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위 요골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9초

개에서 골절의 지연유합에 대한 rhBMP-2의 임상적 적용 2례 (Clinical Application of Recombinant Human Bone Morphogenetic Protein-2 for Delayed Fractures in Dogs)

  • 김재경;김세은;고아라;김승현;심경미;배춘식;최석화;강성수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412-415
    • /
    • 2012
  • 1년령의 중성화된 수컷 요크셔테리어와 7년령의 암컷 푸들이 골절의 지연유합으로 내원하였다. 요크셔테리어의 경우 오른쪽 요골과 척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고, 푸들의 경우 왼쪽 경골과 비골의 원위부가 골절되었다. 두 환자에서 신체검사 및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의 유합이 지연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골절부는 금속판 및 나사못으로 고정시키고 자가해면질골을 골절 틈새에 이식하였다. 또한 빠른 골유합을 위해 $20{\mu}g$의 rh-BMP 2 가 포함된 matrigel을 골절부에 주입하였다. 수술 후 방사선검사를 통해 골절부의 치유 상태를 확인하였다. 장기간의 방사선검사에서 두 마리 모두 빠른 골유합을 보였다. 첫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2주째에 요골과 척골 골절 틈새에 골밀도가 증가하였다. 20주째에는 골절선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상 외관을 회복하였다. 두 번째 증례에서는 방사선사진상에서 11주째에 골절 치유가 진행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두 증례 모두 예상한 것보다 골절의 치유가 빠르게 일어났다. 따라서 rh-BMP 2와 matrigel은 지연유합된 골절의 치유를 촉진하는데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한방 재활치료 프로토콜 적용의 임상적 효과: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 of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 Report of 3 Cases)

  • 하원배;금지혜;고낙용;이정한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7-106
    • /
    • 2018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a rehabilitation protocol for distal radius fracture in Korean Medicine and to report its effectiveness. Three patients who had undergone distal radius fracture were treated using the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We estimated the outcome evaluating physical examination findings of the wrist joint, numeric rating scale and quick the 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score. After the treatment, we observed that wrist movement, numeric rating scale and quick DASH score were improved. A rehabilitation in Korean Medicine can be effectively used for distal radius fracture patient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e insufficient number of case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sign a rehabilitation protocol in Korean Medicine.

원위 요골 악성 종양의 광범위 절제술 후 혈행성 유리 비골 두 이식을 이용한 수근관절 재건술 (Reconstruction of Wrist Joint Using Vascularized Free Fibular Head Graft After the Wide Tumor Excision of Distal Radius)

  • 송석환;이윤민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20권1호
    • /
    • pp.82-88
    • /
    • 2011
  • Vascularized free fibula head transfer is an established method for reconstruction of long bone defects of the upper limb involving the distal radius or the proximal humerus. For the wrist following tumor resection, in cases of resection of the radial articular surface, three reconstructive options are possible: 1. fibular head transfer to replace the radial joint surface, 2. fixation of the fibula to the scaphoid and lunate, 3. complete wrist fusion. The decision on the type of the operation depends on the amount of the resection and the remained normal anatomical structures, and also the necessity of function of the wrist in the future. The authors believe that the vascularized free fibula head graft is a safe and reliable method for reconstructing the upper limb,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a defect of the distal radius, and report the operative methods, donor vascular consideration, complications, and functional result after this operation.

  • PDF

비골이식술로 치료한 요골 원위부의 거대세포종 - 증례 보고 - (Giant Cell Tumor of the Distal Radius Treated with the Proximal Fibular Graft - A Case Report -)

  • 정학영;양승욱;신승준;송무호;승형준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03-106
    • /
    • 1998
  • Giant cell tumor was described by Sir Astley Cooper in 1818. This tumor is considered to be a benign tumor but has problems of recurrence and metastatic change after treatment. Methods of operative treatment of this tumor have included currettage, currettage and bone graft, excision, resection, excision and graft and amputation. We experienced a case of giant cell tumor which involved the distal part of right radius and treated by wide excision and fibular graft. The postoperative courses have been satisfactory because of no recurrence or malignant change. After 6 years and 1 month follow up, the patient was able to return to daily life without any problem.

