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용시험평가

검색결과 263건 처리시간 0.034초

프로세스 기반의 모델링을 통한 무기체계 운용시험평가 시스템 설계 (A Design of Operational Test & Evaluation System for Weapon Systems thru Process-based Modeling)

  • 이범;서윤호
    • 한국시뮬레이션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211-218
    • /
    • 2014
  • 최근 국방 분야에서는 무기체계의 고도화와 복잡체계화로 인해 시험평가 능력이 중요시 되고 있다. 한정적인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시간 및 비용 절감이 가능한 시험평가 관련 연구가 국방 선진국을 중심으로 하여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현재는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M&S, Modeling and Simulation) 기술을 무기체계 시험평가에 활용함으로써 시간, 비용, 보안, 안전 등의 제한사항을 상당부분 해결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M&S 기술을 활용한 시험평가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타 국방 선진국에 비해 상당히 미진한 상태이며 새로운 방식의 시험평가시스템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프로세스 기반의 모델링을 통한 무기체계 운용시험평가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무기체계의 리소스와 성능모듈을 활용하여 운용성능을 평가할 수 있는 프로세스를 모델링하고 시뮬레이션 엔진과 결합하여 3D 가시화하였다. 이를 통해 무기체계의 운용성능을 시각적으로 표현 가능한 프로세스 기반의 무기체계 운용시험평가 시스템을 제시한다.

한국형 고속전철용 신호시스템 시험 및 평가 -운용환경시험 (Testing and Evaluation for Signalling System for Next-generation High-Speed Train - Operational Environmental Testing)

  • 황종규;이종우;정의진;신덕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2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B
    • /
    • pp.1289-1291
    • /
    • 2002
  • 본연구는 한국형 고속전철용 신호시스템 시제품들의 시험평가 중 운용환경시험의 항목, 시험기준, 방법 그리고 시험결과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 한국형 고속전철용 신호시스템의 운용환경 시험을 위해 국내외 적용 가능한 규격 또는 기준을 조사분석하여 본 시험에 적합한 기준 및 방법을 도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개발된 시제품들에 대한 운용환경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을 통해 개발된 시제품들의 운용환경 특성이 검증되었으며, 이후에는 이들 시제품들의 현장시험을 수행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최종적인 한국형 신호시스템의 시제품의 시험평가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 PDF

국방 무기체계 소프트웨어의 상호운용성 시험 아키텍처 (An Architecture for Testing the Interoperability among Defense Weapon Systems Software)

  • 한익준;방춘식;윤광식;배현섭;류동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1351-1362
    • /
    • 2009
  • 현대전에서 상호운용성의 중요성이 계속해서 증가함에 따라 한국군의 국방부에서는 상호운용성 시험 평가 도구인 SITES(Systems Interoperability Test & Evaluation System)를 개발하여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수준 평가에 활용하고 있다. SITES는 정보체계의 상호운용성 시험 평가를 목적으로 하므로, 무기체계에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간 상호운용성 시험을 위한 상호운용성 시험 아키텍처, 상호운용성 시험 구성 요소들을 제안한다. 또한 제안한 아키텍처 및 시험 지원 도구들의 유용성을 입증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 PDF

운용시험평가 데이터를 활용한 함정 운용가용도 평가 방안 및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Case Study and Evaluation Methodology of Operational Availability for a Naval Ship using OT&E Data)

  • 백순흠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1-478
    • /
    • 2014
  • Navy forces of ROK asked for more than 90% operational availability in the requirement document of combat ship. This study proposes the evaluation methodology of operational availability with the evaluation process, calculation formula, analysis of operational test data. As the case study, the developed methodology is proved to apply for 00 batch-I naval ship using the data to be acquired during the operational test period. The operational availability by test data was 90.03%, and it was satisfied with objective value 90%. The paper will contribute not only to establish the evaluation methodology of operational availability for combat ship but also other general weapon system.

육군 전자식 기술교범 개선방안 연구 (An Improvement Plan of the Interactive ROK Army Interactive Electronic Technical Manuals)

  • 이판주;심상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399-406
    • /
    • 2020
  • 대한민국 육군이 창군 이후부터 무기체계의 운용유지를 위해서 책자형 기술교범을 개발하여 운용하였으나, 최신 무기체계가 개발 될수록 방대한 분량으로 인하여 효율적인 운용이 제한되었다. 이에 대한 대책의 하나로서 방위사업청에서 관리하는 KAIS 개발도구를 적용하여 전자식 기술교범을 2003년부터 현재까지 개발하여 운용하고 있다. 하지만 16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소프트웨어 불안정 등의 이유로 운용자에게 외면당하고 있었다. 이에 육군본부 시험평가단 운용시험평가 결과와 분석평가단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소프트웨어(Application)는 Wed 기반에서 사용 시 추가 기능 설치의 번거로 움과, 버전별 호환성이 없어서 효율성이 떨어지고, 확장성이 없어서 통합운용이 제한되며, Off-Line 운용방식으로 실시간 업데이트가 이루어지지 않고 CD를 통한 부대별 수정 등으로 시급히 KAIS 개발도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재 육군 전자식 기술교범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1차는 관련 연구를 통하여 선진국 및 육군의 전자식 기술교범의 개발 동향과 운용실태를 확인한 후 국내 운용시험평가 결과와 분석평가단 분석결과를 중심으로 육군의 무기체계에 맞는 전자식 기술교범의 규격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2차는 전자식 기술교범을 중심으로 종합군수지원 11대 요소를 연계한 운용시험평가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유도탄 실사격 및 반응시간 분석보고서를 활용한 함정 통합전투성능 운용시험평가 발전방안 제시 (A study of the Development of Ship Integrated Combat Capability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using Missile Live-Fire and Reaction Time Analysis)

