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운동효능감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23초

대학생의 활동정도와 심리적 지수에 대한 연구: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 우울 (A Study on the Level of Activity and Psychological Indices of College Students: Walking Time, Self-Efficacy for Exercise, Sleep Quality, Depression.)

  • 박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1호
    • /
    • pp.387-394
    • /
    • 2020
  • 연구 목적은 대학생의 활동정도와 심리적 지수와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걷기시간, 운동에 대한 자기효능감, 수면의 질 및 우울을 파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북에 재학 중인 135 명의 학생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은 평균보다 높았고, 걷기시간은 하루 평균 약 1.7 시간, 보행은 2 시간 미만이었다. 수면의 질은 대부분 수면의 질에 문제가 있었다 (71.9 %). 우울은 학생의 절반 정도 (49.6 %)가 우울한 경향을 보였다. 운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과 우울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12). 본 연구는 향후 대학생들의 신체 활동 증진 및 심리 지표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댄스스포츠 운동이 폐경 후 우울증 비만 여성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ance sports on physical self-efficacy in post-menopausal depression obese women)

  • 김지연;심영제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23-429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후 우울증을 겪고 있는 비만 여성들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을 실시하여 신체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참가하는 대상자들은 1년 이상 월경이 없는 중년기 여성을 대상으로 우울정도에 따라 중정도 우울, 가벼운 우울 그리고 대조군으로 분류하였으며 댄스스포츠를 주 3회 하루에 60분씩 12주 총 36회를 실시하였고 운동강도는 예비심박수의 50~80%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대조군과 가벼운 우울증을 겪고 있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운동 전 후 신체적 자기효능감의 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중정도 우울증을 겪고 있는 폐경기 비만 여성의 경우 12주간 댄스스포츠 운동프로그램이 신체적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켰다. 따라서 댄스스포츠는 폐경기 여성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우울과 같은 정신적 심리적 안정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여 삶의 질을 개선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이용되고 나아가 스포츠과학분야와 의학분야들간의 융복합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한다.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Exercise on the Wellness among Adults)

  • 한상미;하영미;이정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279-286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 웰니스와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성인의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9세~60세 미만 남녀 성인 88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6일~6월 8일 동안 자가보고형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욕구만족의 하위요인중 관계성(${\beta}=.316$, p=.012), 운동 자기효능감(${\beta}=.279$, p=.00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심리적 욕구만족과 운동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웰니스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노인의 계획된 운동이 자아효능감, 우울,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Effect of Planned Exercise on their Self Efficacy, Depression, Life Satisfaction)

  • 장봉우;장태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2호
    • /
    • pp.293-298
    • /
    • 2018
  • 본 연구는 남여 65세 이상 계획된 운동이 자아효능감, 우울, 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의 크기가 있는지 2004-2014년 국내외 석사 및 박사 학위논문 관련 14문헌을 토대로 메타분석법을 통하여 신뢰성 높은 통합적인 자료 제시에 있다. 노인피험자 대상은 계획된 운동 경험이 없는 문헌을 선정하였다. 또한 운동기간은 12주-24주 사이이며, 매주 3회씩 한회 50분정도의 운동량이었다. 운동 강도는 피험자가 평소 하던 유산소성 운동이었다. 노인의 계획된 운동은 운동전에 비하여 후에 자아효능감의 평균효과크기는 0.793(26.1%증가), 우울은 -0.91(31.9%감소), 생활만족도는 1.506(43.4%증가)로 큰 영향이 있는 크기이었다. 이는 운동 전의 심리적 변인이 계획된 운동 후에 우울감은 낮추고 자아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긍정적인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의미이다. 노년기에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서는 원활한 움직임이 지속가능하도록 구체적인 자료 제공과 적극적인 독려가 병행되어야 하겠다. 이 결과는 노인의 일상생활에 적절한 운동에 최선을 다하도록 동기부여 자료가 될 것이며, 여성 나아가 연령별로 구체적인 자료가 더 제공되어 예방의학적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자료가 많이 확충하여야 하겠다.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체육고등학교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Emotional Reaction and Self-efficacy)

  • 박영찬;고의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70-185
    • /
    • 2016
  • 이 연구는 체육고등학교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 그리고 자기효능감과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자는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S시와 D시에 소재한 2개의 체육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교 체육특기생 258명을 표집 하였다. 총 184부를 분석하여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2.0 프로그램과 22.0 AMOS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생운동선수들의 감정반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생운동선수가 경험하는 감정반응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학생운동선수들의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운동선수가 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인해 경험하는 감정적 반응은 자기효능감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감정반응,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성별, 운동경력별로 조절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년기 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 수준 변화 (Changes of the Level of Physical Self-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of Middle-Aged Men According to the Stage of Exercise Change)