  • PDF

교통사고로 발생한 원위 요골 골절에 대한 한방복합 입원치료로 호전된 증례 보고 (The Clinical Effect of Complex Korean Medical Admission Treatment in Patients with Fractures of Distal Radius by Traffic Accident: 2 Cases Series Report)

  • 최규철;이지원;배지은;김동진;홍정수;경다현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87-193
    • /
    • 2021
  • Objectives To report two patients with distal raidus fracture after a traffic accident improved by the complex of Korean medical admission treatment. Methods We collected data from April 2019 to October 2019. We surveyed the validity of the treatment with the range of motion (ROM), the European quality of life-5 dimension (EQ5D) and a numerical rating scale (NRS) at admission, two weeks, and discharge date of hospitalization. Results At the end of treatment, both patients had increased ROM, EQ5D and reduced NRS scores. Conclusions After the Korean medicine admission treatment, two patients showed to have been effective.

좌내흉동맥-요골동맥 복합이식편을 이용한 다중혈관 관상동맥우회술 (Multivessel Coronary Revascularization with Composite LITA-RA Y Graft)

  • 이섭;고무성;박기성;류재근;장재석;권오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5호
    • /
    • pp.359-365
    • /
    • 2006
  • 배경: 동맥도관은 관상동맥우회술의 장기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양측 내유동맥 이식편은 좋은 결과를 보이나, 당뇨병과 만성폐쇄성폐질환 등에서는 그 사용이 제한적이다. 저자들은 다중혈관 관상동맥우회술에서 복합 좌내흉동맥-요골동맥 Y 이식편의 외과적 결과를 평가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4월부터 2004년 9월까지 복합 Y 이식을 시행한 11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연령은 $62.6{\pm}8.8$세였으며, 여자는 34.5%였다. 수술 전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 43.7%, 당뇨병 33.6%, 흡연 41.2%, 고지질혈증 22.7%였다. 응급수술 14예, 심인성 쇼크 6예, 40% 이하의 좌심실 박출계수 17예, 좌주간 관동맥질환 17예였다. 퇴원 전 35예에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결과: 평균 원위 문합수는 $3.1{\pm}0.91$개, 병원 사망률은 3예(2.52%)였다. 79예(66.4%)에서 인공심폐기를 사용하지 않은 관상동맥 우회술(off-pump coronary bypass grafting, OPCAB)을 시행하였다. 좌측 내흉동맥은 좌전하행지(l16개)와 대각지(9개)에 문합하였다. 요골동맥은 둔각변연지(109개), 중외관지(21개), 후하행지(45개), 후측방지(5개) 등에 문합하였고, 대복제 정맥은 후하행지(45개), 후측방지(12개), 대각지(17개), 둔각변연지(3개) 등에 문합하였다. 수술 후 시행한 관상동맥 조영에서 좌측 내흉동맥 100%, 요골동맥에서는 88.5%의 우수한 개통률을 보였다. 전례에서 내흉동맥-요골동맥 문합부위의 폐쇄나 협착은 없었으나 70% 미만의 협착을 보인 관상동맥에 문합한 3예의 요골동맥편에서 string sign이 나타났다. 결론: 좌내흉동맥-요골동맥 Y 복합이식은 다중혈관 관상동맥우회술에서 우수한 조기 임상 및 혈관조영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선택적으로 시행할 수 있다.후 유리혈장색소는 $T-PLS^{TM}$군에서 유의하게 낮게 측정되었다$(24.5{\pm}21.7\;mg/dL\;in\;T-PLS^{TM}\;vs\;46.8{\pm}23.0\;in\;Bio-pump^{TM},\;p<0.05)$. 수술 후 심근경색, 부정맥, 신부전, 뇌혈관질환 이환율은 두 군에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사망은 $T-PLS^{TM}$군에서 1예(5%) 발생하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결론: 박동성 혈류펌프인 $T-PLS^{TM}$를 이용하여 심폐기하 관상동맥 우회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중 기계오류에 의한 사고는 없었고 수술 후 임상경과가 $Bio-pump^{TM}$를 이용하여 수술한 경우와 차이가 없었다. 또한 박동성 혈류의 문제점이었던 혈구손상은 감소하였다. 저자들은 본 연구를 통해 $T-PLS^{TM}$의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경우에는 8-aza-bicyclo[3,2,1]octan-3-one ring들의 steric hindrance의 영향에 의해 1,3-di-8-aza-bicyclo[3,2,1]octan-3-onyl)benzene은 합성되지 않았다.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선택속성 차원 중 많은 경우에 있어 고객이 인지하고 있는 중요도에 비해 수행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해당 차원의 개선을 위한 경영자들의 노력이 요구되어 진다. 체중군(0.82)에 비해 영양 질적 지수(INQ)가 높았으며(p<0.0335), 비타민 $B_1$은 정상 체중군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영양 질적 지수를 보여주었다(p<0.0452).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대학생들은 과체중보다는 저체중의 비율이 높았으므로 적정 체중 유지와 더불어 잘못된 식습관과 식이 섭취를 하고 있었다. 이에 대한 인식과 이를 교정할 수 있는 영양 교육이나 이를 토대로 한 세대를 짊어질 대학생들의 영양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Multiple Y Composite Craft)을 이용한 완저너 동맥 무인공 심폐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 (Total Arterial 011-Pump Coronary Revascularization with Multiple Y Arterial Composite Grafts)

