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원격검침

검색결과 222건 처리시간 0.035초

검침데이터 기밀성확보를 위한 구조분석 및 설계 (Analysis and design of Meter data structure to secure confidentiality)

  • 백종목;최문석;임용훈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1년도 제44차 하계학술발표논문집 19권2호
    • /
    • pp.323-324
    • /
    • 2011
  • 유틸리티에서 검침은 고객에게 제공한 에너지의 사용량을 계량하고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중요한 정보이며 검침방법이 종래의 인력검침에서 자동원격검침으로 발전함에 따라 계량기에서 검침서버로 전송되는 통신망에서 보안관리가 중요시 되고 있다. 보안의 방법은 중간의 통신망 형태, 통신 매체, 전송되는 데이터의 구조 등을 반영하여 적정한 보안방법이 적용되어야 하겠지만 본 논문에서는 현재 전기검침에 적용되는 국제규격 DLMS/COSEM데이터의 구조를 분석하고 기밀성을 보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PLC기반 원격검침인프라 보안시스템 (Security System for AMR Infrastructure based on PLC)

  • 주성호;최문석;백종목;임용훈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9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256-258
    • /
    • 2009
  • 다양한 유무선 통신기술을 이용한 원격검침시스템 (AMR : Automatic Meter Reading)이 본격적인 사업단계에 들어섰으나, 인프라에 대한 기본적인 보안대책마저도 전무한 실정이다. 특히 외부 통신망을 이용할 경우 전력인프라의 보안취약성은 수많은 해커들의 표적이 되기에 충분하다. 이를 위해서는 각 기기들을 안전하게 인증, 관리하고 데이터를 보호해야 하지만 수많은 저사양 기기들을 원격으로 자동 인증, 관리하는 것은 쉽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광범위 지역에 설치될 저사양 검침기기들을 자동으로 인증, 관리하며, 데이터보호 및 이를 위한 보안키 관리 메커니즘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LoRaWAN IoT 원격검침장치 개발 (Development of LoRaWAN IoT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 박재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913-922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무라타 전자의 LoRa RF 모듈을 이용한 LoRa 통신모듈을 설계하여 디지털미터기에 장착하는 구성과, 다수의 미터기 데이터를 DCU(Data Concentrate Unit)에서 정합하여 LoRaWAN 으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원격검침 네트워크 구성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수요자의 구성에 따라 미터기를 직접 네트워크에 연결하거나 DCU로 정합하여 네트워크에 연결하도록 선택가능하게 함으로써 기존 시스템 보다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용이하고 경제적으로 설치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은 디지털수도미터기를 예로하여 구성하였지만 전기, 수도, 가스, 온수 및 난방 등 타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검침 하는데도 적용가능하다. 주요개발 내용은 디지털미터기, LoRa 모듈, DCU 설계, 구성 및 제작과 LoRaWAN 네트워크 연결, 미터 데이터를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이며, 이들 요소들을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제 LoRaWAN 통신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

세대집중화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 전력량계를 이용한 AMI 시스템 (AMI System Using Smart Electricity Meter Embedded with Home Concentrate Unit)

  • 박재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537-546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 전력량계에 세대집중화장치를 내장하여 AMI에 필요한 가스, 수도, 온수, 난방 검침을 일괄검침하는 시스템과, 검침데이터를 에너지정보표시장치(IHD: In House Display)와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을 구성하여 보다 경제적으로 AMI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개발된 시스템은 기존 시스템 보다 네트워크 구성에 있어서 가격이 저렴하고 운영비용이 절감되며 설치가 용이하다. 개발된 시스템을 적용하면 전기, 수도, 가스, 온수 및 난방의 5종 계량기의 계량값을 원격검침 하고 이에 대한 AMI 적용을 보다 용이하게 구성 가능하다. 주요개발 내용은 스마트 전력량계 구성과 세대집중화장치 결합 및 이들 데이터를 IHD와 서버로 전송하는 방법이며, 이들 요소들을 연계하여 시스템을 구성하고 실제 검침 동작구성을 테스트하고 그 결과를 보여준다.

