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치 식별자

검색결과 161건 처리시간 0.028초

저고도 소형드론 식별기술 동향 조사 및 식별시스템 제안 (A Survey on Identification Technology of Low-altitude Small Drones and Suggestion of an Identification System)

  • 신재호;신승찬;고상호;강규민;황성현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18-25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드론 수요와 함께 증가하는 드론의 역기능을 해결하기 위한 저고도 소형드론 관리 기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의 저고도 소형드론 식별기술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소형드론의 위치, 속도 등 비행정보 이외에도 비행 계획, 조종자의 신원 등 다양한 정보를 얻어내기 위해 진행되어온 연구 사례들을 중심으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사례들의 특징을 분석하여 나열하였다. 더 나아가 기존의 드론 식별기술들의 문제점을 보완하는 시스템 구성안을 제안하였으며, 비행시험 환경을 구성하여 제시한 시스템을 비행시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지하공간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구축 방안 연구 (Construction Plan of 3D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on Underground Space)

  • 송명수;이성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5권6호
    • /
    • pp.57-65
    • /
    • 2014
  • 최근 들어 지상에서의 건설사업은 녹지공간 조성, 개발공간 부족, 토지보상비 증가 등의 문제로 지상에서 지하공간의 개발로 변화되고 있다. 지하공간의 개발과 함께 지하공간의 지적소유권 관리에 대한 필요성도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한편 3차원 지형도, 해도, 지적도는 상호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정보의 파악(3차원 위치, 속성 등)도 가능해야 한다. 기존의 공간정보객체등록체계는 자동 ID 체계로 구현되고 있어 상호 연계성 및 정보파악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지하공간의 3차원 입체지적 객체정보의 ID 체계는 객체유일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cation) 기반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즉 객체유일식별자를 공통 연계 ID로 하여 지상, 지표, 지하를 구분코드와 함께 지하공간정보의 심도정보를 포함한 객체정보를 표현할 수 있는 공간정보 통합 ID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을 구성하는 지하공간정보를 정의 및 분류하고, 3차원 지하공간정보에 대한 지적 정보 DB 구축을 위하여 측량 지적정보의 상호 연계성을 고려한 객체유일식별자 기반의 통합 ID 체계를 개발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통합 ID 체계를 기반으로 한 지하공간 지적정보 DB 구축 및 3차원 지적정보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성과는 향후 국토공간정보의 상호 연계성을 고려한 국가 차원의 3차원 입체지적 표준 ID 체계, DB 구축, 시스템 개발의 핵심 기반자료의 역할을 할 것이다.

머신러닝을 이용한 사용자 행동 인식 기반의 PIN 입력 기법 연구 (A Study of User Behavior Recognition-Based PIN Entry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 정창훈;;장룡호;양대헌;이경희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7권5호
    • /
    • pp.127-136
    • /
    • 2018
  • 이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사용자 인증 프로토콜에 머신러닝을 사용하는 기법을 제안한다. 우리가 제안하는 기법은 사용자가 PIN을 입력할 때, PIN 뿐만 아니라 추가적으로 스크린을 터치하는 시간 간격 및 위치를 인증 정보로 수집하여 식별자로 사용하는 기법이다. 먼저 사용자 등록 단계에서 다수의 사용자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수집 한 다음, 그 데이터로 머신러닝을 이용하여 모델을 제작한다. 그리고 사용자 인증 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PIN을 비교하고, PIN이 일치하면 사용자의 터치 시간 및 위치 데이터를 모델에 입력하여 기존에 수집한 데이터와 거리를 비교하여, 그에 따라 인증 성공 여부가 결정된다. 우리는 사용성 실험과 보안성 실험을 통하여 이 기법을 사용하는데 큰 불편이 없다는 것(FRR : 0%)과, 이전의 사용되고 있던 PIN 입력 기법보다 안전하다는 것(FAR : 0%)을 보였고, 그에 따라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기법이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숄더 서핑 공격 실험을 통하여 PIN이 유출되어도 보안 사고가 발생하기 힘들다는 것(FAR : 5%)을 확인하였다.

무선이동통신 환경에서의 VoIP 긴급서비스 모델 (A VoIP Emergency Service Model in Wireless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 김진홍;이길섭;이승종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227-1230
    • /
    • 2005
  • 최근 다양한 네트워크의 융합(Convergence) 추세에 따라 기존 PSTN 서비스도 인터넷에서 VoIP 형태로 제공이 되고 있다. 하지만 VoIP 서비스는 인터넷망을 이용하므로 부여된 발신번호 정보를 송출하지 않아 발신자의 위치 및 해당지역의 공공구조기관(PSAP)의 식별이 불가능하여 긴급서비스 지원을 위한 위치정보 제공을 못하는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최근 측위기술의 활용이 다양해지고 요구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실내에서의 신호 차폐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고, 높은 위치정확도 등을 제공하는 WLAN와 RFID 기술을 이용한 측위기술 연구가 활발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Wi-Fi, RFID, GPS를 이용한 측위기술을 사용하여 무선이동통신 환경에서 VoIP 긴급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모델 제안과 각 구성요소에 대한 기능, 세부적인 지원 절차를 설명하고, 위치정보의 획득 및 처리를 위한 운용 시나리오에 관한 구체적 방안과 제안모델을 적용하기 위한 고려사항에 대한 분석결과를 제시한다. 그 결과 제안된 모델은 무선이동통신의 긴급서비스 설계시 적용이 기대된다.

