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영방식

검색결과 2,891건 처리시간 0.038초

항만공사 운영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 김택원;오진호;우수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70-173
    • /
    • 2016
  • 국내 항만공사는 항만공사법이 2003년 제정되고 부산항만공사가 2004년 설립된 이후 인천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설립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항만공사의 운영이 비효율적인 방향으로 흘러감에 따라 정부를 중심으로 공기업 통 폐합 등의 조직 개편 움직임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에서 구상하는 개편 방안 중 항만관리에 대해 통합적 운영이 적절한지, 분권적 운영이 바람직한지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항만공사 운영방식 개혁에 대한 논의에 대비하여 이러한 통합적인 접근방식과 분권적인 접근방식에 대한 비교분석을 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항만공사제도의 도입배경과 현황, 조직의 통합운영과 분산운영에 대한 이론적 배경, 국내 공기업 통합 사례 및 해외항만 운영 사례, 항만공사 운영 방식의 대안별 비교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항만공사제도는 기존의 항만관리제도 개선을 위한 노력이라는 역사적 맥락을 기반으로 하여 기존 관리제도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대안으로 도입된 제도이며, 이러한 제도적 목적을 기반으로 항만공사 운영개선방안 논의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공공기관 운영에 있어 내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기관통합, 기능 조정, 부분통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개선이 가능하며 반드시 하나의 방법으로 이루어 질 수는 없다는 것이다. 셋째, 해외 주요 항만의 경우 개별 항만에 항만공사를 운영하는 개별적 운영방식을 택하고 있으며 대만이 유일하게 통합 운영하는 방식으로 개편하였으나 그 통합으로 인해 기대하는 효과가 실현되고 있지 않아 통합운영 방식의 근거가 되기는 어렵다. 넷째, 항만의 운영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항만별로 처리하는 화물과 선대의 특성이 차이가 나고 운영방식과 대상이 되는 시장이 다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항만별 운영과 고객의 차이를 감안하면 개별적 운영방식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통합 운영방식의 운영 효율성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항만공사제도의 목적과 취지를 감안할 때 현행 개별운영 방식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제시한다.

  • PDF

PC LAN을 이용한 분산시스템의 운영방식

  • 김정태;손진곤;백두권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1989년도 추계학술발표회 발표논문초록집; 이화여자대학교, 서울; 23 Sep. 1989
    • /
    • pp.140-150
    • /
    • 1989
  • 본 논문에서는 PC분산시스템의 구조와 운영방식에 대해서 논하고 자원 고유방식과 부하 공유방식중 어느것을 택하느냐에 따라서 PC분산시스템의 두가지 모델을 제시하였다. 또한 PC분산시스템을 위한 네트워크 운영체제의 구조, 기능 및 내재된 문제점을 알아보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분산운영체제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 PDF

댐 홍수조절능력 증대 방안 연구 (Methods of increasing the flood control capacity of the dam)

  • 홍준화;지정원;이은경;이재응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3년도 학술발표회
    • /
    • pp.221-221
    • /
    • 2023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6차 보고서에 따르면 강우 변동성이 증가함에 따라 홍수 피해가 빈번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집중호우, 태풍, 장마 등 물 관련 재해의 발생빈도와 규모가 댐의 홍수조절능력을 초과하는 경우 홍수량을 예측하고 댐 모의 운영을 통해 댐 방류량을 결정하기 어렵다. 그러므로 댐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기존의 댐 운영방식을 검토하고 개선하여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저수지 운영방식을 분석하고 극한의 홍수에 대비하여 저수지 운영 방식을 개선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 댐으로는 합천댐과 섬진강댐을 선정하였다. 합천댐과 섬진강댐은 홍수조절을 위해 Rigid ROM(일정률-일정량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200년 빈도 홍수량에 맞춰 설계되었다. 그러나 합천댐은 계획방류량(6,200 m3/sec)이 댐 하류지역의 설계홍수량(2,885 m3/sec)보다 2배 이상 크기 때문에 계획방류량만큼 방류하지 않더라도 하류에서 홍수피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2020년, 섬진강댐은 200년 빈도의 홍수량보다 작은 홍수가 발생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류 지역에서 홍수 피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홍수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저수지 운영 방식 - Auto ROM, Rigid ROM, Technical ROM -을 적용하여 댐의 안정성과 하류 홍수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최적의 운영 방안을 검토하였다. 200년 빈도 홍수량과 2020년 홍수 자료를 이용하고 저수지 운영 방식의 변경을 통해 홍수조절효과를 검토하였다. 또한, 홍수조절효과가 미약할 시 사전 방류를 통해 홍수조절효과를 향상시켰다. 본 연구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댐 운영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타 다목적 댐 운영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진출국 제도가 해외 자회사 운영 방식 선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Institutions on Foreign Subsidiary's Operational Mode of Korean Firms)

