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험도 판별

검색결과 173건 처리시간 0.046초

개인 정보 노출에 대한 정량적 위험도 분석 방안 (A method for quantitative measuring the degree of damage by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 김평;이윤호;티무르 쿠다이베르게노프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395-4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개인 정보별 노출시 피해를 정량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위험도를 정의한다. 제안 방법은 개인정보를 세분화 후, 각 개별 위험도를 산정한다. 또한 두 가지 이상의 정보가 복합될 경우의 추가되는 위협도 동시에 고려한다. 또한 개인 정보를 습득하고자 하는 공격자 유형별로 개인 정보의 가치를 구분하여 개인정보 노출시에 어떠한 공격에 취약한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노출 정도를 판별하기 위해 엔트로피 개념을 위험도 산출시 도입한다. 이를 바탕으로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공개된 정보에 대한 위험도를 분석한다. 2만여명의 공개 정보를 분석한 결과, 페이스북 사용자는 평균적으로 스토커 공격에 취약한 것으로 보여졌다.

판별분석을 이용한 변경모델 결정방법 (Decision Method for Change Model using Discriminant Analysis Technique)

  • 박하경;김상수;인호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645-648
    • /
    • 2007
  • IT 에 대한 비즈니스 의존성이 증가하면서, 안정된 IT 서비스의 제공과 비용 효과적인 운영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ITIL 에서는 효율적이고 신속한 변경 처리를 위해 Service Support 영역에서 변경 관리 프로세스를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고비용을 요하는 CAB 의 소집 여부 등 의사 결정이 변경 관리자의 자의적인 판단에 의존함으로써, 다른 비즈니스 및 안정된 IT 서비스 제공의 위험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요청된 변경 사안이 신중한 검토가 필요한 지 여부를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도록, 판별분석기법을 적용한 변경 모델 결정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모델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실제 운영에 적용된 변경 관리 모델과 제안된 모델을 이용했을 때의 결과를 비교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안된 방법은 동일한 사안에 대하여 일관성 있는 결정을 도출할 수 있어 프로세스 품질개선에 기여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안정된 IT 서비스 제공에 기여하여 기업성과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선박 대표 궤적 추출을 통한 Outlier 판별 알고리즘 (Outlier Distinction Algorithm via Vessel Representative Trajectory Extraction)

  • 박진관;오주성;김범무;전성민;이성로;정민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102-104
    • /
    • 2014
  • 본 논문은 해상 교통량 증가로 급증하는 선박 사고 위험을 줄이기 위해 안전 운항을 위한 대규모 선박 궤적 클러스터링을 제안한다. 선박의 위도와 경도, 이름 및 상태, 속도, 선수 방향 등이 기록된 대용량의 데이터집합을 바탕으로 선박 궤적 클러스터링을 통해 총 2개의 선박 대표 궤적을 추출한다. 해당 선박의 이전까지의 대표 궤적, 그리고 해당 해상의 모든 선박의 대표 궤적을 추출한 후 현재 해당 선박의 궤적패턴과 비교하여 유사하지 않으면 Outlier로 판별하여 이상 거동 및 불규칙 움직임, 충돌상황을 대비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딥러닝 기반 마스크 착용자 및 미착용자 검출 (Mask and Maskless Wearers Detection based on Deep Learning)

  • 김태현;우승희;김정미;최해철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25-327
    • /
    • 2021
  • 코로나19 전염병 예방을 위한 공공장소에서의 마스크 착용이 의무화되고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다양한 이유로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지 않아 감염에 노출되는 위험이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방역 문제를 해결하고 본 논문은 영상을 인식하여 마스크를 쓴 얼굴과 쓰지 않은 얼굴을 검출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은 마스크 착용자와 비착용자 얼굴 영상을 딥러닝 기반의 YOLO 네트워크로 학습하여, 마스크 착용 유무를 판별한다. 동일 YOLO 네트워크에 대해 여러가지 조건으로 학습을 수행하고, 학습에 사용되지 않은 검증 데이터를 이용해 정확도가 가장 높은 네트워크의 가중치를 선택하였다. 실험결과, 마스크 착용자는 67.2%, 미착용자는 39.8%의 판별 정확도를 보였다. 미착용자에 대해 낮은 정확도를 보인 이유는 학습 데이터의 부족으로 판단되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더 많은 학습데이터를 제작하여 성능을 개선시키고자 한다.

