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웃음치료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스마트폰에서 웃음 치료를 위한 표정인식 애플리케이션 개발 (Development of Recognition Application of Facial Expression for Laughter Theraphy on Smartphone)

  • 강선경;이옥걸;송원창;김영운;정성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94-503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서 웃음 치료를 위한 표정인식 애플리케이션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에서는 스마트폰의 전면 카메라 영상으로부터 AdaBoost 얼굴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얼굴을 검출한다. 얼굴을 검출한 다음에는 얼굴 영상으로부터 입술 영역을 검출한다. 그 다음 프레임부터는 얼굴을 검출하지 않고 이전 프레임에서 검출된 입술영역을 3단계 블록 매칭 기법을 이용하여 추적한다. 카메라와 얼굴 사이의 거리에 따라 입술 영역의 크기가 달라지므로, 입술 영역을 구한 다음에는 고정된 크기로 정규화한다. 그리고 주변 조명 상태에 따라 영상이 달라지므로, 본 논문에서는 히스토그램 매칭과 좌우대칭을 결합하는 조명 정규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조명 보정 전처리를 함으로써 조명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하였다. 그 다음에는 검출된 입술 영상에 주성분 분석을 적용하여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다층퍼셉트론 인공신경망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웃음 표정을 인식한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실험한 결과, 제안된 방법은 초당 16.7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어서 실시간으로 동작 가능하였고 인식률 실험에서도 기존의 조명 정규화 방법보다 개선된 성능을 보였다.

웃음치료를 통한 침샘자극이 허약노인의 구강건조와 타액 pH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ubjective Xerostomia and Salivary pH i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n Frail Elderly Women)

  • 임선영;이금주;김수진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72-80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ubjective xerostomia and salivary pH i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n frail elderly women. Methods: The research used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uly 2, 2015 to September 30, 2015. A sample of 41 frail female elderly patients was recruited at A Nursing Home in K City, Korea. We measured xerostomia and salivary pH using a questionnaire and BCP test paper (pH 5.6~7.2). Laughter therapy was given once a week for four weeks (3 items). Data were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paired t-test and Cronbach's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livary pH according to oral health (t=-2.06, p<.05).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xerostomia (t=4.41, p<.001) and salivary pH (t=-7.94, p<.001) after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Conclusion: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improved xerostomia and salivary pH of the frail elderly. Therefore, salivary glands stimulated by laughter therapy may be useful in promoting and maintaining oral health among the frail elderly in the rapidly increasing population of old people.

학령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 개발 (CD Program Development Applied Logotherapy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Older School-age Children with Terminal Cancer)

  • 강경아;김신정;송미경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11권2호
    • /
    • pp.82-90
    • /
    • 2008
  • 목적: 본 연구는 학령기 후기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의미요법 CD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방법: 학령기 후기(만 $10{\sim}12$세) 말기 암 환아의 삶의 질 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인 연구로서 연구기간은 2006년 1월 1일부터 2007년 11월 30일 이었다. 교육내용은 Frankl의 의미요법의 이론적 틀과 치료기법을 근간으로 구성하였고, 교육매체개발은 Keller 와 Song의 ARCS 이론을 적용하였으며, Dick와 Cray가 제시한 프로그램 개발과정을 응용하였다. 개발된 의미요법 프로그램명은 [마음 속 보물찾기]였다. 결과: 총 5차시의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었으며 교육시간은 각 차시별로 $15{\sim}20$분용으로 5차시 교육내용의 주제는 삶의 본질적 특성, 창조적 가치, 경험적 가치, 태도적 가치, 자기주도적인 삶에서 선택과 책임의 중요성의 내용을 다루었다. 각 차시의 세부교육내용은 처음, 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으로 진행되며, 교육자용 지침서는 알쏭달쏭(동기유발을 위한 6컷 만화), 각 차시별 교육내용(무엇일까, 여행가기, 웃음 송), 체험하기(퀴즈 및 정답, 체험하기내용)를 포함하고 있으며, 교육용 책자(환아용)는 CD를 통한 각 차시 교육 후 교육내용을 자신에게 직접 적용해 보는 체험하기 단계에서 활용되는 책자이다. 또한 이 교육용 책자에는 각 차시 마지막 부분에 마음 속 보물찾기 CD에서 각 차시 마다 소개된 웃음 송 악보를 넣어 환아들이 언제든지 따라 부를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학령기 후기 암 환아 교육프로그램은 간호사외에 호스피스 영역의 전문종사자들이 암 환아들의 정서적, 영적돌봄을 위해 현장에서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교육자들을 위한 교육지침서와 환아들을 위한 교육용 책자도 동시에 개발하여 그 활용의 용이성을 최대한 높였다.