  • 김도균;이교준;주현철;이기종;안지영;심연희;유경종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8호
    • /
    • pp.551-556
    • /
    • 2005
  • 배경: 완전 동맥 무인공 심페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OPCAB)에서 하나 혹은 두 개의 동맥 이식편을 사용한 연쇄 문합(Sequential graft)의 결과는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충분하지 않은 이식편의 길이나 관류저하, 이식편의 굴절, 이식편의 부자유스런 경로 등이 문제점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쇄 문합대신 다중 복합 Y동맥 이식편(Multiple Y composite Graft)을 사용했으며 이방법의 유용성과 임상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2월부터 2004년 10월까지 다중 복합 Y동맥 이식편을 이용한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 받은 7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용한 동맥은 좌, 우내유동맥과 요골동맥이었다. 대부분 좌내유동맥을 inflow 동맥으로 사용했으며, 그 외 좌, 우내유동맥을 동시에 혹은 우내유동맥을 inflow동맥으로 사용하였다. 모든 동맥을 획득한 후 요골동맥은 원위 문합 부위에 맞게 길이를 측정하여 원위부 문합 수에 따라 분절로 나누었다. 그 중 하나를 내유동맥에 Y 문합하고, 다른 요골동맥 분절은 이미 문합한 요골동맥 이식편에 다시 Y문합하는 방법으로 다중 복합 Y동맥 이식편을 완성하였다. 완성된 이식편을 각각의 원위부 문합 부위에 end to side형태의 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총 61명 의 환자에서 multi-slice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하여 이식편의 개통률을 조사했다. 결과: 환자들의 평균나이는 $61.6\pm9.4$세(34$\sim$79세)였고 이 중 57명이 남자였다. 평균 $2.5\pm0.6$개의 동맥이 사용됐으며 $3.7\pm0.7$개의 원위부 문합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심근경색이나 저관류증과 같은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수술 후 평균 CK-MB치는 $17.4\pm29.7\;IU/L$였다. 전체적인 이식편의 개통률은 $99.1\%\;(214/216)$(좌내유동맥 $100\%$, 요골동맥. $98.4\%$, 우내유동맥: $100\%$)를 보였다. 결론: 다중 복합 Y 동맥 이식편을 이용한 완전 동맥 무인공 심폐 바이패스 관상동맥우회술을 기술적인 문제점 없이 시행할 수 있었으며, 우수한 초기 임상 결과와 개통률을 보였다. 저자들은 특히 심장의 둔각 모서리 부위의 우회술시에 기존의 연쇄 문합에 비해 기술적으로 더 용이하며 복잡한 관상동맥우회술이 필요한 환자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양성 거대 세포종의 악성 변화 (Malignant Transformation of Benign Giant Cell Tumor)

