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위축근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9초

근 위축 증후 학생 보호자의 의식 및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ardian's mental attitudes and self-esteem toward their children with muscular dystrophy)

  • 남미자;조길호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1권6호
    • /
    • pp.1091-1100
    • /
    • 2010
  • 본 논문의 목적은 근 위축 증후 학생을 가진 보호자의 자녀에 대한 의식과 자아존중감에 관한 연구를 통해서, 보호자 의식의 전체적 경향을 파악하고, 그와 같은 의식과 자아존중감이 보호자의 성별, 연령, 학력, 가계 월 소득, 자녀학년, 자녀의 신체능력, 근 위축 증후 인식경과 및 부모의 종교 유무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살펴보고, 보호자 의식 신장에 따른 정서적 인지적 측면의 성장과 발달을 꾀하여 보호자 교육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대와 40대의 급성 및 만성요통환자의 척추주위 근육에 관한 횡단면의 비교 (Characteristic of Cross-sectional Area of Lumbar Paraspinal Muscle in Patients of Acute and Chronic LBP)

  • 김대훈;박진규;박윤진;정대인;김성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270-278
    • /
    • 2011
  • 이 연구는 20대와 40대의 급성과 만성 요통환자를 대상으로 척추 주위근육의 단면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20대(남자-9, 여자-10)와 40대(남자-8, 여자9)의 대상자들은 MRI로 요추(4번 하부 종단판) 단면도의 척추주위근육(장요근, 다열근, 척추기립근)들의 크기를 PACS(free-handling technique of the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PACS)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20대 급성과 만성 요통 환자들의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성이 없게 나타났으나, 40대 급성과 만성 요통환자들의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는 만성 요통환자들이 근 위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또한 20대와 40대의 만성요통환자 척추 주위근들의 차이도 40대 만성요통 환자들에게 유의성 있게 나타났다. 연구에서 20대 만성환자들의 근 위축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40대 만성환자들은 다양한 이유로 근 위축이 나타났다. 따라서 40대의 만성 요통환자들은 조기의 다양한 요부 근력 운동 및 기능적 활동 등으로 허리 주위근육의 위축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신경근 전기자극이 흰쥐 위축근 신경근 연접부의 연접재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Synaptic Reorganization of Neuromuscular Junctions in Rat Atrophic Muscle)

  • 남기원;김용억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3호
    • /
    • pp.19-3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MES for recovery of skeletal muscle. Methods: The normal group consisted of healthy rat without cast immobilization. The control group was breeding at standard cage during 7 days after 2 weeks-cast immobilization on hind limb. The experimental group. I. received NMES application during days after 2 weeks-cast immobilization on hind limb. The effects were measured with NT-3 immunoreactivity in neuromuscular junction by light microscope. Results: Immunoreactivity of NT-3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was higher appeared experimental groups than control group. Then, There was a little detection in the normal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therapeutic interventions enhance expression of NT-3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Also, NMES is considered to effect on a normal structural formation and NT-3 expression at the neuromuscular junction.

  • PDF

성대 Bowing의 술전.후 음성기능 (Vocal Function after Surgical Correction of the Bowing Vocal Cords)

  • 정광윤;최종욱
    • 대한음성언어의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음성언어의학회 1993년도 제1회 학술대회 연제순서 및 초록집
    • /
    • pp.16-16
    • /
    • 1993
  • 성대의 bowing은 성대근의 위축, 노화, 상후두신경마비, 성대수술후, 성대구 등의 원인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예에서 경도의 애성을 호소할 뿐만 아니라 아직 효과적인 치료법이 없기 때문에 적극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장기간 애성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저자들은 성대의 bowing의 진단 및 치료에 도움을 얻고자 최근 2 년간 애성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성대의 bowing을 보였던 25례(성대구 3례, 성대위축증 2례)을 대상으로 치료전ㆍ후의 음성기능을 분석하여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 PDF

다발성 회전근 개 파열에서 시행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술 후 MRI 추적 검사 (MRI Follow-up Study After Arthroscopic Repair of Multiple Rotator Cuff Tendons)