국외 상수도 원격검침 시스템(IBM, Oracle, Itron) 분석 (Analysis of Automatic Meter Reading Systems (IBM, Oracle, and Itron))

  • 주진철;김주환;이두진;최태호;김종규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7년도 학술발표회
    • /
    • pp.264-264
    • /
    • 2017
  • 국외의 상수도 원격검침 시스템 내 데이터 전송방식은 도시 규모, 계량기의 밀도, 전력공급 여부 및 통신망의 설치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대부분의 스마트워터미터 제조업체들은 계량기의 부호기가 공급하는 판독 내용(데이터)을 전송할 검침단말기와 근거리 통신망(neighborhood area network)을 연계하여 개발 및 판매하였으며, 자체 소유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라디오 주파수(RF) 통신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광역통신망(wide area network)의 경우, 노드(말단의 계량기 및 센서)들과 이에 연결된 통신망 들을 포함한 네트웍의 배열이나 구성이 스타(star), 메쉬(mesh), 버스(bus), 나무(tree) 등의 형태로 통신망이 구성되어 있으나, 스타와 메쉬형 통신망 구성형태가 가장 널리 활용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스템 통합운영관리 업체들인 IBM, Oracle, Itron 등은 용수 인프라 관리 또는 통합네트워크 솔루션 등의 통합 물관리 시스템(integrated water management system)을 개발하여 현장적용을 하고 있으며, 원격검침 시스템을 통해 고객들의 현재 소비량과 과거 누적 소비량, 누수 감지 서비스 및 실시간 요금 고지 등을 실시간으로 웹 포털과 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또한, 일부 제조업체들은 도시 용수공급/소비 관리자가 주민의 용수사용량을 모니터링하여 일평균 용수사용량 및 사용 경향을 파악하고, 누수를 검지하여 복구 및 용수 사용 지속가능성 지수를 제시하고, 실시간으로 주민의 용수사용량 관련 데이터를 모니터링하여 용수공급의 최적화를 위한 의사결정지원 서비스를 용수공급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가정용수의 용도별(세탁용수, 화장실용수, 샤워용수, 식기세척용수 등) 사용량 곡선을 패터닝하여 profiling 기법을 도입해, 스마트워터미터에서 용수사용량이 통합되어 검지될 시 용수사용량의 세부 용도별 re-profiling 기법을 도입하여 가정용수내 과소비되는 지점을 도출 후 절감을 유도하는 기술이 개발 중이다. 또한, 미래 용수 사용량 예측을 위해 다양한 시계열 자료를 분석하는 선형 종속 모형(자기회귀모형, 자기회귀이동평균모형, 자기회귀적분이동평균모형 등)과 비선형 종속 모형(Fuzzy Logic, Neural Network, Genetic Algorithm 등)을 활용한 예측기능이 구축되어 상호 비교하여 최적의 용수사용량 예측 도구를 제공되고 있다.

  • PDF

제주도 농업용 관정의 양수량 산정과 지하수 이용특성 연구

  • 박원배;고기원;김봉석;문덕철;양성기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2004년도 총회 및 춘계학술발표회
    • /
    • pp.110-113
    • /
    • 2004
  • 제주도내에 개발ㆍ이용 중인 사설 농업용 44개 관정을 대상으로 2002년 11월부터 2003년 11월까지 1년간 지하수 이용량 모니터링 조사를 실시하였다. 재배작물 유형별 지하수 이용특성을 평가한 결과, 밭작물은 대체로 9월에서 11월 초순까지 집중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시설하우스의 경우에는 2월에서부터 10월말까지 비교적 지속적으로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노지 감귤원은 가뭄이 아닌 경우에는 농약살포시 매우 소량의 지하수를 이용하고 있으며 이용시기도 매우 불규칙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 총 가동 일수는 시설하우스 및 밭작물에 혼용으로 사용하고 있는 지하수 관정의 128일로 최대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연간 지하수 총 이용량의 경우도 관정 가동 일수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단위 면적(ha) 당 지하수 일 평균 이용량은 시설하우스가 74m$^3$/일으로 가장 많았고 밭작물이 50m$^3$/일로 조사되었다. 원격검침 시스템에 의해 얻어진 모니터링 테이터로부터 산정된 양수량과 계량기 검침에 의한 양수량과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상관계수가 $R^2$ =0.997을 나타내 수중모터펌프 가동시간 모니터링에 의한 양수량 산정방법이 매우 유효함이 입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