  • 김미량;송강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9호
    • /
    • pp.393-402
    • /
    • 2009
  • 본 연구는 중년기남성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우울 및 스트레스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에 거주하는 만 40세부터 50세의 남성으로 일용직, 사무직, 전문직 종사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최종 289부의 설문을 최종분석에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1-way ANOVA, 상관관계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단계가 높아질수록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의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우울의 수준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 결과 전반적으로 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이 낮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으로 운동변화에 따른 스트레스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사후검증결과 준비단계가 유지단계보다, 계획전단계가 행동단계와 유지단계보다 낮은 스트레스 수준을 나타냈다. 넷째, 운동변화단계가 높아질수록 우울, 스트레스가 감소하고 신체적 자기효능감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비대면 방식을 융합한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 환자의 균형, 보행, 낙상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Untact Convergence Exercise Programs on Balance, Gait, and Falls Efficacy of Parkinson's Disease Patients)

  • 노효련;장세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9-50
    • /
    • 2021
  • 본 연구는 융합적 비대면 방식의 운동 프로그램이 파킨슨 환자의 균형, 보행,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알아보고자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PICO 방식에 의해 대상자는 파킨슨환자, 중재는 가상 현실과 e-운동 프로그램, 대조군은 대면 환경에서의 운동 프로그램 적용이나 중재를 적용하지 않은 그룹, 결과는 균형, 보행, 낙상효능감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21년 1월부터 2월사이로 2달간이었으며, 최종 5편을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 평가 도구로 무작위 대조군 연구에 사용되는 '비뚤림 위험' 도구를 사용하였다. RevMan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에 대한 효과 크기를 알아보았다. 메타분석 결과, 균형에 대한 효과 크기는 1.27(SMD=1.27; 95% CI 0.72 to 1.83)(Z=4.51, p<0.001), 낙상감에 대한 효과 크기는 0.52 (SMD=0.52; 95% CI -0.000 to 1.03) (Z=1.96, p=0.05), 보행에 대한 효과크기는 -0.40 (SMD=0.40; 95% CI -1.00 to 0.10)(Z=1.32, p>0.05) 이었다. 5편의 분석 문헌에서 파킨슨 환자에게 비대면 운동프로그램을 적용시 대면 운동프로그램에서 보다 균형과 낙상효능감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보행에는 효과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지속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maintenance of exercise among elderly with metabolic syndrome)

  • 이은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2호
    • /
    • pp.139-147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 여부에 따라 운동유지에 대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된 횡단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총 136명이며, 자료의 수집은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운동유지, 운동기대감, 운동 관련 환경, 운동 사회적지지, 운동자기효능감에 대한 도구로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0.0 program을 사용하여 requency, X2, t-test, Logistic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령, 운동기대감, 운동자기효능감이 이들의 운동유지 영향요인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대사증후군 노인의 운동유지를 위해서는 내적 동기에 해당하는 자기효능감을 함양시키고 운동기대감을 증진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대사증후군 노인을 위한 건강증진프로그램을 계획할 때 운동에 대한 결과를 알려주고 이에 대한 이점을 부각시켜 스스로 운동을 잘 해낼 수 있도록 계획해야 하는 데에 본 연구결과가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음이 기대된다.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이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 아동의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변화 (The Effect of Task-Oriented Multi-Sensory Movement Program on Self-efficacy and Writing Ability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Accompanied by Learning Delays)

  • 노효련;곽성원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14
    • /
    • 2018
  • 목적 :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에게 교육매체를 접목한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자아효능감과 쓰기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다. 사전-사후검사로 자아효능감 및 KNISE-BAAT 쓰기검사 '가'형과 '나'형을 사용하였다. 중재는 총 8회기 동안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 적용 결과 자아효능감(학교, 사회), 쓰기능력(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에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결론 : 과제 중심 다감각운동 프로그램은 학습지연을 동반한 ADHD성향을 지닌 아동의 자아효능감 및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익한 중재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에서는 교육매체를 접목한 과제 중심 다감각 운동 중재모형을 다양하게 구안할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

근로자의 운동자기효능감, 자기결정성, 운동행위가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대규모 사업장 근로자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Worker's Exercise Self-Efficacy, Self Determination, Exercise Behavior On Wellness :Focusing Large-scale Workplace Workers)

  • 하영미;양승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07-216
    • /
    • 2019
  • 본 연구는 근로자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G시에 위치한 1000명 이상 근로자가 근무하는 대규모 사업장 2곳에서 근로자 172명을 대상으로 설문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근로자의 웰니스는 운동 자기효능감(r=.23, p<.05), 자율적 동기(r=.38, p<.001), 운동행위(r=.61, p<.001)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계적 회귀분석결과 근로자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운동 자기효능감(${\beta}=.34$, p<.001), 운동행위(${\beta}=.30$, p<.001), 주관적 건강상태(${\beta}=-.23$, p<.001), 주관적 경제상태(${\beta}=-.13$, p=.016)로, 이들의 설명력은 57.3%(F=39.29, p<.001)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근로자의 웰니스 증진을 위해서 운동 자기효능감, 운동행위,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경제상태를 고려한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