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3)
/
pp.82-84
/
2003
본 논문에서는 최근의 웹 서비스 표준 및 기술의 정비를 활용하면서 인터넷 환경에서 기업내, 외 응용 프로그램 통합 요청에 부합하는 eAI 프레임웍을 워크플로우 시스템과 연계시켜 고안하고 설계한다. 제시된 eAI 프레임웍은 eAI 플랫폼, 어댑터. 데이터 브로커, 워크플로우 시스템 등 4개의 소프트웨어 모듈을 포함하며 논문에서는 각각의 모듈이 소개된다. 고안된 eAI 프레임웍에서는 eAI 플랫폼을 구성하는 웹 서비스 게이트웨이를 매개로 방화벽을 뛰어넘으면서 다양한 프로토콜로 외부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할 수 있으며 MSH(Message Service Handler)를 통하여 기존의 응용 프로그램 들과도 손쉽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논문은 IPv6의 보급확산을 위해서 추진된 NCA의 IPv6 웹 포탈사이트 구축을 통해 정의된 시스템 아키텍처를 소개하며, S/W, 네트워크, 하드웨어의 실질적인 구축 사례를 제시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웹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일반 이용자를 IPv4에서 IPv6로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서비스 정책과 시스템 구현 기술을 보여준다.
정보 통신의 발달로 인터넷 사용자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초고속 정보통신망을 비롯한 정보인프라의 구축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종류의 정보 서비스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 중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인터넷을 통한 웹(WWW) 서비스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 서버에 기반한 멀티미디어 서비스에 대해 빠른 전송을 수행하기 위해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을 커널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웹 서버 시스템을 디자인하고 제안한다.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하)
/
pp.491-494
/
2003
SMTP와 POP3를 이용하여 많은 웹 메일 서비스들이 구현 되어 있다. 이런 웹 메일 서비스들은 모든 업체들이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능들과 부가적인 기능들을 사용자에게 서비스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런 여러 가지 기능에 사용자의 환경(주소록, 받은 메일, 지운 메일등)과 같은 것들을 XML파일로 변환, XML파일을 다시 RDB에 삽입하여 서로 다른 기반의 웹 메일 서비스를 이용할 때도 저장해놓은 XML파일을 이용해 기존의 환경을 다시 구축하고 오프라인 상에서도 검색 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하였다.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1998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pp.495-499
/
1998
웹 브라우저를 사용하여 각종 장치에 대한 감시 및 제어를 할 수 있게 하는 내장형 웹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최근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이 시스템의 핵심인 내장형 웹 서버는 장치에 부속되는 특성상 하드웨어 자원 사용에 큰 제한이 있으며, 고전적인 유닉스 둥의 일반 목적 대형 운영체제가 아니라 한정된 목적의 소형 운영체제상에서 운영된다. 따라서 내장형 웹 서버는 여태까지 연구 되어온 기존의 Desktop 웹 서버에 비해 매우 큰 차이를 보인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적 내장형 웹 서버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 고찰해 본다. 여기서는 특히 x86 계통 시스템에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DOS 운영체제 기반의 웹 서버에 대해 연구하였다 DOS가 제공하는 운영체제 서비스 상에서 소규모 다중태스크 실행환경을 구축하였으며, KA9Q NOS의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이식하여 인터넷 접속환경을 실현했다. 이 기반 위에서 HTTP 서버를 설치하였으며, 별도의 응용 프로그램과 연동되어 장치에 대한 제어 및 감시가 이루어진다. 실험은 80486DX-2 단일기판 컴퓨터 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제한된 하드웨어 자원하에서 매우 우수한 서비스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웹은 초기에 단순히 정적인 문서 형태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에서, 서로 다른 서비스를 연결하는 기술과 서로 다른 원격 데이터들을 연결하는 기술로 진화하였고, 이제는 단말의 HW을 제어하고 연결하는 단계를 넘어 모든 사물을 연결하는 기술로도 발전하고 있다. 이제 웹은 단지 개별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로서가 아니라, 다양한 응용과 서비스를 연동하고 제공하기 위한 명실상부한 플랫폼이 되어가고 있다. 기술적으로도 과거 웹 기술이 단지 브라우저와 서버 기술에만 초점을 맞추었다면, 최근에는 HTML5를 중심으로 리치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시스템 API 기술, 서비스 플랫폼 기술, 웹 운영체제 기술들과 같은 플랫폼 지향적인 기술개발 및 제품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웹 플랫폼 기술과 웹 응용 기술 표준화 동향에 대해 살피고, 향후 웹 플랫폼과 웹 응용 기술이 해결해야 할 이슈들과 나아갈 방향들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하였다.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제19권3호
/
pp.101-108
/
2014
Many businesses, government offices, educational institution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business and information system is used. However, prevalence of smart phones and a wide range of mobile devices with services, which requires users with mobility, according to the latest mobile services and in many places, and is under development. Interworking between existing systems and mobile systems to be set aside for the development cost and time, a waste of human resources is getting worse. Also, in many places to provide mobile services to existing systems need to fix the problem is coming. In this paper, to solve the problem of interworking between existing systems and mobile systems for the data transfer and processing of existing server, web services server, and mobile systems has been developed between the library.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제13권6호
/
pp.203-210
/
2008
Recently, as wireless communication are becoming more and more popular, Internet users is becoming increasingly demand HTTP-based web service in mobile computing environment. But, overall performance of web services may slow down, because mobile device are generally equipped with lower capability. Therefore,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design wireless internet delivery system should be scalable to handle a large scale traffic due to rapidly growing users. But, in case of some preceding research, they not present a basic efficiency reform measure until currently. Therefore, In this paper, We propose a Web Service Delivery System for mobile environment that alleviates problems that occurred while executing web services in mobile environment and are helpful to overcome the above needs. The system composed of HTML/WML Converter, SOAP message processor. We compare the existing system with the proposed system.
As the Internet has been growing, WWW(World Wide Web) based services were popularized and users using the service were increased excessively. Recently, the instances of communications between the applications and interaction applications using the Web servic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business logics among the enterprises are spread widely. Therefore, it has been emphasized quality and security of web services. In this paper, we described standard trends for web servises. And we analyzed the security policies to protect user's informations. Eventually, We described a security enhancement method for web service.
Currently, developed technologies for semantic web services discovery are based on ontologies. These ontologies are DAML-S(DARPA Agent Markup Language for Services) and Process Handbook Project of MIT. These technologies have some problems for intelligent web services discovery. So, in this paper we analyzed those ontologies and proposed TM-S, Topic Maps for Services. TM-S is the presentation model for semantic web services. And TM-S includes benefits and complements weaknesses of those ontologies. And we proposed TMS-QL, TM-S Query Language. TMS-QL is query language for intelligent web services discovery. At last, we designed and implemented intelligent web service discovery system that deals TM-S ontology and TMS-QL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