  • 공창배;홍윤석;이광열;조상현;송원석;조완형;고재수;전대근
    • 대한골관절종양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4-19
    • /
    • 2012
  • 목적: 저자들은 골육종으로 악성 변화한 거대 세포종 환자의 종양학적 결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외부에서 양성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받은 뒤 치료받고 재발한 후 악성 변화가 의심되어 본원으로 전원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5명 환자 모두 방사선 치료를 시행받은 병력은 없었다. 결과: 모든 환자는 광범위 절제술 시행받았고, 술 후 조직병리 검사상 골육종으로 확진되었다. 원발성 병변은 원위 대퇴골 3명, 근위 대퇴골 1명, 원위 요골 1명이었다. 양성 거대 세포종으로 진단받고 악성 변화하기까지 기간은 평균 49.2개월(24-126개월)이었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6개월이었다. 본원에서 광범위 절제술을 시행 받았음에도 3명에서 원격 전이가 발생하였고, 이들 중 2명의 환자에서는 국소 재발도 확인되었다. 이들 3명 모두 사망하였다. 결론: 본 증례로 보아 적절한 치료를 받은 양성 거대 세포종 환자에서도 악성 변화는 5년 이내에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정기적 추시 중 방사선학적으로 육종 변화가 의심되는 경우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광범위한 절제술 후 근위 비골 이식을 이용한 원위 요골 거대세포종의 치료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with Wide Resection and Proximal Fibular Graft)

  • 김부환;이상훈;허무중;천상진;류총일;김용진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1권1호
    • /
    • pp.67-72
    • /
    • 2002
  • Purpose :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can be treated in several ways according to the agressiveness of the tumor. We treated 3 cases of widely involved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with wide resection and proximal fibular graft and report the results with review of literatures. Material and Method : We have treated 3 cases of giant cell tumor of the distal radius since last 1990. Among 3 cases, two cases were grade III radiologically and treated by wide resection of distal radius and vascularized proximal fibular graft, and one case, grade II radiologically, treated by distal radial resection and non-vascularized proximal fibular graft. We followed up clinical results of above three cases 9 years, 12 years and 2 years. Result : In all three cases, tranplanted fibula graft showed solid union but grade III tumors recurred at 4 year and 6 year postoperatively. One of the case which recurred 4 year later was treated with secondary wide resection and wrist fusion with autogenous iliac bone graft, and didn't show any recurrent finding for these 5 years after re-operation. And another grade III, which recurred at 6th post-operative year, is under follow-up for 6 years after recur without 2nd operation. Grade II case didn't show any recurrent findings on 2 year follow-up. Conclusion : Grade III cases recurred at 4 year and 6 year follow-up. The cause of recurrence was thought to be invasion of remaining tumor cell in the soft tissue. To prevent recurrence, complete resection of primary tumor was necessary.

  • PDF

미세 수술을 이용한 광범위한 요골 원위 골단부 거대세포종의 재건술 (Microsurgical Reconstruction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Epiphysis of Radius)

  • 권부경;정덕환;한정수;이재훈
    • Archives of Reconstructive Microsurgery
    • /
    • 제16권2호
    • /
    • pp.100-107
    • /
    • 2007
  • Treatment of giant cell tumor of distal radius can be treated in several ways according to the aggressiveness of the tumor. But the management of giant cell tumor involving juxta-articular portion has always been a difficult problem. In some giant cell tumors with bony destruction, a wide segmental resection may be needed for preventing to recur. But a main problem is preserving of bony continuity in bony defect as well as preservation of joint function. We have attempted to overcome these problems by using a microvascular technique to transfer the fibula with peroneal vascular pedicle or anterior tibial vessel as living bone graft. From April 1984 to July 2005, we performed the reconstruction of wide bone defect after segmental resection of giant cell tumor in 14 cases, using Vascularized Fibular Graft, which occur at the distal radius. VFG with peroneal vascular pedicle was in 8 cases and anterior tibial vessel was 6 cases. Recipient artery was radial artery in all cases. Method of connection was end to end anastomosis in 11 cases, and end to side in 3 cases. An average follow-up was 6 years 6 months, average bone defect after wide segmental resection of lesion was 6.8 cm. All cases revealed good bony union in average 6.5 months, and we got the wide range of motion of wrist joint without recurrence and serious complications. Grafted bone was all alive. In functional analysis, there was good in 7 cases, fair in 4 cases and bad in 1 case. Pain was decreased in all cases but there was nearly normal joint in only 4 cases. Vascularized fibular graft around wrist joint provided good functional restoration without local recurre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