  • PDF

웃음을 꽃피우는 협회 - KAHP 해외 속으로(1) - 한국건강관리협회 주혈흡충퇴치를 위해 수단에 가다

  • 한국건강관리협회
    • 건강소식
    • /
    • 제35권2호
    • /
    • pp.40-41
    • /
    • 2011
  • 한국건강관리협회는 외교통상부와 한국국제협력단(KOICA)으로부터 '국제빈곤퇴치기여금'을 지원받아 2009년 8월부터 2011년 6월까지 2년간 정부 무상원조지원사업으로 수단 화이트나일쥐(州) 알자발라인 지역의 주혈흡충퇴치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건강관리협회의 조한익 회장과 서울의대 홍성태 교수, 충남의대 이영하 교수 등 전문가와 남편의 고향이 수단 화이트나일주(州) 코스티인 연합뉴스의 박인숙 기자가 함께 지난 12월 20일부터 31일까지 수단 화이트나일주(州)에서 식수공급 정수시설 완공식을 갖고 사업 전반에 대한 중간점검을 비롯한 주혈흡충 중증감염 마을과 학교를 방문해 실태조사와 치료, 재감염예방을 위한 실시했다.

  • PDF

웃음을 이용한 다중음성치료기법$(SKMVTT^{(R)})$이 성대용종 환자의 음성개선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KMVTT^{(R)}$ on Voice Improvement in Vocal Polyp Patients)

  • 김성태;정옥란;안철민
    • 음성과학
    • /
    • 제15권2호
    • /
    • pp.157-168
    • /
    • 2008
  • Vocal polyp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chronic diseases of vocal folds, and it can be cured by voice therapy and/or laryngeal microsurgery. However, the existing therapeutic methods about vocal polyp are in great dem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vocal improvement between laryngeal microsurgery and $SKMVTT^{(R)}$ (Seong-Tae Kim's Multiple Voice Therapy Technique), which was designed by the author. We identified 37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unilateral vocal polyp, aged from 21 to 62 years(mean age: 46 years). 21 patients were treated by the $SKMVTT^{(R)}$ and the other 16 patients were only treated by the laryngeal microsurgery. All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the $SKMVTT^{(R)}$, received 12 sessions of treatment, and were evaluated before therapy and after finishing the 12th session. The patients who were treated by laryngeal microsurgery, were evaluated prior to and at least 8 weeks after surger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KMVTT^{(R)}$ produced better results compared to the laryngeal microsurgery alone. The $SKMVTT^{(R)}$ produced better results, especially, at the initial stage of voice therapy compared with those of laryngeal microsurgery. In this study, we can suggest that $SKMVTT^{(R)}$ may be useful in improving the voice qualities of vocal polyp patients. However, more data should be collected and evaluated to be widely used in other clinics.

