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웹개발 플랫폼

Search Result 487, Processing Time 0.042 seconds

An HTML5-based Web Application Running Platform of a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디지털방송 단말의 HTML5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플랫폼)

  • You, Dae-Sang;Maeng, Seung-Ryol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17 no.9
    • /
    • pp.2048-2054
    • /
    • 2013
  •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the territories of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are being converged and there have been the efforts to eliminate the spatial and/or temporal restrictions in utilizing the services (usually implemented as applications) via various devices (e.g. smart-phone, smart TV, pad-computer, etc). In the circumstances, Web is coming to the fore as a common running platform of the services and the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s are pressed to run Web applications as well as Java applications, which are the standard of data service of the digital broadcasting. The paper introduces a platform for running HTML5-based Web applications, which is equipped with a Web kernel (an engine for running HTML5 Web applications), a Web desktop (the facilities (with an UI similar to Window OS) for managing Web applications), and SDK (a set of API's for Web application developers).

Technology Trend of Web-based SW Platform (웹기반 SW 플랫폼 기술동향)

  • Lee, K.H.;Jeong, Y.J.;Lee, K.Y.;Kim, J.S.;Kim, I.S.;Im, C.D.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6 no.5
    • /
    • pp.66-73
    • /
    • 2011
  • 애플의 iPhone, 안드로이드를 채택한 스마트폰 등으로 휴대전화의 스마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이의 중심에는 SW 플랫폼이 자리잡고 있다. 이 SW 플랫폼은 디바이스를 컨트롤하면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실행을 지원하는 기반 SW이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SW 플랫폼의 개념 및 종류를 설명하고, 최근 등장한 웹기반 SW 플랫폼의 기술동향 및 기업동향을 살펴보며, 이에 따른 향후 전망 및 국내 기업이 참고로 하여야 할 시사점에 대해 논한다.

  • PDF

Development of ASP-Business Support Platform based on SOA (SOA 기반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 개발)

  • Han, Eun-Young;Jeon, Un-Bae
    • 한국IT서비스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7.05a
    • /
    • pp.203-209
    • /
    • 2007
  • 그동안 많은 솔루션 벤더들이 다양한 이기종 시스템들의 느슨한 연결 및 유연한 서비스 중개, 용이한 확장성까지 두루 갖춘 통합된 비즈니스 지원플랫폼 모델을 제시해 왔다. 최근 표준 웹서비스 기술과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개념이 확산되면서, 이를 ASP비즈니스의 서비스 어플리케이션 통합 및 비즈니스 프로세스 통합에 적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KT는 현재 상용서비스 중인 ASP비즈니스 'bizmeka' 의 현황을 분석하고, 시장을 예측하여 다양한 경우의 비즈니스 프로세스들을 모듈화 및 웹서비스화한 후, 이를 메시지 라우팅 및 워크플로우 기능을 통해 실행하는 구조의 SOA 기반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ASP비즈니스 지원플랫폼 구축의 기반 기술로서 SOA 및 관련 기술에 대해 살펴보고, KT가 개발 중인 플랫폼의 개념과 모델, 설계 및 구현 내용 등을 소개한다.

  • PDF

Development of a web service platform for the application of physical fitness database in sport science (체력요인 DB를 활용한 웹서비스 개발)

  • Park, Seong Bin;Chung, Kyung-Ryul;Choi, Chunho;Kim, sa-yup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495-496
    • /
    • 2011
  •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분야에 활용 가능한 다양한 체력요인들을 수집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웹기반의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확보한 체력요인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성별, 연령별로 구분된 체력요인별 수준을 백분위수를 제시하였고 각각의 체력수준을 다섯 등급으로 구분하여 체력수준의 등급을 제시하였다. 또한 특정 체력요인의 수치를 입력하면 해당 요인에 대한 체력 수준 및 그 수준에 따른 다른 체력요인들을 검색하여 제공함으로써 체력요이들을 비교할 수 있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웹 기반 형태의 플랫폼 형태는 추후 다양한 서비스 콘텐츠의 추가가 가능할 것이다. 개발된 서비스플랫폼은 자산의 체력수준 확인, 체력검사의 기준, 스포츠용품의 성능 검증 등 다양한 스포츠과학분야의 기반 데이터로서 활용 가능할 것이다.

  • PDF

Creating GitHub Electronic Business Card Using Next.js and Building an Efficient Developer Business Card Ecosystem through App and Web Multi-Platform-Based Services (Next.js를 활용한 깃허브 전자 명함 제작 및 앱, 웹 멀티 플랫폼 기반 서비스를 통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

  • Hyeonwoo Kim;Jeongmin Lee;Minsoo Park;Sohyeon Lee;Jaeman Shim;Young-jong Kim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23.05a
    • /
    • pp.745-747
    • /
    • 2023
  • 깃허브는 개발자의 명함이라는 말이 있듯, 많은 수의 개발자들이 깃허브를 활용해 자신의 개발 이력과 프로젝트들을 관리한다. 이를 위해 기존의 깃허브 정보 요약 서비스들이 제공되어졌으나, 정보 공유의 불편함과 많은 정보를 담지 못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서버 기반의 깃허브 웹 명함 제작 및 멀티플랫폼에서의 서비스를 기반으로 한 효율적인 개발자 명함 생태계 구축을 제안한다. 본 서비스에서는 Next.js 기술을 활용한 한 명함 제작 및 웹, 앱 클라이언트를 통한 명함 관리 기능을 제공한다. Github oauth를 통해 인증된 정보를 바탕으로 Next.js를 활용해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정해진 형식으로 요약한 명함을 제작한다. 제작된 명함은 웹 / 앱 플랫폼을 기반으로 관리되며, 추가적으로 명함의 공유 및 저장 기능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명함 공유를 바탕으로 한 개발자 네트워크 형성을 목표로 한다.