  • PDF

한국 여대생의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시의 인지위험 - 의류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 (Internet Apparel Shopping: Perception of Risk among South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Apparel Major)

  • 고성봉;;;황춘섭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69-878
    • /
    • 2007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여대생의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에 있어서의 위험수용 정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한국 서울 소재 대학에서 의류학을 전공하는 2학년 이상의 여학생 324명을 조사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가 조사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조사는 2005년 3월에 실시되었고, 자료분석에는 요인분석, 판별분석이 활용되었다. 구매과정에 있어서 분실제품의 추적 가능성 여부와 같은 배달의 안전성 문제가 구매자의 큰 관심사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37.7%의 응답자에게는 인터넷을 통해서만 구매 가능한 의류브랜드의 선택 가능성 여부가 인터넷 구매율에 크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결과, 인지위험은 1) 인터넷 구매 선택의 선호여부, 2) 배송과정의 문제와 안전부족, 3) 제품의 질과 특성, 4) 반품의 어려움과 5) 가격의 적절성 등 5가지의 위험수용 항목으로 구성되었다. 판별분석의 결과, 비구매자, 소량구매자, 대량구매자를 분별하는데 있어서 1), 2), 3)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설문응답자의 연령대에 따라 요인 1)과 요인 3)이 다르게 나타났고, 모든 응답자에게 있어서 첨단 패션의 선택 가능성 여부와 배송 및 안전과 관련된 위험수용성 여부가 인터넷 시장 점유율에 중대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제품 확인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양질의 제품배송과 충분하고도 정확한 제품특성정보의 전달여부가 인터넷을 통한 의류제품 구입의 동기 부여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는 인터넷 의류시장의 강력한 경쟁력 형성의 열쇠가 될 것이라 판단된다.

크래시의 위험도에 대한 분석 도구의 정교성 향상 (Enhancement of Accuracy of Exploitability Analysis Tools for Crashes)

  • 전현구;엄기진;목성균;조은선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2권4호
    • /
    • pp.178-183
    • /
    • 2016
  •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 개발자는 크래시를 대량으로 발생시키는 퍼징 도구를 사용한 테스트를 통해 미리 취약점을 확인한 후 수정 보완한다. 이 때 개발자는 보안 위험도가 높은 취약점을 중요하게 간주하여 먼저 수정 보완함으로써 해커의 공격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개발자는 일반적으로 보안에 대한 지식이 많지 않으므로, 취약점에 대한 보안 위험도 판별을 도구에 의존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크래시를 보안 위험성에 따라 분류하는 정적 분석기반의 도구를 제안하여 궁극적으로 개발자가 신뢰성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도구는 크래시 발생지점 이후부터 정적 오염분석을 하여 해당 크래시가 공격 가능한지를 분석 확인함으로써, 보안 위험도가 높은 크래시를 탐지하게 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동일한 크래시 집합에 대해 MSEC의 !exploitable과 비교 실험하였다.

스마트폰 사용이 선박통항안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Smartphone Use on Marine Traffic Safety)

  • 신대운;박영수;박진수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31-138
    • /
    • 2017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선박에 육상과 동일한 인터넷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선내 인터넷 사용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지면서, 선원들은 휴대가 간편한 스마트폰을 이용해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부작용에 대해서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그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을 판별하기 위해 선박 조종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위험도 측정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뮬레이션은 근접도 평가, 제어도 평가, 운항자의 주관적 평가 및 위험 상황인지 시간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스마트폰 사용 유무를 구분하여 위험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 항해 중 스마트폰의 사용으로 인해 위험도가 최소 1.3배에서 최대 3배까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항해 중 스마트폰 사용 규제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고, 스마트폰 사용지침을 수립하고자 한다.

산지사면(山地斜面)의 붕괴위험도(崩壞危險度) 예측(豫測)모델의 개발(開發) 및 실용화(實用化) 방안(方案) (Studies on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 of Landslide Hazard and Its Utilization)