  • PDF

한국인 유전체 시료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 (An Information System for Efficient Management of Genomic Specimens from Koreans)

  • 양은주;신용국;김준우;김규찬;한복기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2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29 No.2 (1)
    • /
    • pp.76-78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로부터 수집되는 한국인 유전체 시료와 이에 관련된 시료 접수 정보, 시료 보관 위치 정보, 시료 정도 관리(Quality Control) 정보, 분양 정보 등을 체계적으로 저장ㆍ관리하기 위하여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시료 접수자 및 정보 관리자는 시료 정보 관리 시스템을 통해 인간의 DNA, cell, serum, urine 등과 같은 유전체 시료를 접수하고 관리할 수 있으며 이들 정보에 대한 집계 현황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 유전체역학센터 및 질환군별 유전체연구센터에서 입력한 개인식별 정보, 임상 정보, 생활습관 정보 등과 유전체 시료 정보와의 연계가 가능하다. 이는 관련 연구진에게 인간 유전체 시료를 활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함으로써 유전체 연구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 PDF

RFID/USN 연동 시스템을 활용한 건설자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Real-Time Construction Resource Monitoring using RFID/USN Inter-working System)

  • 류정필;김형관;김창윤;김창완;한승헌;김문겸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90-94
    • /
    • 2007
  • 건설 현장의 자재 위치 추적 기술은 건설 프로젝트의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기술로서 현재 국내외적으로 많은 연구가 수행 중에 있다. 최근 들어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시스템을 이용하여 공급 사슬망 전반에 걸친 건설 자재에 대한 실시간 위치 추적에 대한 연구가 각광을 받고 있다. 그러나 짧은 인식거리, 저조한 인식율등의 문제로 바코드 대체 수준으로 그 활용이 미비한 상황이다. 본 논문에서는 인식거리르 보다 길게 하는 900MHz 대역의 RFID 시스템과 인식된 데이터를 무선 통신(Zigbee)을 사용하여 전달하는 RFID/USN 연동시스템 개발과 그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RFID/USN 연동 시스템을 건설현장의 자재관리에 시험적으로 적용, 실중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첨단 센싱 기술 및 전파식별 기술에 대한 현장 활용 가능 여부, 실증 테스트 시 발생하는 기술적 애로 사항 및 다양한 활용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격지에 있는 현장 관리자를 위하여 기존 인프라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실시간 자재 및 장비의 위치 데이터를 관리자가 원할 경우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전달 가능하도록 이동통신망(CDMA: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과의 연동 시스템을 현장에서 적용 및 점검한다.

  • PDF

MEMS 센서를 이용한 지상 및 지하에서의 실시간 3차원 위치추적 기술에 관한 기초적 연구 (A Basic Study on Real Time 3D Location-Tracking in Ground and Underground Using MEMS Sensor)

  • 설문형;장용구;전흥수;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47-52
    • /
    • 2013
  • 국내에서는 채굴 작업의 수가 적어지면서 채굴 작업 중 매몰되는 사고는 줄어들고 있지만, 건설 현장에서의 매몰 사고는 매년 증가되고 있어 공정별 건설시공에 있어 안전관리, 특히 작업자의 안전관리는 매우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건설분야에서는 건설 현장 및 활용목적에 따른 통합시스템의 활용이 보다 필요하며, 특히 지하구조물 시공현장에서의 활용은 더욱 절실한 실정이다. 하지만 현재 위치추적, 센서, 무선통신 등의 개별요소기술들은 활용가능한 단계에 있으나, 통합시스템의 상용화 및 활용성은 아직 연구 단계여서 통합시스템에 대한 건설현장에서의 활용은 아직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비쿼터스 건설현장 관리를 위한 지상 지하의 실시간 3차원 위치추적 기술을 연구하기 위해서 MEMS 센서, 광파기, DGPS를 이용한 DATA를 2곳의 시험 장소에서 측정하였고 MATLAB을 이용하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작업자의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한 최대 3m 이내의 오차가 확인되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향후 연구개선 방향을 모색하였다.

