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행선

검색결과 333건 처리시간 0.032초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ERS, Embedded Rail System)의 최적단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ed Cross-section of Embedded Rail System)

  • 황만호;윤경민;김순철;임남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2511-2518
    • /
    • 2014
  •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은 연속레일지지방식으로 하중분산 효과가 크며, 궤도부재에 발생하는 응력이 매우 작다.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는 레일 매립형 궤도는 국내에 적용사례가 드물며, 고속 운행선 적용을 위한 연구는 매우 미흡하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운행선에서의 레일 매립형 궤도시스템 적용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실내시험을 통한 수직강성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강성과 이론해석을 통해 최적단면을 도출하였다.

한국형 틸팅열차 차상신호장치 신뢰성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Management of Onboard Signaling Equipment for the Korean Tilting Train)

  • 신덕호;백종현;이강미;김용규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2권6호
    • /
    • pp.852-858
    • /
    • 2009
  • 본 논문은 기존선을 고속으로 운행하기 위해 개발된 한국형 틸팅열차 차상신호장치의 신뢰성관리방안에 대한 연구이다. 기존선 자동열차방호(ATP) 및 자동열차정지(ATS)구간을 운행하는 틸팅열차의 안전한 운행을 위해, 선행 열차위치 및 선로환경에 따라 부여된 이동권한 및 제한속도를 기준으로 제동곡선을 생성하여 기관사 실수 및 장애로부터 열차의 안전을 확보하는 차상신호장치의 신뢰성관리방안을 제시한다. 또한 제시된 방안을 기준으로 열차제어시스템의 신뢰도를 예측하고, 검증하는 방안을 국제규격인 IEC 62278(EN 50126)을 기준으로 수행한 사례를 제시한다.

틸팅열차 운행 시 분기기 인근의 소음특성 평가 (Estimation of Noise around the Turnout System Induced by the Tilting Train)

  • 엄기영;이진욱;이진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0권6호
    • /
    • pp.735-741
    • /
    • 2007
  • 철도운행에 있어 분기기는 열차를 주행선로에서 이웃한 선로로 이동시키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장치이다. 우리나라 철도는 기존선의 속도향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곡선부가 딴은 우리나라 지형에 적합한 최고운행속도 180 km/h의 틸팅열차를 개발하여 현재 시제차량 제작을 마치고 시운전 시험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선 속도향상을 위해 개발된 틸팅열차가 분기기를 통과할 때 발생하는 소음특성을 현장계측실험을 통해 평가하였다.

철도 차량운행계획 시뮬레이션 방법론 개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method for Train Schedule Simulation)

  • 신대섭;박은경;이진선;이선하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88-95
    • /
    • 2012
  • 현재 도시철도의 열차운행계획 수립과정은 열차 운용에 필요한 철로의 구조, 역사 내 철로 구조, 차량 정비시간 등 다양한 제약조건을 고려하여 이루어 지기 때문에, 매우 복잡한 구조를 가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로 인하여 다양한 열차운행 시간표(Time-Table)에 대한 비교 분석에 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 운행계획 수립의 효율성 및 체계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철도 운행계획 수립 과정 중 수립 가능한 다양한 차량 시간표(Time-Table)의 기대효과를 열차다이아 작성 이전에 비교분석하여 가장 효과적인 차량 투입계획 및 운행일정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열차 운행 시간표(Time-Table)을 분석하기 위하여 Line-Blocking 이론을 활용하였으며 광역철도 4호선중 사당~안산 구간을 대상으로 사례 분석하였다.

대차 프레임용 SM490A 용접재의 피로 시험

  • 박재실;석창성;구재민;배봉국;김대진;신재호;구병춘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87-87
    • /
    • 2004
  • 최근 철도 차량은 안전성, 정시성, 대량 수송성이 우수하여 수송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열차운행 횟수의 증가와 차량의 고속화로 운행조건이 가혹해짐에 따라 이에 대한 절대적인 안전성과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철도차량과 같이 반복하중이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는 구조물의 사용 환경이나 재료의 피로특성을 최우선의 고려사항으로 간주해야 한다. 실제로 철도차량의 대차 프레임은 맞대기 용접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용접부에서 파손이 발생하고 있다.(중략)

  • PDF

경부고속철도 건설현황 및 기술혁신 사례 (Construction Status and Innovation Insistance of KTX)

  • 창상훈
    • 기술사
    • /
    • 제37권2호
    • /
    • pp.42-46
    • /
    • 2004
  • 고속철도 건설의 필요성 서울-부산간 교통난 심화, 경부축; 인구 71%, GDP 75% 집중, 과중한 물류비용으로 국가경쟁력 악화 (GDP 대비: 일본 -9.5%, 미국 -9.9%, 한국 -16.3%), 새로운 교통시설 확충에 대한 국민적 요구 증대, 건설비는 고속도로에 비해 1.5배가 증가하나 수송력 2배, 운행시간 2-3시간 단축 효과, 우리나라는 수송밀도가 매우 높아 수송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속도향상이 필수적임(속도=수송력 증가), 고속철도 ; 여객전용, 기존선 철도 ; 화물중심으로 운행(중략)

