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우회 방법

Search Result 483,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A Methodology for Estimating Diversion Flows on Expressways (고속도로 우회교통량 추정방법론에 관한 연구)

  • Choi, Yoon-Hyuk;Choi, Kee-Ch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26 no.1
    • /
    • pp.79-88
    • /
    • 2008
  • VMS based dispersion of traffic flows enables to decrease delay and congestion. Such being the case,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s in VMS operation strategy. The strategy is based on driver's behavior or diversion rate. However, it was not easy to obtain each in practice. The diversion rate, thus far, was investigated by stated preference analysis or simulators. As an alternative,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obtain diversion flow rate was suggested using the toll collection system and freeway traffic management system data. A large gap of diversion rate between stated preference analysis and field survey was observed. Out of surveyed 8 tollgate data, the diversion rate was about 7% and was quite lower compared with that of 21%${\sim}$87% from stated preference analysis or simulators. With this at hand, a more careful information provision strategy should be devised and employed to correctly account this kind of differences.

Surgical Treatment for Atherosclerosis of Aaortoiliac Artery (대동맥장골동맥의 죽상경화증에 대한 수술적치료)

  • 금동윤;정진악;신화균;이재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4 no.2
    • /
    • pp.133-137
    • /
    • 2001
  • 배경: 하지에 영향을 미치는 죽상경화증은 복부대동맥과 이에 중요분지인 총장골동맥을 침범할 수 있다. 또한 국소분절을 침범할 수 있으나 다중분절은 침범할 수도 있다. 대상 및 방법: 을지의과대학교 흉부외과학 교실에서는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대동맥총장골동맥의 죽상경화증을 주소로 우회술을 시행받은 23례의 환자들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모든 환자는 남자였고 평균연령은 60.15$\pm$8.7세였다. 전 예에서 흡연의 과거력이 있었으며 동반질환으로 당뇨병 8례, 고혈합 7례, 관상동맥질환 6례, 그리고 판막질환 1례였다. 대동맥장골동맥 죽상경화증에 대한 수술방법으로는 대동맥양측대퇴동맥 우회술(7례), 대동맥양측동맥 우회술 및 대퇴동맥슬와동맥 우회술(8례), 대동맥양측대퇴동맥 우회술(2례), 액와대퇴동맥 및 고고동맥 우회술(3례), 고고동맥 우회술(3례)였다. 훌후 합병증으로 후복막상 출혈 3례, 마비성 장폐색 3례, 폐렴3례, 뇌졸중 1례, 급성신부전 2례, 창상감염 2례였다. 해부학적 우회술을 받은 환자중 3례에서 수술 사망이 발생하였다. 결론: 해부학적 우회술은 대동맥장골동맥의 폐쇄성질환에 표준적인 수술방법이지만 또한 해부학적 우회술 역시 술후 유병률 및 사망률이 낮은 좋은 수술법으로 사료된다.

  • PDF

Experimental study on debris reduction facilities verification for small bridge and culvert (소교량 및 암거 대상 유송잡물 저감시설 검증실험)

  • Kim, Jong Tae;Yeo, Hong Koo;Kang, Jun Gu;Kim, Sung 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6.05a
    • /
    • pp.447-447
    • /
    • 2016
  • 홍수 시 하천을 따라 유하되는 유송잡물(잡목, 생활쓰레기 등)은 구조물에 집적이 이루어지며 이로 인해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구조물 주변의 지반을 약화시키거나 월류로 인해 심각한 피해를 야기 시킨다. 교량의 경우 유송잡물의 집적은 교각의 항력을 증가시켜 전도파괴를 유발시킬 수 있으며, 교각주변 흐름교란을 통한 하상세굴로 인해 기초부를 파괴시키기도 한다. 또한 통수단면적 증가로 인해 높아진 수위는 제방을 월류시켜 재산 및 인명피해를 유발하기도 한다. 암거의 경우 유송잡물을 포함한 토사로 인해 단면폐색 및 침식으로 암거의 파괴를 발생시키고 이로인해 도로의 단절을 가져오기도 한다. 이러한 유송잡물에 대한 차단대책은 현재 까지 유지관리를 통한 방법만이 최선책으로 제시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외에서 소개되고 있는 유송잡물 피해저감시설을 대상으로 축소모형실험을 통해 효과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저감시설의 효율에 대해 소개하고자 하는 것이 주목적이다. 유송잡물 저감시설은 교량의 경우 수직분리대 방법, 우회말뚝 방법, 스위퍼를 이용한 방법으로 소개하고 있으며 이들 방법의 특징은 유송잡물 우회를 통해 집적을 저감하는 방식이다. 암거의 경우 수직분리대 방법, 스크린 방법, 우회스크린을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수직분리대는 교량과 마찬가지로 우회방식을 기본방식으로 스크린 방식은 유송잡물의 차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실험의 결과는 교량과 암거의 차단시설 유무에 따른 유송잡물의 집적률을 대상으로 하였다. 차단시설이 없는 경우 교량에서의 집적률은 97.9% ~ 99.2%의 집적률로 나타났다. 수직분리대의 경우 유송잡물 집적률은 49.3%, 우회말뚝은 0.0% ~ 4.2%의 범위로 매우 높은 차단효과를 보이고 있었다. 스위퍼방식의 경우 집적률은 5.3% ~ 20.9%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판단하였을 때 차단시설 설치로 인한 교량에 대한 직접적인 차단효과는 수직분리대 < 스위퍼 < 우회말뚝 순으로 높은 차단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우회말뚝에서의 집적률이 한계치를 넘어선다면 유송잡물로 인해 흐름교란, 수위 및 하상변동, 말뚝의 유실 등으로 인한 피해가 예상된다. 암거대상 유송잡물 차단시설 실험결과는 수직분리대의 경우 type과 투하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집적률은 14.7% ~ 64.9%의 범위로 나타났다. 스크린과 우회스크린 방식은 유송잡물의 우회가 아닌 차단이 목적이므로 유송잡물 집적에 의한 수위상승이 우려되는바 수위영향을 검토하였다. 검토결과 스크린 설치로 인한 수위상승이 우회스크린보다 높게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스크린의 형태적인 측면에서 2면을 통해 집적되는 특성을 갖는 우회스크린이 통수단면적을 많이 확보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부적인 수위상승으로 인한 피해를 저감하기 위해서는 설치여건이 허용된다면 통수단면적 확보가 유리한 우회스크린 설치가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Heat Pump Adopting the Hot Gas Bypass Method (고온냉매 우회방법을 적용한 열펌프의 성능 개선 연구)