  • 김병준;강정석;허장완;고장수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59-266
    • /
    • 2022
  •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missile live-fire during the ship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T&E) as a means of verifying the integrated combat capability(ICC) of various systems installed on naval ships. The research method identified domestic and foreign T&E systems and cases, and reports related to ICC, which were written during the ship's design stage. As a result of research, Republic of Korea is not conducting the missile live-fire at the ship T&E stage due to the lack of relevant systems, while the U.S. is conducting it based on the mission-based T&E and the end-to-end test system. As a way to improve within the current domestic ship acquisition systems, the reaction time analysis, a quantitative analysis result of ICC calculated at the ship basic design stage, was proposed to be verified by missile live-fire during ship operational T&E.

미 공군 시험평가 조직 및 기능분석

  • 이희우
    • 국방과기술
    • /
    • 3호통권157호
    • /
    • pp.42-47
    • /
    • 1992
  • 시험평가는 완성된 무기체계에 대한 시험평가에 그치지 않고 개발초기부터 개입하여, 작전배치후 상당기간 운영단계까지 지속되므로 무기체계 연구개발의 각 단계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 있다. 필자는 시험평가기술을 갖추고자 하는 국내요구의 일환으로 최근 미 공군의 운용시험평가사령부에서 연수를 받았으며, 실제 시험평가를 수행하는 예하부대를 방문하여 각종 무기체계 시험평가팀과 면담을한 바도 있어 이를 바탕으로 미 공군의 시험평가 조직 및 세부기능에 대한 소개를 하고자 한다

  • PDF

한국형 위성항법 보정시스템 위성통신국 운용시험평가 오프라인감시 소프트웨어 모델링 및 구현 (Modeling & Implementation of Operational Test and Evaluation, Offline Monitoring Software for Korea Augmentation Satellite System Uplink Station)

  • 이상욱;유문희;형창희;정인철;최상혁;신천식
    •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74-80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정지궤도위성신호분석을 수행하는 정지궤도위성신호 수신분석 도구모델, 정지궤도위성 항법 메시지 분석을 수행하는 정지궤도 메시지 분석도구 모델로 구성된 위성통신국의 운용시험평가 도구의 모델링과 구현결과를 기술한다. 또한, 이러한 위성 통신국의 운용시험평가 도구에 시뮬레이션된 신호를 생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GEO위성과 위성통신국의 소프트웨어 모델의 일부를 소프트웨어적으로 모델링하고 구현한 결과를 기술하였다.

무인쌍동선의 실해역 DP 성능평가를 위한 시스템 및 모형시험 검증 기법 개발 (A development of the dynamic positioning(DP) system and model testing for performance estimation on katamaran type unmanned surface vehicle(USV) at open sea)

  • 송형도;조석규;손남선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88-188
    • /
    • 2022
  • 선박의 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인 무인 운용체계는 근래에 많은 관심을 받고 연구되어 왔다. 특히 무인수상선과 무인수중체의(USV-AUV)의 복합 운용 분야는 그 동안 어려움이 있었던 심해저 탐사 및 특수 임무 활용에 용이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쌍동선 형태인 무인수상선이 모선이 되고 무인수중체가 결합하여 충전하고 다시 진수하여 원거리 및 심해저 조건에서 무인수중체가 운용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의 일부인 USV-AUV의 docking을 위한 DP 시스템을 개발하고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공학수조에서 모형시험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또한, 실제 제작된 무인쌍동선과 추진 시스템을 활용하여 모형시험을 통해 검증한 DP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화성 제부도 앞바다에서 실선 DP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실 해역에서의 DP 시스템 테스트는 정확한 환경 조건의 계측 및 구현이 어려워 모형시험과 같은 정량적인 평가는 어렵지만, 정성적으로 DP 시스템이 작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항공기 착륙장치 피로시험 (Fatigue Test of Aircraft Landing Gear)

  • 이상욱;이승규;신정우;김태욱;김성찬;황인희;이제동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집 2부
    • /
    • pp.503-506
    • /
    • 2011
  • 항공기 착륙장치 피로 수명평가에는 안전 수명방법이 사용된다. 안전 수명방법은 항공기 전 수명기간을 모사하는 피로하중 스펙트럼 조건에서 균열 또는 유해한 변형과 같은 구조적 결함이 발생하지 않도록 설계/입증하는 것을 말한다. 설계 단계에서는 해석적 방법을 통해 착륙 및 지상운용하중을 구하고, 이를 착륙장치 피로해석에 적용하여 피로수명을 확인한다. 착륙장치는 수명 기간 중 일반적으로 High Cycle 피로를 겪게 되므로, 피로해석 시 응력 기반의 접근 방법이 적용된다. 시험평가 단계에서는 일반적으로 4배의 운용수명에 해당하는 피로하중 스펙트럼에 대해 시험을 수행하여, 착륙장치의 안전 수명을 최종 입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항공기 착륙장치 피로 수명평가를 위해서는 착륙 및 지상운용 하중해석에서부터 피로해석, 피로시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이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항공기 착륙장치 피로시험에 필요한 세부과정과 관련 기술을 실제 적용 사례와 함께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