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위성 탑재체

Search Result 58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Trends of the vibration isolation system for spacecrafts (진동절연 시스템의 위성체 적용 동향)

  • Park, Jong-Seok;Yang, Koon-Ho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8 no.2
    • /
    • pp.54-64
    • /
    • 2010
  • A spacecraft contends with various vibration from the launch to the on-orbit operation, which is one of the major considerations in spacecraft design. The weight reduction has been indispensable to decrease the launch cost, however it produces worse disturbances for the spacecraft equipments. Besides, the load requirements at observation payload interfaces have became severe to secure their pointing stability as their images are required with high resolution. As a possible solution, a vibration isolation system is introduced and it reduces the vibration from the launch vehicle or isolates the spacecraft equipments from their generating/transmitted vibration. In this paper, it is examined the design consideration needed for the accommodation of the vibration isolation systems through the survey of recent applications of vibration mitigation technologies to spacecrafts.

  • PDF

Development of an Optical Payload Simulator for KOMSAT-3 (다목적 실용위성 3호 광학탑재체 묘사기 개발)

  • Lee, Jong-Hun;Lee, Jun-Ho;Kim, Hui-Seop
    • Proceedings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08.07a
    • /
    • pp.399-400
    • /
    • 2008
  • 본 논문은 광학 탑재체에서 성능예측에 있어 주요 MTF인자를 MATLAB으로 계산하여 기본 광학계 성능 해석 모델을 통합적인 툴로 구현하였다. 그 결과 광학 탑재체 성능 해석에 있어 광학 탑재체의 초기 설계 단계에서 주요 설계인자를 도출하여, 인공위성 광학 탑재체에 있어 지배적인 영향을 미치는 Jitter, Smear, Detector sampling, Detector diffusion등의 MTF인자 및 PSF인자들을 활용하여 광학 탑재체의 성능 예측을 수행함에 있어 간단하고 효율적인 툴을 개발하였다.

  • PDF

과학기술위성1호의 초기 운용 및 위성의 상태 분석

  • 강경인;박홍영;김경희;이종주;신근수;김세일;임종태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53-53
    • /
    • 2004
  • 과학기술위성 1호는 2003년 9월 27일 러시아의 플레세츠크에서 성공적으로 발사된 후 6개월 여간의 운용을 통하여 초기 위성 안정화 과정과, 임무 수행기간인 2년 동안 정상적으로 위성이 운용될 수 있도록 위성의 운용모드에 따른 파라미터를 궤도상에서 보정하는 과정을 거쳐 전력 시스템이 최상의 조건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초기 위성의 상태 점검과정과 탑재체의 관측을 위한 운용모드 시험과정을 거쳐 현재 위성은 각 궤도별로 “정밀 자세 제어 모드”, “최대 태양 전력 입력 지향 모드”, “자동 지상국 교신모드”, “탑재체 운용 모드”, “S/W 전력 제어”, “자동 파일 다운로드” 등으로 분류되어 운용되고 있으며, 위성의 주컴퓨터에 시나리오 명령구조를 사용하여 탑재체를 운용하고 있다. (중략)

  • PDF

과학기술위성 2호 시스템

  • Lee, Seung-Hun;Park, Jong-Oh;Sim, Eun-Sup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4 no.2
    • /
    • pp.60-64
    • /
    • 2005
  • STSAT-2 will demonstrate the scientific mission(acquisition of brightness temperature of the earth at 23.8 GHz and 37 GHz) and spacecraft technologies(laser ranging, frame-type satellite structure, Dual-head star tracker, CCD sun sensor, pulsed plasma thruster, etc.). In this paper STSAT-2 satellite system is described. It includes the definition of the system and the overview of payloads and BUS.

  • PDF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the Design of Power Electric Ground Support Equipment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ower Demand due to the Increase in Satellite Power Demand and the Advancement of Satellite Payload (위성 탑재체 고도화에 따른 위성 전력요구도 증가 및 전력요구도 증가에 따른 전력계 전기지상지원장비 설계 최적화를 위한 고찰)

  • Su-Wan Bang;Hyoung-Ho Ko
    • Journal of Aerospace System Engineering
    • /
    • v.17 no.1
    • /
    • pp.88-96
    • /
    • 2023
  • KOMPSAT (Korean Multi-Purpose Satellite) is a Low-Earth-Orbit (LEO) satellite under development in Korea. Its performance has been steadily improving. At this time, power demand of the payload increased according to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payload. Accordingly, design of the satellite, such as design of the internal power supply device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olar array, was changed. Thus, many considerat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an increase in power when designing power EGSE (Electric Ground Support Equipment) for supplying power to satellites and conduct satellite integration tests. This paper deals with matters to be considered when designing power EGSE according to changes in satellite power requirements according to payloads and increase in power requirements.