  • Kang, Shin-Hyung;Byun, Ju-Suk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15 no.4 s.48
    • /
    • pp.235-242
    • /
    • 2006
  • This study experimentally investigates the performance improvement of the heat pump by adopting the hot gas bypass method and using the internal heat exchanger according to the automatic defrost test conditions of ISO 5151 This study compares the hot gas bypass method with the time step method, and investigates effect on outdoor coil fan speed when the hot gas of compressor outlet enter outdoor coil inlet after the frost formation. The tests were made for the fan speeds of the outdoor coil controlled at 90, 60 and 30% of the normal speed together with the case of the stationary fan. The performance of the heat pump is evaluated by variables such as COP, heat capacity, and the average COP during the 210 minutes heating mode. Results show that average COP of the hot gas bypass mettled is $2.2{\sim}6%$ higher than that of the time step method. When the outdoor coil fan speed is 60% (780 rpm) of the normal speed, it shows the best COP and heating capacity.

Right Turn Blocking Time By Pedestrian Volume at Signalized Intersection Crosswalks (횡단보도의 보행자수에 따른 우회전 불가능한 보행자 횡단시간비율의 분석 (우회전.직진 공용차로를 대상으로))

  • 이호창;김동녕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 /
    • v.18 no.4
    • /
    • pp.41-50
    • /
    • 2000
  • 신호교차로에서 맨 우측차로의 대부분이 우회전 공용차로로 사용되는데 도로용량편람에서 우회전이 불가능한 보행자 횡단시간 비율$(f_c)$은 공용차로의 용량을 결정하는 우회전보정계수$(f_{RT})$의 산정시 중요한 요소가 된다. 그러나 이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미미하여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유입부의 직진신호시간을 위주로 교차방향 횡단보도 내의 보행자수와 우회전차량의 통과여부를 촬영하여 분석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으며, 우회전 차량이 교차도로의 보행자 횡단시간에 보행자와의 상충으로 우회전하지 못하는 시간 비율을 산정함에 있어서 횡단보도의 보행자수에 따라 우회전 차량의 통과율을 구하고 이로부터 횡단보도 보행신호시간동안에 우회전이 불가능한 시간비율을 산정했다. 연구결과는 우회전이 불가능한 시간비율이 시간당 보행자수(양방향)가 500인/시~1,500인/시로 변할 때 0.78에서 0.94사이의 값을 가지며 한국도로용량편람에서 제시한 값 0.3에서 0.9보다는 대체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용량편람에서 얻은 우회전차로의 용량은 과대 평가되는 경향이 있다.

  • PDF

Design of Detection system against Security Tool Evasion Attack using a VDS(Vulnerability diagnostication Script) (취약점 진단 스크립트를 이용한 보안도구 우회공격 탐지 시스템 설계)

  • 박명호;육상조;이극
    •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 /
    • 2003.11a
    • /
    • pp.1-4
    • /
    • 2003
  • 최근에 침입 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 보안의 강화를 위해서 방화벽과 침입탐지 시스템 상호간의 연동으로 침입자의 연결 상태를 차단하는 방법도 개발되었다. 하지만 방화벽뿐만 아니라 침입탐지 시스템도 공격자에 의한 우회공격에 대해서는 아직 상당부분 방어할 수 없다. 또한 우회공격 탐지 모듈도 기존의 IDS와 Rule의 중복이 불가피하다. 본 논문은 취약점 진단 스크립트를 통해 IDS의 취약점 진단 후 IDS우회탐지공격 시스템의 Rule을 최적화 하여 우회공격을 효율적으로 탐지 해내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 PDF