  • 태석기;김진영;박재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1권2호
    • /
    • pp.96-103
    • /
    • 2008
  • 목적: 다발성 건을 침범한 관절경적 회전근 개 복원 술 후 재 파열의 발생률 및 관련된 요인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극상건과 극하건을 포함한 회전근 개 파열을 보인 22예의 관절경적 복원 술 후(평균 파열크기 3.2 cm, 평균 연령: 58세) 평균 10개월 후 자기공명영상으로 조사 하였다. 복원된 건의 상태 평가는 Sugaya의 분류를 이용하였으며 근육의 상태 변화는 Goutallier의 등급을 이용하였다. 결과: 총 22예 중 7예(32%)에서 재파열을 보였다(Sugaya 분류 IV, V형). 3 cm이상의 파열에서 높은 재파열률 을 보였으며(67%) 반면 3 cm 이하에서는 8%의 재파열률 을 보였다. 재파열을 보인 경우 수술 후 Goutallier II등급 이상의 근육의 변성을 보였다. 반면 재파열이 발생하지 않은 군에서도 근 위축이 호전된 경우는 볼 수 없었다. 결론: 다발성 건을 침범한 회전근 개 파열에서 관절경 적 복원 술 후 32%의 재파열을 보였다. 파열의 크기가 재파열의 중대한 요소이며 파열의 크기가 3 cm 이상인 경우 재파열이 더 자주 발생하였다. 재파열을 보인 경우 근 위축은 진행 하였으며 복원상태가 유지 되어도 근 위축이 호전된 경우는 볼 수 없었다.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적용이 위축근 기능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Pre-application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on Atrophic Muscle Function)

  • 강종호;김용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691-698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현수 기간 중 적용한 신경근 전기자극의 사전 적용이 흰쥐 뒷다리 근육의 무게와 후지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25마리의 Sprague-Dawley계 흰쥐를 14일 동안 현수한 HLS군(n=5)과 14일 동안 자유롭게 사육한 WB군(n=5), 현수 기간 중 14일간 사전 전기자극을 실시한 ES14군(n=5), 현수 기간 중 11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11군(n=5), 현수 기간 중 7일간 사전 전기자극한 ES7군(n=5)에 무작위 배치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결과, HLS군과 ES7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 후지 활보장의 유의한 감소와 외향각의 유의한 증가가 관찰되었고, ES14군과 ES11군에서 비복근의 근무게와 후지 활보장, 외향각이 유의하게 유지되었음을 관찰하였다. 즉, 14일 및 11일의 사전 신경근 전기자극이 근위축 지연과 근기능 보존에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근위축 예방 및 기능 유지를 위해서는 신경근 전기자극을 가능한 조기 적용해야함을 알려주고 있다.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childhood obesity on school adjustment: Mediating effects of withdrawal)

  • 유지희;한창근
    • 한국아동복지학
    • /
    • 제59호
    • /
    • pp.59-86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복지패널 데이터 중 10차 년도의 가구 및 아동부가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을 살펴보았고, 두 변인간의 관계에서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또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지 알아보기 위해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비만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비만은 위축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위축은 학교적응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의 비만이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위축의 부분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아동 비만의 예방과 개입 및 비만의 부정적 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활동저하후 회복기의 운동훈련이 쥐의 위축근의 길이와 둘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xercise Training following Hypokinesia on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in Rats)

  • 최명애;안숙희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325-336
    • /
    • 199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xercise training on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atrophied muscles to see whether improvement in restoring the atrophied muscle mass, of either length or circumference growth could be induced through exercise training. Adult female Wistar rats were maintained for 14 days with hindlimb suspension. Rats were then assigned randomly to a sedentary group or training group. The length and circumference of both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for the training and sedentary groups following hindlimb suspen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control group. Length and circumference of both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in trained group was compared with those in the sedentary group.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 1) Atrophy of soleus and plantaris muscle was induced with hindlimb suspension. 2) The circumference of both the soleus and plantaris muscle following hindlimb suspension was reduced to 51. 72%, 66.67%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length of both the soleus and plantaris muscle following hindlimb suspens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3) There was no difference in length for either the atrophied soleus or plantaris muscle between the trained and the sedentary group during recovery from hindlimb suspension. 4) The circumference of both the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did not return to normal in the sedentary group, however, the circumference of both the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were significantly greater than of the control in the trained group, 14.22% and 9.38% respectively. 5) The circumference of both the atrophied soleus and plantaris muscle in the trained group was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of both muscles in the sedentary group at day 28 of recovery. From these results, it can be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restoring the atrophied muscle mass through exercise training might be induced by growth of the muscle circumfe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