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원격검침

Search Result 222, Processing Time 0.047 seconds

Analysis and design of Meter data structure to secure confidentiality (검침데이터 기밀성확보를 위한 구조분석 및 설계)

  • Baek, Jong-Mock;Choi, Moon-Suk;Lim, Y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11.06a
    • /
    • pp.323-324
    • /
    • 2011
  • 유틸리티에서 검침은 고객에게 제공한 에너지의 사용량을 계량하고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며 검침방법이 종래의 인력검침에서 자동원격검침으로 발전함에 따라 계량기에서 검침서버로 전송되는 통신망에서 보안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보안의 방법은 중간의 통신망 형태, 통신 매체,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 등을 반영하여 적정한 보안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기검침에 적용되는 국제규격 DLMS/COSEM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고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Security System for AMR Infrastructure based on PLC (PLC기반 원격검침인프라 보안시스템)

  • Ju, Seong-Ho;Choi, Moon-Seok;Baek, Jong-Mock;Lim, Yong-Hoon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09.11a
    • /
    • pp.256-258
    • /
    • 2009
  • 다양한 유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AMR : Automatic Meter Reading)이 본격적인 사업단계에 들어섰으나, 인프라에 대한 기본적인 보안대책마저도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외부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전력인프라의 보안취약성은 수많은 해커들의 표적이 되기에 충분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기들을 안전하게 인증, 관리하고 데이터를 보호해야 하지만 수많은 저사양 기기들을 원격으로 자동 인증,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지역에 설치될 저사양 검침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증, 관리하며, 데이터보호 및 이를 위한 보안키 관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Development of LoRaWAN IoT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LoRaWAN IoT 원격검침장치 개발)

  • Park, Jae-Sa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5 no.5
    • /
    • pp.913-922
    • /
    • 2020
  •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Ra communication module using the LoRa RF module of Murata Electronics is designed to configure the IoT digital meter remote meter reading and a method of configuring a remote meter reading network by collecting multiple meter data in a DCU (Data Concentrate Unit) to configure a network with LoRaWAN. The developed system can be installed more easily and economically in the network configuration than the existing system by allowing the meter to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network or matched with a DCU to connect to the network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consumer. The developed system was constructed using a digital water meter as an example, but it can also be applied to remote meter reading of the metered values of other meters such as electricity, water, gas, hot water and calorie meters. The main development contents are the design, configuration, and construction of digital meters, LoRa modules and DCUs, and how to connect the LoRaWAN network and transmit meter data to the server. By networking these devices, the system is configured, and the actual LoRaWAN communication is tested and the result is shown.

AMI System Using Smart Electricity Meter Embedded with Home Concentrate Unit (세대집중화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를 이용한 AMI 시스템)

  • Park, Jae-Sam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lectronic communication sciences
    • /
    • v.14 no.3
    • /
    • pp.537-546
    • /
    • 2019
  • In this paper, a system that integrates a home concentrate unit(HCU) in a smart electricity meter to collects water, gas, hot water, and heating usage required for AMI has been proposed. The collected data could be transmitted to the in house display(IHD) and server to provide a more economical AMI system. The developed system is less expensive in the network configuration than the existing system, which could reduce the operating cost, and be easy to install. By applying the developed system, the usage of electricity, water, gas, hot water and heating could be measured and these make it easier to apply AMI system. The main contents of the development are the smart electricity meter and embedding of HCU into the smart electricity meter, and transferring these data to IHD and server to structure the AMI system. The each developed unit has been networked to structure the AMI system to perform the actual meter reading operation and show the result.

원격검침 시스템응용

  • 권영관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3
    • /
    • pp.38-47
    • /
    • 1997
  • PDF

원격검침 시스템 응용

  • Gwon, Yeong Gwan
    • The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lluminating and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s
    • /
    • v.11 no.2
    • /
    • pp.306-306
    • /
    • 1997

Analysis of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IBM, Oracle, and Itron) (국외 상수도 원격검침 시스템(IBM, Oracle, Itron) 분석)

  • Joo, Jin Chul;Kim, Juhwan;Lee, Doojin;Choi, Taeho;Kim, Jong K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7.05a
    • /
    • pp.264-264
    • /
    • 2017
  • 국외의 상수도 원격검침 시스템 내 데이터 전송방식은 도시 규모, 계량기의 밀도, 전력공급 여부 및 통신망의 설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대부분의 스마트워터미터 제조업체들은 계량기의 부호기가 공급하는 판독 내용(데이터)을 전송할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neighborhood area network)을 연계하여 개발 및 판매하였으며, 자체 소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의 경우, 노드(말단의 계량기 및 센서)들과 이에 연결된 통신망 들을 포함한 네트웍의 배열이나 구성이 스타(star), 메쉬(mesh), 버스(bus), 나무(tree) 등의 형태로 통신망이 구성되어 있으나, 스타와 메쉬형 통신망 구성형태가 가장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스템 통합운영관리 업체들인 IBM, Oracle, Itron 등은 용수 인프라 관리 또는 통합네트워크 솔루션 등의 통합 물관리 시스템(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현장적용을 하고 있으며,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고객들의 현재 소비량과 과거 누적 소비량, 누수 감지 서비스 및 실시간 요금 고지 등을 실시간으로 웹 포털과 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부 제조업체들은 도시 용수공급/소비 관리자가 주민의 용수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일평균 용수사용량 및 사용 경향을 파악하고, 누수를 검지하여 복구 및 용수 사용 지속가능성 지수를 제시하고, 실시간으로 주민의 용수사용량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용수공급의 최적화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서비스를 용수공급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가정용수의 용도별(세탁용수, 화장실용수, 샤워용수, 식기세척용수 등) 사용량 곡선을 패터닝하여 profiling 기법을 도입해, 스마트워터미터에서 용수사용량이 통합되어 검지될 시 용수사용량의 세부 용도별 re-profiling 기법을 도입하여 가정용수내 과소비되는 지점을 도출 후 절감을 유도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다. 또한, 미래 용수 사용량 예측을 위해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 선형 종속 모형(자기회귀모형, 자기회귀이동평균모형, 자기회귀적분이동평균모형 등)과 비선형 종속 모형(Fuzzy Logic, Neural Network, Genetic Algorithm 등)을 활용한 예측기능이 구축되어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용수사용량 예측 도구를 제공되고 있다.

  • PDF

제주도 농업용 관정의 양수량 산정과 지하수 이용특성 연구

  • 박원배;고기원;김봉석;문덕철;양성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4.04a
    • /
    • pp.110-113
    • /
    • 2004
  • 제주도내에 개발ㆍ이용 중인 사설 농업용 44개 관정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1년간 지하수 이용량 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배작물 유형별 지하수 이용특성을 평가한 결과, 밭작물은 대체로 9월에서 11월 초순까지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설하우스의 경우에는 2월에서부터 10월말까지 비교적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노지 감귤원은 가뭄이 아닌 경우에는 농약살포시 매우 소량의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시기도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총 가동 일수는 시설하우스 및 밭작물에 혼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 관정의 128일로 최대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연간 지하수 총 이용량의 경우도 관정 가동 일수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단위 면적(ha) 당 지하수 일 평균 이용량은 시설하우스가 74m$^3$/일으로 가장 많았고 밭작물이 50m$^3$/일로 조사되었다.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링 테이터로부터 산정된 양수량과 계량기 검침에 의한 양수량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R^2$ =0.997을 나타내 수중모터펌프 가동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양수량 산정방법이 매우 유효함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