  • 이응석
    • 국제지역연구
    • /
    • 제22권1호
    • /
    • pp.61-78
    • /
    • 2018
  • 해외직접투자에서 자회사 운영방식은 크게 수평적 자회사와 수직적 자회사로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회사의 운영방식은 진출국의 제도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는 제도이론관점에서 국내 전기전자 및 자동차산업의 해외직접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진출국 공식적, 비공식적 제도가 해외 자회사 운영 방식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실증분석결과, 진출국 정치적 위험정도가 낮을수록, 문화적 차이가 클수록 수직적 자회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진출국 부패지수가 낮을수록, 경제자유도가 높을수록 수평적 자회사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적 재구성 가능한 운영체제를 위한 인터럽트 관리 기법 (An Interrupt Management for Dynamic Reconfigurable Operating Systems)

  • 김영필;송인준;유혁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4년도 봄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 (A)
    • /
    • pp.187-189
    • /
    • 2004
  • 하드웨어와 응용 프로그램의 다양한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한 운영체제의 재구성 능력이나 기능 확장에 대한 필요성은 최근 들어 급증하고 있다. 운영체제의 재구성을 지원하기 위해서 개선되어야 할 부분 가운데 가장 정적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은 인터럽트 처리와 같은 저수준 입출력 부분이다. 이러한 인터럽트 처리는 하드웨어와 밀접한 부분으로써 운영체제의 설계목적에 따라서 설러 가지 방식으로 구성되어왔으나 각 운영체제에 의존적이며 처리방식이 고정적이라는 한계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럽트 처리 방식을 지원할 수 있는 동적 재구성이 가능한 인터럽트 처리 방식과 그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식은 커널 컴포넌트들의 동적인 확장과 재구성을 지원하는 커널 컴포넌트 스와핑과 인터포지션 기법을 사용하여 M3K 커널에 구현되었다.

  • PDF

분업이 아닌 협업에 기초한 관제운영방안 연구 - 울산항 해상교통관제센터의 주-보조관제석 운영방식을 중심으로

  • 최경식;이영환;김진원;김다영;박정민;이성강;김광태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1-353
    • /
    • 2015
  • 2014년 4월 1일자로 항만VTS의 관제구역이 레이더 탐지가 가능한 12마일까지 확대됨에 따른 관제섹터 운영 방안 중 항만의 지리적, 환경적 특성에 따라 지역으로 구분하는 분업방식의 관제운영방식이 아닌 전체 관제구역을 주-보조 관제사가 동시에 확인하는 협업방식의 관제운영석 운영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함.

  • PDF

RTLS기반의 풀링운영에서 실시간 YT 추적과 장치장 혼잡도 분석 (Real-Time YT Tracking and Analysis of Yard Congestion in Pooling Operation Based on RTLS)

  • 하창승;서문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2603-2609
    • /
    • 2010
  • 최근 항만에서는 이송장비의 운영 효율성 제고를 위해 운영방식의 개선에 관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 조별운영 방식에서는 특정 안벽크레인에 지연이 발생하면 배정된 YT들도 함께 작업을 중단해야만 하는 문제가 생겼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운영 방식을 풀링운영 방식으로 전환하고 운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장치장 내에 무선 측위 장비를 설치하고 YT의 위치와 혼잡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풀링운영을 위한 YT의 이동을 실시간으로 추적할 수 있게 되었고 장치장의 혼잡도를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하는 작업통제 방법이 마련되었다.