  • PDF

틸팅열차 ATP 차상장치의 시운전시험 분석 (Analysis of Trial Test for ATP On-board Equipment of Tilting Train)

  • 백종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10호
    • /
    • pp.3911-3916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틸팅열차의 안전성 확보 및 운행효율 향상을 위해 "한국형 틸팅열차 신뢰성 평가 및 운용기술개발" 연구과제의 한 분야로 추진된 ATP 차상장치의 시운전시험에 대한 내용 및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기존선의 속도 향상과 KTX 비수혜지역의 여객 서비스 향상을 위해 틸팅열차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틸팅열차의 신뢰성 평가를 위해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ATS 장치에 의한 12만 km 주행 시운전 시험을 진행하였다. KTX가 운행되지 않는 지역인 중앙선 및 충북선을 비롯한 6개 기존 노선을 200km/h 이상으로 고속화하기로 하였으며, 이에 따라 열차제어시스템은 기존의 ATS 장치에서 ATP 장치로 개량하여야 한다. 따라서 틸팅열차에도 ATP 차상장치를 설치하여 운행 적합성을 확인하여야 하기 때문에 경부선 및 호남선 ATP 구축사업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ATP 차상장치를 틸팅열차에 설치하여 시운전 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설치된 ATP 차상장치의 기능 및 성능이 틸팅열차의 운행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고속선 ESJ에서의 차상신호파형 왜곡특성 분석 (Analysis of Cab Signal Waveform Distortion Characteristics at ESJ of HSL)

  • 이태훈;박기범;윤차중;서정호;이해재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65-1166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고속선에서 사용 중인 UM71C 궤도회로의 ESJ(Electrical Separation Joint : 전기적 절연 구간)에서 정상 운행상태에서의 검측데이터 파형과 살수 및 수동살사의 요인에 따른 파형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차상검측시스템에서 차상신호파형의 왜곡특성을 분석함으로써 지상과 차상간의 인터페이스 분석 및 열차의 안전운행을 확보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차축온도 검지장치(HBD) 오동작 원인 분석 (Analysis on causes of Fault in HBD(Hot Box Detector))

  • 김용규;백종현;김종기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제38회 하계학술대회
    • /
    • pp.1193-1194
    • /
    • 2007
  • 2004년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된 이후, 열차제어시스템에 있어서 크고 작은 여러 가지 문제점이 시스템의 안정화를 위한 초기 단계의 형태로서 발생되었다. 특히 국내에서 처음으로 열차가 300km/h로 운행됨에 따라, 열차의 고속 운행 환경에 대한 운영 및 유지보수의 어려움이 자주 유발되었다. 한 예로 2005년에는 서울에서 약 170km 남쪽에 위치한 칠곡 신호기계실(IEC) 지역에 설치된 선로변 설비인 HBD의 오동작이 발생됨에 따라 관련 설비에 대한 신뢰성은 물론 설비의 기능상의 문제점까지 전면적인 검토를 필요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고속선 운영 및 유지보수에 있어서 선로변 설비의 장애 원인을 조사, 분석, 검토함으로서 고속선 열차제어시스템 HBD에 대한 안정적인 운영 및 유지보수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 제시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 PDF

버스몰림운행 지속시간 추정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Bus Bunching Duration Model)

  • 김은경;노정현;류시균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85-97
    • /
    • 2010
  • 본 연구는 정류소에서 여러노선의 버스가 동시에 몰려들어오는 버스몰림운행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서 야기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버스몰림 운행지속시간 모형을 추정하고 버스몰림운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버스몰림지속시간의 관측치를 대상으로 8개의 지속시간에 대한 분포를 검토하여 가장 적합도가 높게 나타난 weibull 분포를 가정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18개 영향변수를 검토하였으며 정차면수, 정차면수당 노선수, 노선당 최대 승하차인원을 설명변수로 하는 버스몰림운행 지속시간 모형을 개발하였다. 중앙버스전용차로(도봉미아로)와 가로변 전용 및 일반차로(통일의주로)에 대한 모형을 각각 도출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봉미아로의 몰림지속시간은 통일의주로에 비해 교통량에 대한 영향을 많이 받으며, 통일의주로는 도봉미아로에 비해 정차면수와 정차면수당 노선수, 노선당 최대 승하차인원에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발된 모형을 토대로 버스몰림운행 현상의 완화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