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 2.0

Search Result 761,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웹 2.0 관련 핵심 표준화 이슈

  • Lee, Gang-Chan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4 no.10
    • /
    • pp.51-57
    • /
    • 2007
  • 지난 2004년부터 1999년 닷컴 버블의 붕괴 이후에 새롭게 성장한 구글과 아마존의 괄목할만한 성장에 힘입어, 인터넷 벤처들을 중심으로 웹 기술과 인터넷 산업 전반에 대해 새롭게 고찰하기 위한 시도들이 "웹 2.0"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웹 2.0을 소개하는 거의 모든 자료에서 설명하는 팀 오라일리(Tim O'Reilly)의 살아남은 닷컴 기업들의 7가지 특징, 롱테일, UCC, 참여, 개방, 공유 등의 의미와 서비스에 대한 사회/문화적 보다는 거시적 관점에서 웹 2.0의 핵심 표준화 이슈에 대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SS Reader Module Based on Ajax for Web 2.0 (웹 2.0을 위한 Ajax기반 RSS리더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 Kwon, Young-Jae;Kim, Cha-J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7.06a
    • /
    • pp.649-652
    • /
    • 2007
  • Recently, it is increasing the interest in previous web and web 2.0 which mean differentiation. The previous system is typical Static web based on client and server model, while web 2.0 mean next generation web which web change and evolve fundamentally.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the module on RSS reader available under web 2.0 standards. A currently used RSS feed do correct the part distortion which can be possible resolve the encoding problem of Hanguel and third-world language. The suggested module is implemented using Ajax. I developed the module for the use of effective contents on web 2.0 through the DragBox module based on the programming on mobility of Ajax an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update module of RSS feed.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SS Reader Module Based on Ajax for Web 2.0 (웹 2.0을 위한 Ajax기반 RSS리더 모듈 개발에 관한 연구)

  • Kwon, Young-Jae;Kim, Cha-Jo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2 no.7
    • /
    • pp.1263-1270
    • /
    • 2008
  • Recently, it is increasing the interest in previous web and web 2.0 which mean differentiation. The previous system is typical Static web based on client and server model, while web 2.0 mean next generation web which web change and evolve fundamentally. In this paper, I suggest that the module on RSS reader available under web 2.0 standards. A currently used RSS feed do correct the part distortion which ran be possible resolve the encoding problem of Hanguel and third-world language. The suggested module is implemented using Ajax. I developed the module for the use of effective contents on web 2.0 through the DragBox module based on the programming on mobility of Ajax and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utomatic update module of RSS feed.

Research trend of Web 2.0 use in education (웹 2.0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블로그와 위키를 중심으로)

  • Heo, Hee-Ok;Kang, Eui-Sung
    •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 /
    • v.13 no.2
    • /
    • pp.59-70
    • /
    • 2010
  •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earch trend of Web 2.0 use in education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Sixty representative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terms of a developed framework of Web 2.0 based learning environments and an analysis scheme. This scheme is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research targets, research themes, types of Web 2.0 tools, learning theories and research methodology. The findings indicate that a majority of the previous studies aimed to share information and reflect thoughts in collaborative contexts through blogs and wikis at universities.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 PDF

Cooperative Learning Strategy based on the Web 2.0 in Wireless Network (무선네트워크 환경에서 웹2.0 기반의 협동학습 전략)

  • Yang, Chang-Hun;Joo, Kil H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9.08a
    • /
    • pp.221-226
    • /
    • 2009
  • 문제해결력 및 의사결정능력 향상이라는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 협동학습은 큰 효과를 보인다. 이러한 협동학습은 학습 환경이 변화함에 따라 오프라인 협동학습에서 웹기반 협동학습으로 발전되었고 요즘은 웹2.0 기반의 협동학습까지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웹2.0의 '참여, 공유, 개방' 개념의 교육적 활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선네트워크 환경의 웹2.0 기반의 협동학습 전략을 구안하고 적용함으로서 교육적 요구에 맞는 타당성과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학습전략에서 웹2.0을 통한 온라인 학습지원시스템(WCLS)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협동학습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의 역할 모형을 제안한다.

