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 자기효능감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21초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의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 수준 변화 (Influence of exercise self efficacy and perceive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 stage of change for exercise behaviors in older adults)

  • 김우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549-55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의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확인하여 노인의 운동행위에 대한 융복합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시에 소재한 60세 이상 노인을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여 총 231(남:91, 여: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설계는 연구 대상자의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자기효능감, 지각된 건강상태의 차이를 알아 보기위해 One-way ANOVA와 Tukey HSD 사후 검증, 단순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들의 운동자기효능감 차이에 대한 분석결과, 운동행동의 단계가 보다 상위단계로 올라감에 따라 자기효능감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운동행동 변화단계에 따른 노인들의 지각된 건강상태에 대한 분석 결과, 운동행동의 단계가 계획 전 단계, 계획단계, 준비단계 보다 행동단계와 유지단계에서 지각된 건강상태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들의 운동행동 변화단계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노인의 운동행동 변화단계가 운동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에 정적(+)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각 84.3%와 59.8%의 설명력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운동행위 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효능감과 지각된 건강상태는 긍정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행동의 단계가 상위단계로 올라 갈수록 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클라이밍 운동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imbing Exercise Program on Self-efficacy for the College Students)

  • 최광섭;홍성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243-247
    • /
    • 2019
  • 본 연구는 6주간 20대의 일반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추 정렬과 균형능력에 대한 클라이밍 운동 프로그램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실험대상자는 총 30명이었으며, 6주간 주 3회 씩 상지와 하지에 대한 클라이밍 운동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자기효능감의 군내 비교에서는 훈련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클라이밍 운동이 자기효능감에 정상성인의 동기부여를 향상하는데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추후 다양한 실험자들에게 클라이밍 운동을 실시할 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Self Efficacy, Health Behavior of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Physical Activity)

  • 박경아;오명화
    • 재활복지
    • /
    • 제20권1호
    • /
    • pp.189-210
    • /
    • 2016
  • 본 연구는 신체활동 참여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는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실시하였으며, 건강타운을 방문하는 65세 이상 노인 61명을 대상으로 신체활동 참여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한국판 몬트리올 인지평가(K-MoCA), 일반적 자기효능감 척도,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 도구, 한국 노인의 건강행위 사정도구를 이용하여 정보를 수집한 값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지기능과 운동자기효능감은 남성, 고학력, 배우자가 있고, 동거인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 참여기간이 오래된 경우 높은 수행을 보였으며(p <.05), 일반자기효능감은 남성, 70에서 74세 연령, 고졸, 경제적 어려움이 없고, 프로그램 기간이 오래된 경우 높은 수행을 보였고(p <.05), 건강행위는 남성, 고학력, 배우자가 있고, 함께 거주하며, 경제적인 어려움이 없고, 동적인 프로그램에 참여하며, 프로그램 참여 기간이 길수록 높은 수행을 보였다(p <.05). 인지기능과 운동자기효능감, 건강행위는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01), 중간정도의 정적방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일반자기효능감은 운동자기효능감, 건강행위와 운동자기효능감은 건강행위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p <.01), 높은 정적방향 관계가 확인되었다. 운동자기효능감은 인지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p <.01). 따라서 노인의 신체활동에 대한 지속적인 참여와 실천을 위한 활동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Health Perception, Exercise Needs, Self-Efficacy on the Frequency of Exercise among Diabetic Patient)

  • 박금옥;정수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18권2호
    • /
    • pp.37-44
    • /
    • 2020
  •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 운동욕구, 자기효능감이 운동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연구이다. 2018년 6월부터 7월에 걸쳐, A광역시에 속한 두 개의 대학병원 내분비내과 외래를 방문한 당뇨병 진단을 환자들 중에서 자발적으로 설문지를 작성할 수 있는 8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서술적 기술 통계량과 Pearson 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운동빈도는 건강인식(r=..215, p=.043), 자기효능감(r=.440,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운동욕구(r=.144, p=.304)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운동빈도에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β=.440, p<.001)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18.4%(F=20.836, p<.0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건강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은 자기효능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운동빈도가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의 건강인식을 높이는 중재와 자기효능감 강화 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당뇨병 환자의 운동빈동, 즉 실질적 운동 자기관리를 증진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만성폐쇄성폐질환 외래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s of Self-Efficacy Promoting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 장희정;김정엽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1권6호
    • /
    • pp.533-546
    • /
    • 2006
  • 배 경: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여러 가지 호흡재활프로그램 중에서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호흡재활치료에 효과적이라는 국외 보고는 있으나 국내에서는 연구가 시도되지 않았다. 저자들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은 호흡기내과 외래에서 진료 받는 만성폐쇄성폐질환자 중 GOLD분류에 의한 II,III 병기 환자로 하였으며, 치료군 18명, 대조군 18명으로 선정, 비교하였다. 연구는 무작위할당 대조군 전-후연구로 이루어졌다. 저자들이 개발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을 8주 동안 실시하였으며 치료군은 실시 전, 4주, 8주째는 1:1의 교육과 상담이 이루어졌고 전화상담은 매주 1~2회 이루어졌다. 교육과 상담으로 대리경험, 성취경험 등이 이루어지도록 하였고 매일 가정에서 운동훈련과 이완요법을 수행하도록 하여 성취경험과 정서적 이완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대조군은 프로그램 실시 전에 1:1의 교육과 상담만 제공하였다. 평가는 자기효능감, 평소 호흡곤란, 운동유발호흡곤란, 운동내구성은 6분 걷기 거리로, 폐기능, 삶의 질 등을 양 군에서 측정 비교하였다. 결 과: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대조군보다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다. 평상 시 호흡곤란, 운동 시 호흡곤란, 6분 걷기 거리도 치료군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폐기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치료군에서 삶의 질도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결 론: 만성폐쇄성폐질환자에서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자기효능감, 운동내구성, 삶의 질을 증가시키고 운동유발 호흡곤란 정도를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었으며, 자기효능감증진 호흡재활프로그램은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호흡재활치료로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겠다.