  • PDF

양성성대질환의 웃음 음성치료(SKMVTT) (Efficacy of laughing voice treatment (SKMVTT) in benign vocal fold lesions)

  • 정대용;위준열;김성태
    • 말소리와 음성과학
    • /
    • 제10권4호
    • /
    • pp.155-16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 multiple voice therapy technique ($SKMVTT^{(R)}$) using laughter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benign vocal fold lesions. To achieve this, 23 female patients diagnosed with vocal nodules, vocal polyp, and muscle tension dysphonia through videostroboscopy were enrolled in vocal hygiene and $SKMVTT^{(R)}$. All of the patients were treated once a week for 4 to 12 sessions. The GRBAS scale was used to confirm the changes in voice quality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coustic analysis was performed to evaluate jitter, shimmer, NHR, fundamental frequency variation, amplitude variation, PFR, and dB range. Videostroboscopy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hanges in the laryngeal features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fter the $SKMVTT^{(R)}$, the results of the perceptual evaluation demonstrated that the G, R, and B scales significantly improved. An acoustic evaluation also demonstrated that jitter, shimmer, NHR, vAm, vFo, PFR, and dB range also significantly improved after the $SKMVTT^{(R)}$. In comparison to the videostroboscopic findings, the size of the vocal nodules and vocal polyp decreased or disappeared after the treatment. In addition, the size of the cuneiform tubercles decreased, the length of the aryepiglottic folds became longer, and the laryngeal findings of the supraglottic compressions improved after the $SKMVTT^{(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KMVTT^{(R)}$ is effective in improving the vocal quality of patients with benign vocal fold lesions. In conclusion, it seems that laughter and inspiratory phonation suppressed abnormal laryngeal elevation and lowered laryngeal height, which seems to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hyperfunctional phonation.

음악활동이 영아의 사회·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 만 2세(25-36개월) 영아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Musical Activities on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of Infants)

  • 남옥선
    •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
    • 제4권2호
    • /
    • pp.18-40
    • /
    • 2007
  • 본 연구는 영아들에게 음악 활동을 제공하여, 음악이 또래 간 혹은 치료사와 영아간의 상호작용 증진과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는 가에 대해 살펴보고 이러한 상호작용이 사회 정서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분당 소재 직장보육 어린이집 2곳의 만 2세(25-36개월) 영아 24명으로,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기간은 2007년 3월 31일부터 2007년 5월 11일까지로, 실험집단에게는 주 3회씩 총 17회기의 음악 활동 프로그램이 제공되었으며, 비교집단에게는 동일한 시간 동안 음악이 배제된 자유선택활동이 제공되었다. 연구도구는 사회 정서적 행동에 대해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기 위해 Briggs-Gowan과 Carter(2001)가 개발한 보육교사용 영아기 사회 정서 행동 측정도구(ITSEA)를 사용하였다. 또한 음악놀이 활동 중에 나타난 영아들의 상호작용 행동 변화에 대해 양적, 질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Holloway와 Reichhart-Erickson(1988)이 개발한 영아의 사회적 놀이행동 관찰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17회 세션 중 1, 5, 9, 13, 17회기 세션에서 실시된 음악활동을 시간표집법으로 분석하여 양적(표, 그래프), 질적으로 기술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사회 정서적 긍정행동과 부정행동 평균점수를 비교하였을 때, 실험집단의 경우 긍정행동 평균점수는 증가(88.5에서 110.8)가 비교집단의 긍정행동 평균점수 증가(86.6에서 91.5)보다 점수 폭이 크게 나타났다. 부정행동 역시 실험집단의 평균점수 감소(56에서 45.8)가 비교집단의 부정행동 평균점수 감소(62.8에서 55.8) 정도가 크게 나타났다. 긍정행동의 하위 영역 중 실험집단은 주의집중과 감정이입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으며 부정행동 중 공격성 반항성과 분리불안, 새로운 것에 대한 거부(억제) 항목에서 유의미한 감소를 보였다. 이와 더불어 음악 활동 과정 중에 보인 영아의 행동변화에 대한 질적 평가 결과 또래와의 상호작용 중 친사회적 행동,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또래 행동 모방은 증가하였으며, 방해하기 행동은 감소하였다. 영아와 치료사 간에 보이는 상호작용 중 돕기, 동조하기, 대화 미소 웃음, 애정적 신체접촉, 교사모방행동은 증가하였고 거부 행동은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 음악적 경험을 통한 또래 간 또는 치료사와의 상호작용은 사회 정서적 행동의 긍정행동을 강화시키고 부정행동을 감소시키는데 영향을 미쳤다. 둘째, 연구 결과 영아의 긍정행동 중 하위행동보다 부정행동의 하위행동에서 더 많은 변화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음악이 부정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 PDF