  • PDF

Research on Service-Level Integration of ETSI M2M Platform with Heterogeneous Web Applications based on WSDL 2.0 (WSDL 2.0을 이용한 ETSI 표준 M2M 플랫폼과 이종의 웹 애플리케이션 간의 서비스 차원의 통합 방안 연구)

  • Park, Yunjung;Min, Dugki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8
    • /
    • pp.1842-1850
    • /
    • 2013
  • ETSI M2M Platforms provide general infra 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rvice-level integration methodology which can integrate a ETSI M2M platform with heterogeneous web applications based on WSDL 2.0. Considered heterogeneous web applications are the ones that use SOAP, HTTP and CoAP protocols for inter-communication. The proposed WSDL 2.0-based service-level integration methodology includes the followings; (1) We present a method of how to describe standardized M2M platform service interfaces into a WSDL 2.0 document. (2) A proposed web client generator is used to generates SOAP, HTTP and CoAP client codes from the WDSL 2.0 document. (3) We propose protocol conversion proxies which translate protocols into other protocols in web service run-time.

The Trends of Geospatial Web Technologies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

  • Jang, Y.S.;Oh, J.H.;Kim, K.O.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2 no.3 s.105
    • /
    • pp.124-135
    • /
    • 2007
  • 분산환경의 지리공간정보를 효율적으로 연계.통합하기 위한 기술 개발의 필요성이부각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SOA를 기반으로 하는 지리공간 웹(geospatial web)은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콘텐츠 및 서비스에 대한 검색, 접근 및 이용이 가능하도록 할 것이다. 또한 지리공간 웹은 최근의 차세대 웹(웹 2.0) 환경에 발맞추어 기존의 공급자 위주정보제공 방식에서 벗어나, 사용자의 참여를 통해 스스로 발전해가는 지리공간 디지털생태계를 구축해 나갈 것이다. 본 고에서는 SOA 및 웹 2.0(web 2.0)에 대한 개요와 함께, SOA를 기반으로 한 지리공간 웹 기술 동향과 웹 2.0 환경을 플랫폼으로 하는 다양한 지리공간정보 서비스 기술 동향에 대해 살펴본다.

X인터넷과웹2.0

  • Hong, Seong-Won
    • Digital Contents
    • /
    • no.9 s.160
    • /
    • pp.50-51
    • /
    • 2006
  • 최근 IT업계의 화두가 되고 있는 웹2.0은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떠오르기 시작한 이슈다. 웹2.0은 기존의 하이퍼텍스트생성언어(HTML)로는 불가능했던 리치애플리케이션과 다양한 서비스 및 새로운개념의 인터페이스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됐다. 현재 웹 2.0에 가장 빠른 대응을 보이며 적극적으로 기술접목을 시도하고 있는것은 X인터넷 업체들이다. 그도 그럴것이, 웹2.0이 어떤확정된 개념이나 기술을 꼭 지칭하는것은 아니지만 사용자의 편의성과 유저인터페이스를 강조한다는 점에서 X인터넷과 어느정도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 PDF

Interactive Personal Service of IPTV based on Web 2.0 (웹 2.0 기반의 IPTV 양방향 맞춤형 서비스)

  • Han-Seok Choi;Jun-Myoung Choi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8.11a
    • /
    • pp.1177-1180
    • /
    • 2008
  • 웹 2.0의 등장과 함께 IPTV서비스에서도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에 등장한 웹 2.0 기술을 연구하고 이러한 웹 2.0 기술을 통하여 IPTV 양방향 맞춤형 서비스를 제시한다. 본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가 키워드를 중심으로 실시간 검색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사용 빈도에 따른 맞춤형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RSS, Tagging 기술들 사용하여 서버 구축 할 수 있는 모델을 설계하였다.

The Instructional Model for Robot Programming Using Web2.0 Tools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웹2.0 도구의 활용 모형)

  • Jeon, Jaecheon;Yoo, Inhwa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 /
    • v.18 no.2
    • /
    • pp.345-356
    • /
    • 2014
  • Modern internet service is characterized as opening, sharing and participation based on Web2.0 so that users might actively participate in the internet environment. In this study, we suggested an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precedent model of robot programming to promote positive interaction in Web2.0 environment. First, we figured out implications of precedent research through review the environmental features of Web2.0 and educational tools, robot programming learning model. Also, we suggest an instructional model using Web2.0 tools(cyworld, prezi, Mindmeister) for promoting interaction and applied it to learners. As a result, we have acquired positive results of robot programming education using Web2.0 tools. Most participants were evaluated that Web2.0 tool would be helpful to the overall robot programming cour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