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운동성능

Search Result 966, Processing Time 0.037 seconds

60피트급 쌍동형 선박의 종운동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

  • Lee, Chang-U;Ryu, Yeon-Cheol;Kim, Ok-Seok;Lee, Gyeong-U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3.06a
    • /
    • pp.122-124
    • /
    • 2013
  • 최근 쌍동형 선박의 운동성능이 우수함에 따라 대형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에 따른 다양한 해상상태 변화에 따른 운동성능의 평가를 요구하고 있다. 쌍동형 선박의 경우 횡동요에서 매우 우수한 운동성능을 나타내고 있으나 선박규모의 대형화에 따른 운동성능의 추가적인 계산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60피트급 쌍동형 선박의 종운동성능을 선속과 파랑조건에 따라 추정 및 성능검토를 수행하고자 한다. 선수 및 선미 형상변화가 종운동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Pitch 운동성능을 추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례선을 적용하고 이를 기반으로 성능검토를 수행하였다.

  • PDF

횡경사를 고려한 선박조종운동의 새로운 수학모델에 관한 연구

  • 손경호;김용민
    • Proceedings of KOSOMES biannual meeting
    • /
    • 2001.05a
    • /
    • pp.149-166
    • /
    • 2001
  • 작은 메타센터높이를 가진 선박이나 고속선 등의 조종성능은 횡동요(roll) 운동이 미치는 영 향에 대해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조종성능의 추정은 surge-sway-yaw 조종운동 방정식에 횡동요 운동을 추가함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선박의 4-자유도 운동에 대한 조종성능 추정기법에 대해서 논하였다. 구체적으로 surge-sway-yaw 조종운동방정식에 추가되는 roll 운동항에 대한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다른 추정결과값과 비교 ·검토하였다. 그 결과, 새로운 모델을 운동방정식에 추가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조종성능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Simulation Program Development for Controller design and Performance analysis of Manta-type UUV (만타형 무인잠수정의 제어기 설계 및 운동성능 해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개발)

  • Byun, Seung-Woo;Kim, Joon-Young;Sohn, Kyoung-Ho;Lee, Seung-Keon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09.05a
    • /
    • pp.244-24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만타형상의 무인잠수정의 운동성능과 제어기설계에 대한 성능을 확인하기 위한 수학모델을 정립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논문에 사용된 수학모델은 6자유도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여 Matlab / Simulink를 이용하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만타형상무인잠수정(Manta-type unmanned underwater test vehicle)의 동역학적 운동성능을 해석하였으며, 무인잠수정의 제어성능을 해석하기 위하여 PID(비례-미분-적분)제어기와 슬라이딩모드(Sliding mode)제어기를 설계하여 만타형상무인잠수정의 제어 성능을 해석하였다. 설계된 제어기는 무인잠수정의 수심제어와 방향각제어에 사용되었다. 설계된 제어기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미국 해군대학원(Naval Postgraduate School)의 AUV II와 비교하였다. 설계된 수심제어와 방향각 제어기를 이용하여 만타형무인잠수정의 설계 목표에 부합하는 항해제어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 PDF

Performance estimation of underwater tracking system by using CRLB (CRLB를 이용한 수중운동 추적체계 설계성능)

  • 도경철;김응범
    •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Korea
    • /
    • v.12 no.3
    • /
    • pp.34-42
    • /
    • 1993
  • 수중운동 추적체계의 추적 성능은 표적에 부착된 핑거로부터의송신음향이 수중센서에 도달하기 까지의 시지연과, 해저에 부설된 각 센서가 시지연을 이용하여 기하학적으로 계산하는 LOP를 얼마나 정확하게 추출하느냐에 달려있다. 본 논문에ㅓ는 수중운동 추출하느냐에 달려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중운동 추적체계의 추적성능을 예측하기 위하여 먼저 CRLB를 이용한 시지연 예측오차의 기준경계식을 유도하고, 임의 표적운도에 이를 적용시켜 추적거리오차를 추출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표적이 원형 기동하는 경우보다 직선 기동하는 경우에 표적위치에 따라 오차의변화가 더 심하고, 수중운동 추적체계의 이론적 설계성능은 주파수 대역에 의해 영향을 가장 많이 받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4km*4km 범위의 수중센서 패턴을 사용하고 주파수 대역폭을 200Hz로 취한 경우 시간지연에 의한 수중운동 추적체계의 이론적 추적오차는 0.24m 이내로 시뮬레이션 되었다.

  • PDF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 of Automotive Components Using Hydraulic 6 Axis Simulation Table (유압식 6자유도 가진 테이블을 이용한 자동차부품 내구성능 평가 기술)

  • Choi, G.J.
    • Journal of Drive and Control
    • /
    • v.5 no.1
    • /
    • pp.11-16
    • /
    • 2008
  • 자동차 부품은 주행 중 전후, 좌우, 상하방향의 병진 운동과 각 축에 대한 회전 운동 등 6자유도의 운동을 받는다. 이와 같은 운동에 따라 자동차에 탑재되는 운전석(cockpit), 의자(seat), 연료탱크, 라디에이터, FEM(front end module) 등의 부품 및 모듈 등은 6자유도 운동을 받으면서 각 부품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부품을 짧은 시간 내에 개발하기 위해서는 가속내구시험평가가 필수적인데 이를 위해 유압식 6자유도 가진 테이블을 이용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본 해설에서는 자동차 부품 및 모듈의 내구성능 평가 과정과 함께 유압식 6자유도 가진 테이블을 보유하고 관련 부품의 진동내구성능을 평가하고 있는 군산대학교 자동차부품기술혁신센터(KATIC)의 시험 평가장비 및 사례를 기술하였다. 이와 같은 자동차 부품 내구성능평가 방법과 6자유도 가진 테이블을 이용한 시험은 향후 자동차부품 및 일반기계부품 개발업체에서 내구성능향상을 위하여 활용도가 더욱 증대될 것이다.