  • 마호섭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3권2호
    • /
    • pp.175-190
    • /
    • 1994
  •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의(依)한 피해(被害)를 예방(豫防) 또는 극소화(極小化)하기 위(爲)하여 산사태(山沙汰)가 자주 발생(發生)하는 지역(地域)을 중심(中心)으로 각(各) 조사(調査) 단위사면(單位斜面)에 대(對)하여 산지사면붕괴(山地斜面崩壞)에 영향(影響)하리라고 예상(豫想)되는 12개(個) 환경요인(環境要因)을 현지조사(現地調査)하고 붕괴(崩壞)와 환경인자(環境因子)와의 관계(關係)를 수량화(數量化) 이론(理論)에 의(依)한 방법(方法)으로 분석(分析)하여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의 위험도(危險度)를 평가(評價)할 수 있는 예측(豫測)모델을 도출(導出)하였으며, 또한 이를 기초(基礎)로 하여 위험도(危險度)를 각(各) 급별(級別)로 구분(區分)하고 예지(豫知)모델을 검토(檢討)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을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산지붕괴발생면적(山地崩壞發生面積)에 영향(影響)을 주는 인자(因子)는 강우(降雨), 령급(齡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임상(林相), 곡차수(谷次數),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모암(母岩),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이었으며, 편상관계수(偏相關係數)에 의(依)한 인자(因子)는 령급(令級), 강우(降雨), 토성(土性), 모암(母岩), 경사(傾斜), 사면위치(斜面位置), 표고(標高), 종단사면형(縱斷斜面形), 곡차수(谷次數), 임상(林相), 토심(土深), 방위(方位)의 순(順)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지붕괴발생빈도(山地崩壞發生頻度)에 의(依)한 인자(因子)의 순위(順位)는 령급(令級), 표고(標高), 토성(土性), 경사도(傾斜度), 식생(植生), 강우(降雨), 종단사면(縱斷斜面), 곡차수(谷次數), 모암(母岩), 토심(土深)이었으며 사면위치(斜面位置) 및 방위(方位)는 기여도(寄與度)가 낮게 나타났다. 산지사면붕괴위험(山地斜面崩壞危險) 예지(豫知)를 위(爲)하여 붕괴발생면적(崩壞發生面積)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위험도(危險度) 예측점수표(豫測點數表)를 작성(作成)할 수 있었으며, 점수합계(點數合計)가 9.1636이면 붕괴발생위험(崩壞發生危險)이 높은 것으로 평가(評價)되었으며 산지(山地) 사면붕괴(斜面崩壞)가 발생(發生)한 사면(斜面)과 발생(發生)하지 않은 사면(斜面)에 의(依)한 예측(豫測)모델에서 우사면(雨斜面)에 대(對)한 사면판별(斜面判別) 구분치(區分値)는 -0.02였고, 그 적중율(適中率)은 73%로 높았다. 또한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한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 위험도별(危險度別) 점수(點數)는 A급(級)은 0.3132 이상(以上)이었고, B급(級)은 0.3132~-0.1051, C급(級)은 -0.1050~-0.4195, D급(級)은 -0.4195 이하(以下)였다. 그리고 산지사면붕괴발생(山地斜面崩壞發生)의 예지(豫知)는 판별구분치(判別區分値)를 기준(基準)으로 위험도(危險度)을 A, B, C, D의 4등급(等級)으로 구분(區分)할 수 있었으며, 총(總) 300개(個) 사면(斜面) 중(中) A급사면(級斜面) 68개(個), B급사면(級斜面) 115개(個), C급사면(級斜面) 65개, D급사면(級斜面) 52개(個)였다. 위험도(危險度) A, B급(級)에서의 산사태발생(山沙汰發生)은 150개(個) 붕괴지(崩壞地) 중 125개(個)로서 약(約) 83.3%의 높은 적중율(適中率)을 보여 예측(豫測)모델로서 응용(應用) 가능성(可能性)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예지방법(豫知方法)에 의(依)하여 선정(選定)한 위험(危險)한 지역(地域)에 대(對)하여 산지재해위험도(山地災害危險度) 지도(地圖)를 작성(作成)하여 토지이용(土地利用) 계획(計劃) 및 재해위험지(災害危險地) 선정기준(選定基準)의 행정지표(行政指標)로서 활용(活用)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산지재해(山地災害)에 대(對)한 종합(綜合) 대책(對策)에 유용(有用)하게 활용(活用)함으로써 막대(莫大)한 재산(財産) 피해(被害)와 인명(人命) 손실(損失)을 사전(事前)에 방지(防止)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S 크래시 분석도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S Crash Analyzer)

  • 노명선;나종배;정광운;류재철;노봉남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2권9호
    • /
    • pp.399-404
    • /
    • 2013
  • 마이크로소프트사의 보안공학센터인 MSEC(Microsoft Security Engineering Center)에서 윈도우즈 비스타 운영체제 출시 전 14개월 동안 약 3억 5천만 개의 퍼징 테스트를 수행하였고, 이를 통해 수집된 크래시들을 분석하여 발생 유형별로 분류하고 이들의 위험도를 판별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exploitable 이라는 크래시 분석도구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MS 크래시 분석도구의 크래시 위험도 판단방법에 대해 분석한 결과를 기술하며, 분석을 통해 발견된 도구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랩 어카운트 고객 위험성향과 마케팅전략에 관한 연구 (Risk Propensity and Marketing Strategies for Wrap Account Customers)

  • 노전표
    • 산학경영연구
    • /
    • 제17권
    • /
    • pp.137-151
    • /
    • 2004
  • 금융기관의 랩 어카운트 마케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세분화, 목표시장 선정, 포지셔닝 전략이 효과적으로 수립, 집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마케팅과 재무관리 분야의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랩 어카운트 고객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STP 전략을 제시한 연구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부재한 실정이다. 랩 어카운트 마케팅 전략은 개인투자자의 투자위험성향을 파악하여 포트폴리오 구성에 반영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이를 위해서는 투자위험성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가 필요한데 현재 국내외를 막론하고 체계적으로 투자위험성향을 측정하지 못하는 실정이며 결과적으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랩 어카운트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기 위하여 (1) 랩 어카운트를 이론적으로 정리하고, (2) 랩 어카운트 투자위험 성향을 설명하는 주요 변수를 도출하여, (3) 고객을 투자위험성향에 따라 분류하는 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2개의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가설 1에서는 랩 어카운트 고객의 투자위험성향과 수익성 추구성향 간 유의적인 상관관계가 검증하였고, 가설 2에서는 랩어카운트 고객의 군집화에 있어 투자위험성향과 관련된 세분화 변수들간 차별적인 판별력을 검증하였다. 가설 검증 결과에 기초하여 금융기관은 랩 어카운트 고객을 세분화하고, 목표시장을 설정하여, 랩 어카운트 상품의 독특한 포지셔닝 전략을 수립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