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통형 대책구조물

Search Result 7,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Numerical simulation of debris flow behavior around cylindrical structures (원통형 구조물 주변 토석류 거동 수치모의)

  • Kim, Byung Joo;Paik, Joong Cheo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93-93
    • /
    • 2022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하여 우리나라 산림에 태풍 및 국지성 호우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사면재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중 호우로 인한 많은 양의 물과 함께 토석 및 부유물이 중력에 의해 경사면을 따라 흐름 형태를 보이는 토석류 재해는 속도가 매우 빠르고 파괴적이며 그 결과는 비참하기까지 하다. 더구나 인구밀도가 낮은 산지 계곡부 뿐만 아니라 도시지역에서도 토석류 재해가 빈번히 발생하며 국내 및 해외에서도 토석류에 의한 피해사례는 자주 볼 수 있다. 이러한 토석류 재해의 피해를 줄이고자 토석류의 유동성을 저감시키기 위한 대책구조물의 시공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투과형 구조물 중 하나인 원통형 기둥구조물을 그룹 형태로의 시공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토석류와 대책구조물 간의 상호작용은 월류(overflow), 쳐오름(run-up), 역류(backwater) 등의 복잡한 흐름 거동을 보인다. 하지만 원통형 대책구조물에 대한연구가 많이 이루어져 있지 않고 대규모 실험 또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실행하기도 어렵다. 이 연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인 OpenFOAM을 사용하여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설치 조건에 따라 토석류 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짧은 시간 내에 흐름이 발생하고 비뉴튼 유체 특성을 갖는 토석류의 유효전단응력이 난류전단응력에 비해 상당히 크므로 난류의 영향은 무시하였다. 계산된 수치모의의 결과를 같은 규모로 시행한 실험결과와 비교분석 및 검증하였다. 공학학적 문제에 적용 가능하도록 비교적 낮은 해상도의 계산 격자를 사용했지만 실험에서 보여지는 토석류의 흐름거동을 양호하게 재현했으며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에 따라 토석류 선단부 유속의 감소 정도 및 시간에 따른 흐름깊이 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다양한 조건을 가지는 토석류 흐름을 해석하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며, 추후 복잡한 실제지형 조건을 고려하는 연구를 통하여 적용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 PDF

An Experimental Study on Cylindrical Countermeasures for Dissipation of Debris Flow Energy (원통형 대책 구조물의 토석류의 에너지 저감 효과에 대한 실험적 연구)

  • Kim, Beom-Jun;Han, Kwang-Do;Kim, Ho-Seop;Choi, Clarence E.;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
    • /
    • pp.57-65
    • /
    • 2019
  •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ylindrical countermeasure on the flow characteristics of debris flow, a series of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flume with cylindrical baffles. Various heights and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were considered as a test condition. High speed cameras and laser level sensors were also installed at the top and side of the channel, respectively, to capture the debris flow dynamics before and after baffles. Based on test results, the energy dissipation of debris flow due to baffles was analyzed. Test results showed that baffles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velocity and flow depth of debris flows.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 of baffles also increase as the increase of height and row number of baffles.

Analysis on Effect of Energy Mitigation by Arrangement of Cylindrical Countermeasures through 3D Debris Flow Numerical Analysis (3차원 토석류 수치해석을 통한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에 따른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 Kim, Beom Jun;Yune, Chan-Young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43 no.5
    • /
    • pp.621-630
    • /
    • 2023
  •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an energy reduction effect by field application of cylindrical baffle arrays, the 3D Debris flow numerical analysis was conducted with various baffle configurations for the simulation of a real-scale valley, where the cylindrical baffle arrays were installed. For this, the valley of the watershed was modeled using terrestrial LiDAR data from the real-scale experiment site. Numerical analysis simulated the flow behavior of debris flow and the structures using Smooth Particle Hydrodynamics (SPH) technique of ABAQUS (Ver. 2021). The numerical analysis results that the case without cylindrical baffle arrays had a similar velocity change to that of the real-scale experiment. Also, the installation of baffles significantly reduced the frontal velocity of debris flow. Furthermore, increasing the baffle height increased the downstream energy reduction because of the higher flow impedance of taller baffles.

