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 렌더링

Search Result 3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Remote Partitioned Rendering System Using Direct3D (Direct3D 기반 원격 분할 렌더링 시스템)

  • Lim, Choong-Gy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8 no.1
    • /
    • pp.115-124
    • /
    • 2018
  • Various kinds of tile-based ultra-high resolution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by, for example, constructing display walls using many commodity LCD displays. To represent 3D applications like computer games on these devices, one has to develop 3D applications or develop particular APIs only for representing on these devices. If one can develop a distributed rendering system using legacy 3D APIs such as OpenGL and Direct3D by extending a remote rendering system, commercial computer games can be represented on such display devices without modifying their source codes.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propose a new Dired3D-based distribute rendering system by extending a Direct3D-based remote rendering system and to show its feasibility technically by appling it to a sample Direct3D application and performing a few experimentations.

On Design of A Remote Partitioned Rendering System Using A Game Engine (게임엔진 기반 원격 분할 렌더링 시스템의 설계)

  • Lim, Choong-Gy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9 no.5
    • /
    • pp.5-14
    • /
    • 2019
  • This paper proposes a remote partitioned rendering method for displaying 3D applications on large tiled displays, which were developed using the Unity game engine. With the proposed method, one can represent them without additional development or any modifications to the applications. The paper verifies its feasibility by applying to a sample Unity-based application.

Development of a Remote Rendering System using Direct3D API (Direct3D API의 원격 실시간 실행 시스템 개발)

  • Lim, Choong-Gyoo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 /
    • v.14 no.5
    • /
    • pp.117-126
    • /
    • 2014
  • There are various kinds of applications if one can develop a remote execution system using for legacy 3D APIs. It can be used in implementing a cloud gaming service based on the real-time video streaming technology. Or, it can also be used in implementing a GPU virtualization for simultaneously rendering of many different 3D applications. The OpenGL API consists of independent global functions while the Direct3D API consists of Microsoft COM-based interfaces and their member functions, which makes the implementation of remote rendering system more difficult.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show the applicability of the technology to any legacy 3D API by successfully designing and implementing a remote rendering system using the Direct3D API. It applies the implementation to a sample Direct3D application and also performs a few experimentations to show the technical feasibility.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al-time 3D Geo-spatial Information Rendering System based on OpenGL/OpenGL|ES and Image DB Schema (영상 DB 스키마와 OpenGL/OpenGL|ES 기반 실시간 3D 공간정보 렌더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Seung-Yeb;Lee Ki-Won
    • Proceedings of the KSRS Conference
    • /
    • 2006.03a
    • /
    • pp.41-44
    • /
    • 2006
  • 본 연구에서 3차원 지형공간정보의 구축 및 처리, 가시화를 위하여 개인용 PC와 임베디드 단말기의 포켓 PC환경에서 자료 호환 및 동시 운영이 가능한 실시간 3차원 GIS의 Prototype의 설계 및 구현과 적용 실험을 하고자 한다 OpenGL(Open Graphic Library)과 OpenGL|ES (Embedded System)를 활용하여 도시경관을 구성하는 주요객체인 지형, 건물, 교통, 식생 등을 통합적으로 저작 및 3D 객체 모델링 및 렌더링이 통합 및 개별 운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구현 단계에서 개인용 PC 운영환경에서는 기능성 향상에 중점을 두어 공간 데이터베이스 설계, 텍스처 영상 매핑처리, 대용량의 3차원 공간정보 처리 및 관리, 가시화, 렌더링, 모델링 기능들을 제공하며, PDA 휴대용 단말운영환경을 지원하는 모바일 시스템에서는 실시간 모바일 저작기능과 렌더링 기능에 주안점을 두어 개발하였다. 한편 연구 결과로 구현된 시스템은 원도우 XP 기반의 개인용 PC와 PDA 단말기 상에서 3D 객체 자료구조가 호환되어 향후 다양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Remote 3D Rendering System based on GPU Virtualization (GPU 가상화 기반 3D 원격 렌더링 시스템)

  • Kim, Ki-Heon;Choi, Won-Hyuk;Kim, Won-Yo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10.11a
    • /
    • pp.1651-1654
    • /
    • 2010
  • 본 논문은 서버의 3D SW를 클라이언트에 서비스로 제공함에 있어서 실제 실행은 서버에서 이루어지지만 3D 렌더링과 결과 화면은 클라이언트의 GPU로 처리하여 표시하는 GPU 가상화 기반 3D 원격 렌더링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 것이다. 3D 렌더링에 클라이언트의 GPU를 이용함으로써 클라이언트 수에 비례한 서버의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의 GPU 성능을 충분히 이용하면서 서버의 SW를 서비스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Physically-based Haptic Rendering of a Deformable Object Using Two Dimensional Visual Information for Teleoperation (원격조작을 위한 이차원 영상정보를 이용한 변형체의 물리적 모델 기반 햅틱 렌더링)

  • Kim, Jung-Sik;Kim, Jung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8.02c
    • /
    • pp.19-24
    • /
    • 2008
  • This paper presents a physically-based haptic rendering algorithm for a deformable object based on visual information about the intervention between a tool and a real object in a remote place. The physically-based model of a deformable object is created from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the object and the captured image obtained with a CCD camera. When a slave system exerts manipulation tasks on a deformable object, the reaction force for haptic rendering is computed using boundary element method. Snakes algorithm is used to obtain the geometry information of a deformable object. The proposed haptic rendering algorithm can provide haptic feedback to a user without using a force transducer in a teleoperation system.