  • PDF

Performance Prediction on the Seakeeping Characteristics of a Catamaran Power Yacht (카타마란형 파워요트의 내항성능 추정에 관한 연구)

  • Shon, Chang-Bae;Oh, Woo-Jun;Ku, Youn-Kyoung;Gim, Ok-Sok;Lee, Gyoung-W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2010.04a
    • /
    • pp.385-386
    • /
    • 2010
  • The ship's seakeeping performance in the pitching and roll motion was felt tired. These gives structural loads to loaded with cargo and hull facilities. Be to improve, small catamaran power yacht designed a data for ship research and ship's hull form to be decided. In this study, based on domestic release for coastal marine environment in the interpretation criteria were chosen based on the exercise performance. The seakeeping performance of marine leisure catamaran was based on voyage speed. The seakeeping performance estimates based on the encounter angle, the wave of the encounter frequency response amplitude ratio for exercise was assessed in the high performance area.

  • PDF

Mathematical Modeling for Dynamic Performance Analysis and Controller Design of Manta-type UUV (만타형상 무인잠수정의 운동성능 해석 및 제어기 설계를 위한 비선형 수학모델 개발)

  • Byun, Seung-Woo;Kim, Joon-You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11 no.1
    • /
    • pp.21-28
    • /
    • 2010
  • This paper describes the mathematical model and controller design for Manta-type Unmanned Underwater Test Vehicle (MUUTV) with 6 DOF nonlinear dynamic equations. The mathematical model contains hydrodynamic forces and moments expressed in terms of a set of hydrodynamic coefficient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e PMM (Planar Motion Mechanism) test. Based on the 6 DOF dynamic equations, numerical simulations have been performed to analyze the dynamic performances of the MUUTV. In addition, using the mathematical model PID and sliding mode controller are constructed for the diving and steering maneuver.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control performances of the MUUTV and compared with these of NPS (Naval Postgraduate School) AUV II.

Motion Performance Prediction and Experiments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through Fluid Drag Force Calculations (유체항력 계산을 통한 자율무인잠수정의 운동성능 예측과 실험)

  • Kim, Chang Min;Baek, Woon Kyung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39 no.6
    • /
    • pp.614-619
    • /
    • 2015
  • In this study, a dynamics model was developed to predict the motion performance of an Autonomous Underwater Vehicle (AUV). The dynamics model includes basic dynamic state variables of the hull and force terms to determine the motion of the AUV. The affecting terms for the forces are hydrostatic force, added mass, hydrodynamic damping, lift and drag forces. The force terms can be calculated using analytical and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ethods. For the underwater motion simulation, a simple PD controller was used. Also, the AUV was tested in a water tank and near sea for the partial verification of the fluid drag force coefficients and way-point tracking motions.

Enhancement of Saliency Map Using Motion and Affinity Model (운동 및 근접 모델을 이용하는 관심맵의 향상)

  • Gil, Jong In;Choi, Changyeol;Kim, Manbae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 /
    • v.20 no.4
    • /
    • pp.557-567
    • /
    • 2015
  • Over the past decades, a variety of spatial saliency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Recently, motion saliency has gained much interests, where motion data estimated from an image sequence are utilized. In general, motion saliency requires reliable motion data as well as image segmentation for producing satisfactory saliency map which poses difficulty in most natural images. To overcome this, we propose a motion-based saliency generation that enhances the spatial saliency based on the combination of spatial and motion saliencies as well as motion complexity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complex motion classification and image segmentation. Further, an affinity model is integrated for the purpose of connecting close-by pixels with different colors and obtaining a similar saliency. In experiment, we performed the proposed method on eleven test sets. From the objective performance evaluation, we validated that the proposed method produces better result than spatial saliency based on objective evaluation as well as ROC test.

Motion Response Estimation of Fishing Boats Using Deep Neural Networks (심층신경망을 이용한 어선의 운동응답 추정)

  • TaeWon Park;Dong-Woo Park;JangHoon Se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9 no.7
    • /
    • pp.958-963
    • /
    • 2023
  • Lately, there has been increasing research on the prediction of motion performance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safe design and operation of ships. However, compared to conventional ships, research on small fishing boats is insuffici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model that estimates the motion response essential for calculating the motion performance of small fishing boats using a deep neural network. Hydrodynamic analysis was conducted on 15 small fishing boats, and a database was established.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in particulars were applied as input data, and the response amplitude operators were utilized as the output data. The motion response predicted by the trained deep neural network model showed similar trends to the hydrodynamic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igh-frequency motion responses were predicted well with a low error. Based on this study, we plan to extend existing research by incorporating the hull shape characteristics of fishing boats into a deep neural network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