Analysis on Effect of Debris Flow Energy Mitigation by Arrangement of Cylindrical Countermeasures (원통형 토석류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에 따른 에너지 저감효과 분석)

  • Kim, Beomjun;Cho, Heungseok;Han, Kwangdo;Choi, Clarence E.;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 /
    • v.20 no.10
    • /
    • pp.15-27
    • /
    • 2019
  • In this stud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cylindrical baffles on the debris flow energy,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using a flume with cylindrical baffles. Various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were considered as a test condition. To investigate the scale effect of debris flow and cylindrical baffles on flow characteristics, large-scale tests were also performed according to varying row numbers of baffle for same baffle configuration with small-scale tests. Both small- and large-scale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increase of row number of baffle increase the energy dissipation effect due to reduction of the velocity and flow depth of debris flow.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Arrangement of Cylindrical Countermeasures on Debris Flow Impact Load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에 따른 토석류의 충격하중에 대한 실험적 연구)

  • Cho, Heungseok;Kim, Beomjun;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6 no.11
    • /
    • pp.135-148
    • /
    • 2020
  •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rray of cylindrical baffles on debris flow impact load, a series of small-scale test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varying row numbers of installed baffles in the flume. After the test, the behavior of debris flow interacting with baffles during the flow process was investigated. Based on the results, the influence varying velocity and flow depth on Froude number and dynamic pressure coefficient were analyzed.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greatest peak impact load occurred at the second row of baffle arrays. The dynamic pressure coefficient was also estimated by suggested equation and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Effect of the Cylindrical Baffle Configuration Behind Rigid Barrier on Impact Load of Debris Flow (중력식 사방댐 후면에 설치된 원통형 대책구조물의 배치조건이 토석류의 충격하중에 미치는 영향)

  • Kim, Beom-Jun;Yune, Chan-Young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 /
    • v.38 no.11
    • /
    • pp.7-17
    • /
    • 2022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ylindrical baffle arrays behind a rigid barrier on debris flow behavior and dynamic impact load. Small-scale tests were performed with various transverse blockage ratios and row numbers of baffles. High-speed cameras were installed at the flume's top and side, and load cells were installed in front of the rigid barrier. Moreover, glass beads simulated large boulders with debris flow in the flume. Test results revealed that the impact load of debris flow on the rigid barrier was significantly reduced using the cylindrical baffles behind the rigid barrier. In addition, the increased transverse blockage ratio of baffle arrays led to a greater impact load of debris flow because of flow suppression due to the baffle arrays.

Free Vibration Analysis of Shell Structures with Elastic Supports (탄성지지를 갖는 셀구조물의 자유진동해석)

  • 문덕홍;여동준;김판석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Noise and Vibrat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5.04a
    • /
    • pp.344-349
    • /
    • 1995
  • 셀구조물은 선박, 항공기, 우주선 등의 산업분야에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구조요소로서, 이에 대한 연구도 공학적 필요성에 의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Maddox등의 Rayleigh-Ritz법, Srinivasan and Bobby의 적분방정식 기법, Petyt의 유한요소법, Irie, Henderson등의 전달매트릭스법, 그 외 Webster, Petyt and Deb Nath, Blevins, Srinivasan and Krishnan등에 의해 여러가지 해석방법의 진동해석이 행해져 왔다.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매트릭스 구조해석 및 진동해석 방법으로는 유한요소법과 전달매트릭스법을 들 수 있다. 유한요소법은 범용적인 해석 프로그램의 개발은 수월하지만 대규모의 선형 연립방정식의 해법에 귀착되므로, 기억용량이 큰 대형컴퓨터가 필요하고, 반면 전달매트릭스법은 기억용량이 적은 퍼스널컴퓨터로도 계산수행이 가능하나 고차의 고유진동수를 구할 경우나, 중간에 단단한 경탄성지지가 존재할 경우 등에는 수치계산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상태변수를 바꾸어 넣은 Riccati방법, 각 절점의 기지의 상태변수를 제거하는 Frontal법, 전달매트릭스와 강성매트릭스를 결합시키는 방법 등이 보고 되고 있다. 이에 자자들은 퍼스널컴퓨터 이용에 적합한 고속, 고정도의 구조해석 및 진동해석 기법으로 전달영향계수법을 제안하여, 원판구조물, 사각판구조물, 원통형 셀구조물 등의 여러가지 형상구조물의 자유진동 해석에 적용해서, 종래의 전달매트릭스법에 비해 계산정도 및 계산속도의 양면에서 매우 우수함을 보고한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적영향계수의 축차전달에 그 개념을 두고 있는 전달영향계수법을 좀 더 일반화시키고 체계화시키기 위하여 탄성지지를 갖는 셀구조물에 적용하여 자유진동 해석 알고리즘을 정식화한 후, 간단한 모델에 대한 수치실험을 통해서 전달 영향계수법으로 구한 해를 전달매트릭스법의 결과와 비교.검토하여 본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