금융 기관을 위한 e-서비스 플랫폼 연구

  • 송영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of Information Technology Applications Conference
    • /
    • 2002.11a
    • /
    • pp.136-160
    • /
    • 2002
  • Most important to financial is to provide well designed and built services to the customers by accessing their core bank systems and affiliated systems in their partners. This will be essential to introduce new products and services and still be able to count on legacy and collaborative affiliated systems. Winning the war on such service competitions among financial institutions is attainable by seizing the 'e-bank' opportunities in B2Bi and CRM (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 Such application integrations among systems and 'e-bank' services need to be available in the new IT environment.

  • PDF

Mobile Web Automatic Generation using the Web users usage pattern (사용자 이용패턴을 이용한 모바일웹 컨텐츠 자동 생성에 관한 연구)

  • Ko, Hee-Ae;Kim, Jong-Keun;Sim, Kun-Ho;Meihua, Zhao;Yin, Chang-Yi;Lim, Young-Hwan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 /
    • v.9 no.4
    • /
    • pp.583-590
    • /
    • 2008
  • These days Mobile web Full Browsing is getting the issues which displays whole Web Site contents in browser of mobile device. Since the size of browser is too small, in this paper, it recommends a new method that web users can choose variable service and web contents for mobile contents by adopting new platform. The mobile web would be generated automatically to apply the web 2.0 through the web users pattern. The platform is that no one belong in data, anyone can use this, anyone can modify the data, so variable users can create new contents for proper mobile web. It is the Mobilder application which can build Mobile web pages. Any User can make mobile web pages with Mobilder Before producing the program, in this paper, it will build mobile web pages by web users navigation pattern. After analysing the web users pattern, we will produce the mobile web pages through this.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Video Seminar System based on SNS-Web Platform (SNS-웹 플랫폼 기반 영상세미나 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 Kim, Hee-Dae;Kim, Hyeong-Il;Yoon, Min;Oh, Young-Man;Park, Yeo-Sam;Chang, Jae-Woo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2 no.5
    • /
    • pp.40-51
    • /
    • 2012
  •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 a SNS-web platform based video seminar system which supports effective information sharing and cooperation. The proposed system has 3 characteristics. First, a user can take part in Web-based video seminar without installing a specific hardware or software because our system has been developed with Java Web Start. Secondly, our system can be executed on various operating systems and internet web browsers. Thirdly, our system can support the expert knowledge sharing and cooperation among experts who are connected on SNS because the system operate on SNS-web platform. Finally, we show from our performance analysis that our system is efficient in terms of average delay time.

Development of the Mobile AddressBook Web Services (모바일 주소록 웹서비스 개발)

  • Ku Yong-Mo;Lee Eun-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6.05a
    • /
    • pp.443-446
    • /
    • 2006
  • 최근 무선 인터넷 환경이 보편화 되면서 플랫폼과 언어에 독립적인 통신 방법인 웹서비스 기술이 모바일 환경에서도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모바일 웹서비스를 위한 새로운 기술이 소개되고 있지만 아직 모바일 환경에서의 웹서비스 사례는 별로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유무선 통합 환경을 지원하기 위한 주소록 웹서비스 시스템의 설계와 구현을 소개한다. 주소록 웹서비스는 개인 주소록 정보를 가지고 웹서비스를 지원하는 PIMS 주소록 웹서버와 웹서비스를 이용하는 모바일 클라이언트 및 온라인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된다. 유선과 무선의 클라이언트 어플리케이션은 다른 접근 기능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모바일 웹서비스 클라이언트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주소록 웹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Apache의 웹서비스 프로젝트인 Axis와 Axis의 J2ME 구현체인 Axis MIRAE 플랫폼을 이용하였다. 특히 모바일 웹서비스 클라이언트는 단말의 제한된 메모리 용량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동 생성된 Stub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파서 API를 통해 SOAP 메시지를 직접 생성하고 접근하는 방법을 도입하였다.

  • PDF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based on Web 2.0 (웹 2.0 기반의 유비쿼터스 헬스케어 모니터링 시스템)

  • Jeong, Pil-Seong;Oh, Young-Hwa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7 no.4C
    • /
    • pp.321-328
    • /
    • 2012
  • The Mobile device like smart phone is a small computing device and easy to carry around. The Mobile devices are wildly being used as desktop personal computer and can served individual services. Because of compatibility of applications working on mobile devices are not good, so developer need to develop it that match changes in platform fetures. In this paper, we design and implementate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that can be runs on many different platforms using HTML5 as a standard web development language and jQuery as a javascript library. Ubiquitous healthcare monitoring system is runs on on many different platforms like mobile platforms and desktop web brows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