  • PDF

Design of Volume Rendering System Using Remote Transfer to Resampled Data (리샘플링된 데이터의 원격 전송을 이용한 볼륨 렌더링 시스템의 설계)

  • 박상훈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4.10b
    • /
    • pp.661-663
    • /
    • 2004
  • 여러 분야에서 산출되고 있는 볼륨 데이터의 크기는 점점 더 방대해지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방대한 데이터 속에 내재된 유용한 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데이터 전체가 아니라 어떤 특정 부분을 효과적으로 액세스하고 이를 고해상도로 가시화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방대한 볼륨 데이터 가시화를 위친 개발된 클라이언트-서버 기반의 볼륨 렌더링 시스템에 대해 소개한다. 범용 PC상에서 GUI형태로 구현된 클라이언트는 데이터 서버와 접속하여 특정 영역에 대한 부분 볼륨 데이터를 요청하는데, 이때 데이터 서버가 전송하는 데이터는 클라이언트의 텍스춰 메모리 크기보다 작거나 같도록 리샘플링된 것이며, 클라이언트는 이를 받아 실시간 렌더링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 영역에 대한 고해상도의 영상을 원하는 경우, 클라이언트는 렌더링 서버와 접속하여 다양한 형태의 고화질 영상을 얻을 수 있다. 본 시스템은 매우 방대한 크기의 데이터에 대한 가시화가 필수적인 자연과학, 의학, 공학 분야에서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3D Medical Data Specification and Visualization Based on XML (XML 기반의 3차원 의료 데이터의 명세 및 가시화)

  • Kim, Seung-Wan;Park, Deok-Gyu;Gwun, Ou-Bong;Lee, Kun
    • Journal of the Korea Computer Graphics Society
    • /
    • v.10 no.4
    • /
    • pp.6-12
    • /
    • 2004
  • 웹은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 모든 사람들이 공통으로 이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웹브라우저상에 3차원 의료 데이터를 가시화하여 표현한다면 원격 진단, 의료 교육 등에 이용될 수 있다. 이 논문은 3차원 의료정보를 3차원 의료 볼륨 데이터, 3차원 의료 영상, 볼륨 렌더링 응용의 3 종류로 구분하여 이들을 XML로 표현하는 방법 및 텍스처 맵핑 기반의 디렉트볼륨렌더링(Direct Volume Rendering)을 SVG(Scalable Vector Graphics)으로 표현하여 SVG 뷰어 상에 표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방법의 실행 결과는 웹 브라우저 상에서 의료데이터의 분석이 가능하게 하고, 또한 볼륨렌더링 응용프로그램을 SVG로 표현, 결과 이미지를 SVG 뷰어로의 표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 PDF

Compression-Based Ray-Casting of Huge Volume Data on Distributed Memory Environments (분산 메모리 환경에서의 방대한 볼륨데이터의 압축기반 광선추적법)

  • 송동섭;박상훈;임인성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2000.04b
    • /
    • pp.634-636
    • /
    • 2000
  • 기존의 병렬 볼륨 렌더링 방법들은 프로세서간의 발생하는 많은 통신량 때문에 통신 속도가 매우 빠른 병렬컴퓨터를 이용하였고 통신속도가 느린 분산 환경에서는 구현이 불가능해 보였다. 또한 가시화하려는 볼륨 데이터도 점점 방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통신 속도에 구애받지 앉을뿐더러 매우 큰 볼륨데이터를 다루는 병렬/분산 볼륨 렌더링을 제안한다. 본 방법은 고비용을 필요로 하는 원격 메모리 접근 대신에 압축을 기반으로 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지역 메모리에서 빠르게 복원함으로써 좋은 성능향상(speedup)을 나타낸다. 이것은 각 프로세서가 전체 볼륨 데이터를 모두 적재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라서 렌더링 과정중에 발생하는 프로세서간의 통신을 최소화할 수 있었고, 이런 방식은 높은 통신 비용으로 효율적 병렬/분산 처리가 힘든 분산 메모리 병렬 컴퓨터나 PC/워크스테이션 클러스터상에서 매우 적합하다.

  • PDF

Real-Time Haptic Rendering for Tele-operation with Varying Communication Time Delay (가변적인 통신지연시간을 갖는 원격 작업 환경을 위한 실시간 햅틱 렌더링)

  • Lee, K.;Chung, S.Y.
    • Journal of Power System Engineering
    • /
    • v.13 no.2
    • /
    • pp.71-82
    • /
    • 2009
  • This paper presents a real-time haptic rendering method for a realistic force feedback in a remote environment with varying communication time-delay. The remote environment is assumed as a virtual environment based on a computer graphics, for example, on-line shopping mall, internet game and cyber-education. The properties of a virtual object such as stiffness and viscosity are assumed to be unknown because they are changed according to the contact position and/or a penetrated depth into the object. The DARMAX model based output estimator is proposed to trace the correct impedance of the virtual object in real-time. The output estimator is developed on the input-output relationship. It can trace the varying impedance in real-time by virtue of P-matrix resetting algorithm. And the estimator can trace the correct impedance by using a white noise that prevents the biased input-output information. Realistic output forces are generated in real-time, by using the inputs and the estimated impedance, even though the communication time delay and the impedance of the virtual object are unknown and changed. The generated forces trace the analytical forces computed from the virtual model of the remote environment. Performance is demonstrated by experiments with a 1-dof haptic device and a spring-damper-based virtual model.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