Internet 확장성 문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Internet scalability problems)

  • 유태완;이승윤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852-855
    • /
    • 2007
  • 1990년대 인터넷의 폭발적인 확장은 인터넷의 심각한 scalability 문제를 야기 시켰다. 특히 BGP 테이블의 기하급수적인 성장세를 보였고, 이러한 확정성을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IP 프로토콜인 IP version 6(IPv6)를 표준화하였다. 그러나 IPv6는 실질적으로 인터넷의 scalability를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으며, 특히 멀티호밍, Traffic Engineering, PI (Provider Independent) routing 정책들로 인해 다시 한 번 scalability 문제는 크게 이슈화 되었다. 따라서 현재 인터넷의 표준을 제정하는 IETF에서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인터넷 아키텍처의 변경을 통해 자연스럽게 해결하려 하고 있다. 현재 인터넷 아키텍처가 가지고 있는 가장 큰 문제는 routing과 addressing의 핵심으로 사용되는 IP 주소의 의미의 중복 (overloading semantics)이며, 라우팅을 위한 정보 (how), 단말의 위치 정보(where), 그리고 이 외에 전송 계층 상위에서 사용되는 단말의 식별자 정보(who)로 사용되는 IP 주소의 의미 중복을 해결하면, 자연스럽게 scalability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멀티호밍, Traffic engineering, renumbering, 그리고 이동성 지원 등을 지원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이 현재 인터넷이 가지고 있는 확장성 문제를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시된 IP 주소에서 Identifier와 locator를 분리하는 기술들을 분석한다.

  • PDF

한국형 Reach File 개발을 위한 속성 설계 (Designing of Attributes for Development of Korean Reach File)

  • 이철용;김계현;박용길;이혁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1년도 학술발표회
    • /
    • pp.242-247
    • /
    • 2011
  • 본 연구는 한국형 Reach File을 개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한국형 Reach File의 필수 구성요소 중 하나인 속성을 설계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 Reach File 구축 사례를 검토하였고, 특히 최종 버전인 RF3(Reach File version 3)의 속성 내역을 정리하여 설계에 참조하였다. 국내 TMDL 업무 분석을 수행하여 업무 활용 측면에서 요구되는 속성도 모델링을 통해 속성 설계에 반영하였으며, 아울러 아크-노드 모델(Arc-node model) 기반의 네트워크 형식의 공간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가정하여 네트워크 분석에도 활용이 가능하도록 선형 및 점형 도형자료 간 위상관계도 속성 설계에 반영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한국형 Reach File의 속성은 '위상(topology)', '위치(location)', '주제(theme)'의 세 가지 대분류에 따라 모델링되었으며, 각 분류에 따라 세부 속성이 정의되었다. 고유 식별자를 포함하여 선형 도형자료의 경우 총 53개, 점형 도형자료의 경우 총 13개의 세부 속성이 정의되었고, 각 속성에 대한 속성명, 필드명, 데이터 타입 및 길이 등에 관한 상세 설계서가 작성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속성 설계서는 향후 한국형 Reach File 구축에 직접 활용이 가능하며, 따라서 한국형 Reach File의 구체적인 개발 방향의 설정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에서는 속성 설계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형 Reach File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연구가 뒤따라야 한다.

  • PDF

NDN에서 Off-Path 콘텐츠 접근기법들에 대한 성능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Off-Path Content Access Schemes in NDN)

  • 이준석;김도형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컴퓨터 및 통신 시스템
    • /
    • 제10권12호
    • /
    • pp.319-328
    • /
    • 2021
  • 인터넷에서의 대용량 콘텐츠들에 대한 서비스가 일반화됨에 따라 기존 TCP/IP 프로토콜에서의 비효율적인 데이터 전송에 대한 문제점들이 제기되었고, 그 결과로 정보중심네트워크 (Information-centric networking) 패러다임이 새롭게 제시되었다. 정보중심네트워크에서는 IP와 같은 위치 식별자를 대신하여 콘텐츠 이름을 통해 콘텐츠 접근이 이루어지며, 네트워크 노드들 (e.g., 라우터)은 캐시를 활용하여 전송중인 콘텐츠들을 저장하여 이후 발생하는 사용자 요청들에 대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요청이 멀리 위치한 콘텐츠 서버가 아닌 가까운 네트워크 캐시에서 서비스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서비스 지연 감소, 네트워크 대역폭의 효율적 사용, 서비스 확장성 확보 등의 이점이 소개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정보중심네트워크에서의 이점들은 캐시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가 얼마나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느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1) 정보중심네트워크의 대표적인 아키텍쳐 중의 하나인 Named-data Networking (NDN) 에서의 콘텐츠 접근 기법에 대해 소개하고, 2) 특별히 라우팅 경로를 벗어나 캐시되어 있는 콘텐츠들을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안된 기법들에 대한 리뷰를 진행하며, 3) ndnSIM 시뮬레이터를 활용해 이들 기법들에 대한 성능 비교 평가를 진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