BTL방식과 BTO방식을 혼합한 군시설 민간 투자사업의 활성화 방안의 연구 (Promotion of the Private Investments in the Military Facilities through Integration of BTL and BTO Methods)

  • 곽수남;박상혁;한승헌;김형관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278-283
    • /
    • 2006
  • 2005년 공공시설의 조기 공급을 통해 국민의 시설편익을 향상시키고자 도입된 BTL(Build - Transfer - Lease: 임대형 민자사업)을 통해 2006년 15개 시설유형, 84개 사업에 총 8조 3147억원이 투입될 계획이다. 그러나 일부 대형업체는 수익률이 저조하다는 이유로 BTL사업에 대한 투자를 꺼리고 있고, 특히 부분적으로 수익이 발생하는 사업에 대해서도 일괄적으로 BTL방식을 적용할 경우 수익률이 더욱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익성이 낮은 부분은 BTL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익을 도모하고, 한편 수익성이 높은 부분은 민간투자자에게 운영권을 부여는 BTO방식으로 운영함으로써 사업의 수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BTL+BTO방식을 제안하고 운영기간을 기반으로 하는 BTL+BTO방식의 수익성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모델을 실제 00지역 관사사업을 적용함으로써 BTL+BTO방식의 운영기간을 산정하여 BTL방식의 운영기간을 비교함으로써 BTL+BTO방식의 모델의 적절성을 검증하였다.

  • PDF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 개발에 따른 운영 이슈 분석 (Analysis of Operational Issues for ICT-based On-Board Train Control System)

  • 김영훈;최원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4권6호
    • /
    • pp.575-583
    • /
    • 2011
  • 철도 지선 구간의 유지보수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의 열차제어방식과 달리 선로 주변 신호기와 고정폐색장치를 없애고 이동폐색방식을 적용하며 차상에서 선로전환기와 건널목을 제어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ICT 기반 차상제어시스템 개발 이전에 고려해야 할 주요 운영 이슈 사항을 분석하며 주요 대상은 열차운행준비, 운전 편의성, 관제역할, 폐색방식, 그리고 운영비용을 고려하였다. 열차 출발 전에 기관사가 DMI를 통해 입력하여야 할 입력데이터를 정의하였고 관련 업무 프로세스를 UML 도구를 활용하여 설계하였다. 기관사의 운전 편의성 측면에서는 역 진입 시의 제동시점 지원 필요성과 기관사의 원활한 운전 훈련을 위한 운전시뮬레이터가 필요하다. 기관사가 선로전환기와 건널목을 직접 제어하는 업무절차를 UML 도구로 설계하였다. 기존 운영 방식과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고정폐색방식과 이동폐색방식 간에 비교 분석하였으며, 비용 측면에서는 기존방식과 ICT 방식의 신호설비에 따른 유지보수 비용 이점을 제시하였다.

댐 운영 제약사항을 고려한 섬진강댐 홍수조절방식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flood control method of Sumjingang Dam considering dam operation constraints)

  • 이용택;정관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7권4호
    • /
    • pp.249-261
    • /
    • 2024
  •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극한홍수가 증가하여 댐 운영에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간 댐 설계 시 제시되는 홍수조절방식은 하류 상황에 대한 고려 없이 계획홍수량이라는 특정 홍수상황을 가정하여 수립된 것으로, 실제 상황에는 기상예보를 기반으로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해 홍수조절을 실시한다. 하지만 기상예보의 불확실성과 댐 관리자마다 달라지는 의사결정 등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댐에 대해 댐 유입량을 기준으로 댐 운영 제약사항을 고려한 단계적 방류량 증량을 실시하는 홍수조절방식을 제시하고, 계획홍수량 및 역대 최대홍수사상을 적용한 저수지 모의운영을 통해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홍수조절방식은 다양한 댐 운영자가 현실적 댐 운영 여건을 반영하여 일관성 있는 홍수조절 의사결정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