뇌졸중 환자의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이 상지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ask Oriented Circuit Exercise i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Self-Efficacy in Stroke Patients)

  • 이규동;최원호
    • 재활복지
    • /
    • 제22권2호
    • /
    • pp.161-174
    • /
    • 2018
  • 본 연구는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선정 기준에 부합하는 28명을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을 시행한 실험군 14명과 일반적 과제지향 운동을 시행한 대조군 14명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는 주 5회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으며 중재 전 후 상지기능과 자기효능감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뇌졸중 기능 회복 평가와 자기효능감 척도를 평가하였다.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군은 중재 후 상지기능의 어깨/팔꿈치/아래팔, 손, 협응력과 속도 항목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자기효능감 척도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일반적 과제지향 운동군은 중재 후 상지기능의 어깨/팔꿈치/아래팔 항목에서만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군과 일반적 과제지향 운동군을 비교한 결과 상지기능의 어깨/팔꿈치/아래팔, 손 항목에서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자기효능감 척도에서는 그룹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순환식 과제지향 운동이 일반적 과제지향 운동보다 상지기능을 증진시킨 것을 알 수 있다.

대학 교양 체육수업에서 교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Feedback Types by Professors of University Physical Education and Self-Efficacy and Sport Continuance)

  • 송기현;김승용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469-476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교양 체육수업에서 교수 피드백 유형과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피드백 유형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서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교 3곳에서 교양체육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유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9부를 최종 유효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8.0 및 AMOS 18.0을 사용하여 전체모형에 대한 적합도 검증을 실시한 후 가설검정을 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각된 교수 피드백 유형에서 격려/칭찬 피드백과 수행지식/긍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양 체육수업에서 지각된 교수 피드백 유형의 격려/칭찬 피드백은 운동지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수행지식/긍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정적으로,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운동지속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수 피드백 유형의 부정적 비언어 피드백과 운동지속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유의미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lf Care Training Program on Motor Function of Upper Limb and Self-Efficacy in Chronic Stroke Patients)

  • 김기도;허명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7호
    • /
    • pp.497-503
    • /
    • 2019
  •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프로그램이 상지 운동기능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만성 뇌졸중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은 상지 과제 지향적 훈련으로 총 6주간, 주 4회 40분의 프로그램으로 구성하였으며, 매주 1회 집단훈련을 통해 훈련 프로그램을 점검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맨손기능 검사, 악력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기효능감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자기효능감 척도를 이용하여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상지 운동기능 검사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맨손기능과 악력이 모두 증가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자기효능감 변화를 관찰한 결과, 자조활동 훈련 전에 비해 자조활동 훈련 후 자기효능감이 향상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과제 지향적 훈련을 기반으로 하는 자조활동 훈련 프로그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 운동기능 향상에 효과적이며, 과제 성취감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신체의 운동기능 회복뿐만 아니라 자기효능감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을 알 수 있었다.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이 고혈압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efficacy Promotion Exercise Program for the Elderly Hypertensives)

  • 김유정;김수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1호
    • /
    • pp.487-497
    • /
    • 2014
  • 본 연구는 약물치료를 하지 않고 있는 제 1기 고혈압 노인을 대상으로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 실험 연구이다. 자기효능증진 운동프로그램은 고혈압 노인을 위해 최대 심박출량 40~60%강도의 율동적인 운동과 자기효능증진 자원을 접목한 프로그램이다. 연구는 실험군 33명, 대조군 32명 총 65명을 대상으로 주 3회, 총 12주 동안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실험처치 후에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일반적 자기효능감(t=11.280, p<.001)과 운동에 대한 구체적 자기효능감(p<.001), 자가간호행위 정도(p<.001)가 높게 나타났고, 수축기 혈압(p<.001)이 모두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따라서 12주간의 자기효능증진 노인 운동프로그램은 고혈압 노인의 간호 중재 프로그램으로 활용이 가능하다고 사료된다.

학령기 비만아동의 식이자기효능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이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ffecting Dietary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y Self-Efficacy on Health-Promoting Lifestyle in school-age obese children)

  • 류현숙;조인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941-950
    • /
    • 2021
  • 본 연구는 학령기 비만아동의 생활습관, 식이자기효능감 및 운동자기효능감의 관계와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G광역시에 소재하는 3개 초등학교의 비만아동 85명이었고 2019년 7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생활습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 식이자기효능감(𝛽=.406, p=.001)이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고, 운동자기효능감(𝛽=.245, p=.038)이 그 다음 순서로 나타났다. 또한 추정된 회귀모형의 적합도에 대한 F통계량은 6.34(p<.001)로 유의하였고, 설명력은 24.2%였다. 따라서 비만아동의 생활습관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식이자기효능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하며, 본 연구는 비만아동 생활습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