국내 수면장애 성인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Effects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adults with insomnia in Korea: A meta-analysis)

  • 정복례;박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95-106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수면장애를 가진 성인을 대상으로 비약물적 중재를 실시한 논문을 메타분석하여 중재 효과의 크기를 확인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자료검색은 국가과학기술정보 통합서비스 (NDSL), 한국교육학술정보원 (RISS), 한국학술정보원 (KISS), 학술데이터베이스서비스 (DBpia)에서 이루어졌으며, 검색된 2000년부터 2016년까지의 연구 1,334편 중 16편의 연구를 선정하였다. 분석은 메타분석 R(version 3.3.1)을 활용하였으며,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메타분석 결과 수면장애가 있는 성인에게 수행된 비약물적 중재의 효과크기 Hedges' g는 2.36 (95% CI: 1.44~3.28)로 큰 효과크기이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에서 연령 집단, 중재방법, 입원유무 및 결과측정 도구에 따른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연구설계 및 참여자 유형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중재 중 이압요법이 가장 큰 효과크기를 보였고, 발반사 마사지, 아로마요법, 기타 및 웃음치료 순이었다. 연구결과는 수면증진을 위한 비약물적 중재가 수면에 효과적임을 확인하게 되었고, 실무에서 수면장애를 가진 성인을 위한 중재를 선택하고 실행하는데 객관적인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f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3호
    • /
    • pp.471-482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에 대한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국내외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비약물적 중재연구에 대한 통합적 문헌분석 결과, 최종 16개의 논문이 선정되었다.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의 전반적인 경향은 모두 인지강화를 주목적으로 하되 국내연구는 운동요법 등의 신체적 활동보다 음악치료와 웃음요법 등의 정서적 활동이 병합된 경우가 많은 반면, 국외연구는 정서적 활동보다는 신체적 활동을 병합한 연구가 많았다. 중재 프로그램 효과는 결과변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일차적 변수는 인지기능과 우울로 나타났고, 이차적 변수는 신체적 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과 자기효능감에 중재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치매예방을 위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다학제적 접근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에 관한 연구 (The Preference Analysis of Forest Therapy Program with regard to MBTI Personality Types)

  • 김윤희;김동준;김은진;연평식;최병진;김재근;김윤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485-498
    • /
    • 2015
  •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가 증가되고 있다. 효과적인 산림치유를 위해, 참가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 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인의 성격에 기초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 성격유형 선호지표, 심리기질유형과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선호도 사이의 관련성을 각각 분석하였다. 일반 성인 남.여 245명을 대상으로 MBTI 성격검사와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관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산분석(ANOVA)을 통해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산림치유 프로그램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본 바, 그 차이가 확인되었다. 외향(E)-내향(I)은 호흡법.호흡체조, 자유롭게 숲속 걷기(신발착용), 숲속 웃음치료, 경관보기, 삼림욕.풍욕.일광욕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감각(S)-직관(N)은 물 흐르는 소리 듣기, 허브차 마시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사고(T)-감정(F)은 물속에 발과 팔 담그기, 숲속 잠자기에 대해, 판단(J)-인식(P)은 비전세우기, 경관보기에 대해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격의 심리기질유형에 따라서, 허브차 마시기, 자연음식 먹기, 숲속 잠자기, 경관보기, 숲 해설 듣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