌표를 검출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AR-Memo"은 현실세계에서 손끝에 가상의 펜을 증강하여 메모를 하고 이동중에 손바닥을 통해 메모를 볼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손 인터페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이동중에도 직관적으로 입력을 할 수 있다. 또한 어떠한 물리적인 장치나 마커를 손에 부착하지 않기 때문에 자연스러운 인터페이스이다. 본 시스템은 착용형 컴퓨터와 결합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utomated Structural Design System Using Fuzzy Theory and Neural Network (피지이론과 신경망을 이용한 구조설계의 자동화 시스템)

  • Lee, Joon-Seo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 /
    • v.15 no.12
    • /
    • pp.236-243
    • /
    • 1998
  • 퍼지 이론과 계산기하학적 수법에 의한 자동요소 생성법, 해석코드 및 상용 솔리드 모델러를 유기적으로 통합한 자동화된 설계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시스템은 여러 가지 복합현상과 관련된 실제 구조물에 대한 설계기능을 갖고 있다. 정전장 해석, 변형해석 및 모드해석 등과 같은 해석하고자 하는 물리적인 현상에 의존한 형상모델이 자동적으로 유한요소모델로 변환되어 해석을 수행한다. 또한 신경망의 기능을 도입, 통합시킴으로써 설계해의 영역을 유용하게 제시하여 준다. 개발한 시스템은 정전 마이크로머쉰의 성능 평가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 PDF

A Methodology for 3-D Optimally-Interpolated Satellite Sea Surface Temperature Field and Limitation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3-D 최적 내삽 합성장 생산 방법과 한계점)

  • Park, Kyung-Ae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9.03a
    • /
    • pp.360-366
    • /
    • 2009
  • AQUA/AMSR-E 인공위성 자료를 활용하여 3차원 최적내삽 해수면온도 합성장을 생산하였고 시간평균장과 비교하여 문제점과 한계점을 기술하였다. 3-D SST 합성장은 북태평양 중앙부에서 전체적으로 $0.05^{\circ}C$ 이하의 작은 오차를 보였으나, 위성 결측이 있는 연안에서는 $0.4^{\circ}C$ 이상의 비교적 큰 오차를 유발하였다. 강한 강수나 구름으로 인한 결측이 있는 부분에서는 $0.1\sim0.15^{\circ}C$에 달하는 오차를 보였다. 시간평균장과 비교한 결과, 구름 부근의 화소에서는 해수면온도를 낮게 계산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해수면온도의 공간적 구배를 감소시키는 평활화가 전체적으로 나타났다. 저위도에서 OI SST는 실제 해수면온도에는 없는 불연속성을 만드는 경향이 있었고, 이는 OI 과정에서 사용한 윈도우의 크기와 해양 현상의 수평 규모가 위도에 따라 변화하는데서 기인하였다. 현상의 공간 규모의 척도인 로스비 내부 변형 반경은 북태평양에서 O(1) 정도로 위도에 따른 공간적 변화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SST 합성장 생산 과정에 위도와 해수의 수직적 밀도 구조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해양 현상의 수평적 규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한다.

  • PDF

x-type PMED interpolation algorithm for moving Image (동영상을 위한 X-형 PMED 보간 알고리즘)

  • Yun, Jong-Ho;Kwon, Byong-Heon;Choi, Myung-Ryul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05a
    • /
    • pp.559-562
    • /
    • 2003
  • 본 논문은 FPD(Flat Panel Display)시스템에서 전화면 디스플레이에 적용할 수 있는 보간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x-형 PMED(Pseudomedian) 알고리즘으로 동영상을 위한 알고리즘이다 x-형 PMED 알고리즘은 보간값 계산에 사용되는 서브 윈도우 형태를 변형한 알고리즘이다. 제안된 알고리즘들에 검증은 C++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하였으며, 평가는 PSNR (Peak Signal to Noise Ratio)값, 주관적인 시각적 평가, 에지 특성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 PDF

Fast 3D Model Extraction Algorithm with an Enhanced PBIL of Preserving Depth Consistency (깊이 일관성을 보존하는 향상된 개체군기반 증가 학습을 이용한 고속 3차원 모델 추출 기법)

  • 이행석;장명호;한규필
    • Journal of KIISE:Computer Systems and Theory
    • /
    • v.31 no.1_2
    • /
    • pp.59-66
    • /
    • 2004
  • In this paper, a fast 3D model extraction algorithm with an enhanced PBIL of preserving depth consistency is proposed for the extraction of 3D depth information from 2D images. Evolutionary computation algorithms are efficient search methods based on natural selection and population genetics. 2D disparity maps acquired by conventional matching algorithms do not match well with the original image profile in disparity edge regions because of the loss of fine and precise information in the regions. Therefore, in order to decrease the imprecision of disparity values and increase the quality of matching, a compact genetic algorithm is adapted for matching environments, and the adaptive window, which is controlled by the complexity of neighbor disparities in an abrupt disparity point is used. As the result, the proposed algorithm showed more correct and precise disparities were obtained than those by conventional matching methods with relaxation scheme.

The Edge-Based Motion Vector Processing Based on Variable Weighted Vector Median Filter (에지 기반 가변 가중치 벡터 중앙값 필터를 이용한 움직임 벡터 처리)

  • Park, Ju-Hyun;Kim, Young-Chul;Hong, Sung-Hoo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5 no.11C
    • /
    • pp.940-947
    • /
    • 2010
  • Motion Compensated Frame Interpolation(MCFI) has been used to reduce motion jerkiness for dynamic scenes and motion blurriness for LCD-panel display as post processing for high quality display. However, MCFI that directly uses the motion information often suffers from annoying artifacts such as blockiness, ghost effects, and deformed structures. So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edge-based adaptively weighted vector median filter as post-processing. At first, the proposed method generates an edge direction map through a sobel mask and a weighted maximum frequent filter. And then, outlier MVs are removed by average of angle difference and replaced by a median MV of $3{\times}3$ window. Finally, weighted vector median filter adjusts the weighting values based on edge direction derived from spatial coherence between the edge direction continuity and motion vector. The results show that the performance of PSNR and SSIM are higher up to 0.5 ~ 1 dB and 0.4 ~ 0.8 %,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