Is IPO More Efficient Than Back-door-listing? : Case of Korean Kosdaq Market (IPO가 우회상장보다 정보효율성이 더 높은가? : 코스닥시장을 중심으로)

  • Kang, Won
    • The Korean Journal of Financial Management
    • /
    • v.27 no.1
    • /
    • pp.121-156
    • /
    • 2010
  • Back-door-listing can be viewed both as M&A and an alternative to IPO. If IPO is an access to the capital market through regulations, back-door-listing would be the way of entering the market through trading. Back-door-listing can be a better choice considering the common wisdom that regulations hinder the functioning of free market system. One would, however, prefer IPO, for the informational asymmetry isless severe in case of IPO. This paper examines if IPO is superior to back-door-listing as to the informational efficiency. The excess buy-and-hold returns of the Kosdaq back-door-listing firms are estimated over the three-year-period since the event. They are compared against the excess buy-and-hold returns of the Kosdaq IPO firms over the same period of time. The results confirm this paper's prediction that IPO should be more information-efficient. Both IPO and back-door-listing firms start with high short-term excess returns and end up with long-term under-performance. However, back-door-listing firms show more significantly damaging long-term results. Furthermore, back-door-listing firms record poorer accounting results over the research period. These results imply that there exists fad at the time of both events and, in case of back-door-listing, this fad is reinforced by the possibility of window dressing.

  • PDF

Adaptive Rule Estimation (ARE) Algorithm against Eluding NIDS (적응적 규칙 추정에 의한 네트워크기반 침입탐지시스템 우회공격 방지 기법)

  • Choi, Byeongl-Cheol;Seo, Dong-Il;Sohn, Sung-Wo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2.11b
    • /
    • pp.975-978
    • /
    • 2002
  • 본 연구는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NIDS)의 우회공격 방지를 위한 적응적 규칙 추정 알고리즘(ARE; Adaptive Rule Estimation)을 제안한다. 네트워크 기반 침입탐지 시스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침입탐지 방법은 규칙 기반의 패턴 매칭 기법이며, 이 방법은 삽입과 삭제에 의한 우회 공격에 많은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삽입과 삭제에 의한 우회 공격을 방지 하고자 하는 취지에서 제안된 알고리즘이다. 적응적 규칙 추정에 의한 침입 탐지 알고리즘은 두 개의 과정으로 구성되며, 전처리 부분에서는 최적의 규칙을 선택하고, 주처리 부분에서 적응적으로 규칙 패턴의 변형된 위치를 찾아서 비교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안된 적응적 규칙 추정 알고리즘은 기존의 규칙 기반 패턴 매칭에서 우회공격이 가능한 것들이 탐지되며, 미탐지 확률을 줄일 수 있다.

  • PDF

A study on the threat hunting model for threat detection of circumvent connection remote attack (우회 원격공격의 위협탐지를 위한 위협 헌팅 모델 연구)

  • Kim, Inhwan;Ryu, Hochan;Jo, Kyeongmin;Jeon, Byungkook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21 no.4
    • /
    • pp.15-23
    • /
    • 2021
  • In most hacking attacks, hackers intrudes inside for a long period of time and attempts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using a circumvent connection to achieve purpose. research in response to advanced and intelligent cyber threats has been mainly conducted with signature-based detection and blocking methods, but recently it has been extended to threat hunting methods. attacks from organized hacking groups are advanced persistent attack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bypass remote attacks account for the majority. however, even in the intrusion detection system using intelligent recognition technology, it only shows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existing intrusion status. therefore, countermeasures against targeted bypass rwjqthrwkemote attacks still have limitations with existing detection methods and threat hunting methods. in this paper, to overcome theses limitations, we propose a model that can detect the targeted circumvent connection remote attack threat of an organized hacking group. this model designed a threat hunting process model that applied the method of verifying the origin IP of the remote circumvent connection, and verified the effectiveness by implementing the proposed method in actual defense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

"On-Pump" CABG on the Beating Heart - Two case report - (심폐바이패스하의 심박동상태에서 시행한 관상동맥우회로술)

  • 신종목;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v.32 no.5
    • /
    • pp.480-483
    • /
    • 1999
  • The widely accepted method for coronary artery bypass grafting(CABG) is performing the distal coronary artery anastomoses on the flaccid and nonbeating heart with the aid of cardiopulmonary bypass(CPB) and cardioplegic arrest. However, current cardioplegic techniques are not consistent in avoiding myocardial ischemic damages especially in high risk patients undergoing CABG. In this regard, "Off-Pump" seems to be an ideal method for preventing myocardial ischemic damage and adverse effects during CPB. However, "Off-pump" CABG is not always technically feasible. We report 2 cases of "On-pump" CABG performed on the beating heart in high risk patients; The first patient had left ventricular dysfunction(Ejection Fraction=25%), and the second patient had cardiogenic shock after percutaneous transluminal coronary angioplas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