Scan Mirror Emissivity Compensation for the COMS MI (천리안위성 기상탑재체의 스캔미러 방사율 보정)

  • S대, Seok-Bae;Jin, Kyoung-Wook;Ahn, Sang-Il
    • Aerospac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0 no.1
    • /
    • pp.156-166
    • /
    • 2011
  • COMS (Communication Ocean and Meteorological Satellite), the Korea's first geostationary Earth observation satellite, started to operate 24 hours to observe Land/Ocean/Atmosphere with the MI (Meteorological Imager) and GOCI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er). After the successful completion of the IOT (In-Orbit Test), the satellite is in normal operation from April of 2011. This paper describes an algorithm for scan mirror emissivity compensation of the COMS MI and its software implementation.

지구 저궤도 고해상도 관측위성의 개발 동향

  • Kim, Gyu-Seon;Jeong, Dae-Won
    • Current Industrial and Technological Trends in Aerospace
    • /
    • v.4 no.1
    • /
    • pp.68-73
    • /
    • 2006
  • 1990년대 중반이후 선진외국의 위성 제작사들은 상업적인 목적으로 소형 위성체에 고해상도 광학 탑재체를 탑재한 위성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미국의 Lockheed Martin사에서 IKONOS라는 상업용 고해상도 지구관측 위성을 개발한 이후 미국 및 유럽의 선진외국 사에서 유사한 위성을 개발하여 미국 내 정부의 수요 및 해외고객의 수요를 충족시켰다. 최근 다음 세대 위성의 개발이 진행되어 1-2년 내에 발사를 앞두고 있는데 미국 내의 개발 동향은 위성의 대형화를 통한 성능 및 수명 증대와 더불어 고용량 자세제어 작동기를 사용한 고 기동성능 확보로 요약할 수 있으며, 탑재체 성능의 경우에는 PAN 채널의 경우 0.5 m 이하의 해상도를 갖는 성능 증대를 보이고 있다. 본 기술동향에서는 기존의 개발 되어있는 고해상도 지구관측위성의 특성을 살펴보고 향후 지구 저궤도 고해상도 관측위성의 개발동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 PDF

A Design Verification for the EQM CBS Ka-band Payload System by EMC Test (EQM 통신방송위성 KA대역 탑재체 시스템의 EMC 시험을 통한 검증)

  • Lee,Ho-Jae;U,Hyeong-Je;Sin,Dong-Hwan;Park,Jong-He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1 no.10
    • /
    • pp.97-104
    • /
    • 2003
  • This paper addresses EMC test results for the EQM Communications & Broadcasting Satellite(CBS) Ka-band Payload System. The aim of the EMC test is to verify that the payload system has no effect on the other system and is not affected by the external field. The compliance of EMC system requirements was verified by the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emission level from the payload system. The variation of performance by noise injection was measured to inspect the susceptibility of the payload system. The analysis and test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has no serious effect on the overall payload system performance. It is confirmed that the EQM CBS Ka-band payload system can be operable in the space environment from the EMC performance's viewpoint. It is also obtained that better performance can be acquired by improving waveguide design and integration method.

과학기술위성 1호의 탑재체 자료 수신을 위한 X-band 대역의 안테나 운용 및 수신 성능 분석

  • 이종주;강경인;신근수;박홍영;김경희;김세일;임종태
    • Bulletin of the Korean Space Science Society
    • /
    • 2004.04a
    • /
    • pp.90-90
    • /
    • 2004
  • 과학기술위성 1호는 2003년 9월 27일 성공적으로 발사된 후 초기 운용 과정을 거친 이후 탑재체의 정상적인 운용에 들어갔다. 과학기술위성 1호에 실린 탑재체는 원자외선 분광기, 우주물리 관측기, 자료수집 시스템 등이 있으며, 탑재체에서 발생된 데이터는 X-band 대역의 RF 시스템인 PDTx를 통해 지상으로 전송된다. 최근의 위성 운용에 의하면 하루 평균 수신량은 원자외선 분광기와 우주 물리 관측기의 자료가 약50Mbyte이며, 수신된 자료는 탑재체팀의 서버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