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존유기물질

검색결과 143건 처리시간 0.021초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DOM 변동 및 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DOM Variations and Reduction Effects in Bioreation Artificial Wetland)

  • 주광진;이종준;김태경;최이송;장광현;주진철;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82-59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용존유기물질의 변동 및 저감특성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수직 수평 흐름 습지를 직렬로 복합 적용하여 호기, 혐기상태의 흐름조건을 만들어 주었고 기능성 여재를 충진한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 수평의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의 수직흐름인공습지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의 수평 흐름인공습지에서는 N.D.로 측정되어 운전조건에 부합하였다. 운전시간은 140 min, 80 min, 60 min으로 변경하며 실험을 진행을 하였으며, 운전시간에 따른 자연폭기시간 20 min을 동일하게 설정해 주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전시간 모두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으며, 3D-EEM에서는 운전시간을 길게 가져갈수록 난분해성 휴믹계물질구역인 III, V구역의 유기물에서 높은 저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저감효과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연구는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본 연구결과는 향후 인공습지를 활용한 난분해성 물질의 저감을 위한 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XAD 수지분획에 의한 용존유기물질 특성 연구 (Study on the characterization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by XAD resin fractionation)

  • 박정민;허성남;임태효;신찬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22권4호
    • /
    • pp.23-32
    • /
    • 2007
  •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was studied at selected stations in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were analysed and assessed. Production of disinfection byproducts were also investigated. Distribution of the organic compounds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MW) indicate that MWs higher than 100K were highest with cattle excrement wastewater and MW between 100-10K were highest with waters from forest streams. Low MW compounds (Jess than 1K) were highest with the effluents from environmental facilities. Results of resin fractionation study show that acidic hydrophobic substances(AHS) were dominant in many stations. The values were higher in the samples from mainstreams and sidestreams where the influence of organic matter is higher than the water from environmental facilities. Hydrophilic neutral substances(HoN) such as hydrocarbon, pesticides and detergents were higher in the wastewater treatment facilities. HoN values of water from the forest streams were 4.7% indicating there is no synthetic pollutant.

정수처리시설에서 막공정 도입시 침전공정생략 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ossibility of Sedimentation Basin Omission After Installed Membrane System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김형선;조춘구;홍성호;김성진;이길숙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403-410
    • /
    • 2006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sedimentation basin omission when installed hybrid membrane filtration process in the field plant with the capacity of $500m^3/day$ for 11 months in the "G", water purification plant in Seoul. In order to evaluate the possibility of the sedimentation basin omission, we measured the change of DOC by coagulant dosage. Dosage of PAC(power activated carbon) 4mg/L and coagulant($AI_2O_3$ 10%) 1.67mg/L were compatible to meet the water quality. Also according to the experiment without settlement process, optimization G values were determined to be 300/s, 64/s, and 32/s at the mixing tank, the first flocculator and the second flocculator, respectively. The test was performed under the conditions PAC-coagulation-no settlement-MF. As a result, a dosage of 4.0mg/L as PAC and 0.86 to 1.22mg/L as $Al_2O_3$(10%) in the condition of flux of 62.5LMH were determined to keep TMP value less than $1.0kg_f/cm^2$.

하수처리수 재이용시설의 공정별 용존유기물질 거동 및 특성 (Fate and Characteristics of Dissolved Organic Matters in a Water Reclamation Facility, Korea)

  • 권은광;이원태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55-362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te of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in a water reclamation facility (WRF) in Korea. The WRF consists of coagulation, sedimentation, microfiltration, and reverse osmosis (RO) components. The production capacity of WRF is 90,000 m3/day. The reclaimed water is reused as industrial water. We also characterized DOM in raw, processed, and finished waters based on analysis of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ultraviolet absorbance at 254 nm (UVA254), fluorescence excitation emission matrix (FEEM), and DOC fractions via liquid chromatography-organic carbon detection (LC-OCD). Based on the results of DOC, UVA254, and FEEM analyses, neither the coagulation/sedimentation nor the microfiltration at the WRF effectively removed DOM. The RO process removed more than 94% of DOM. The raw water (i.e., secondary treated effluent obtained from a wastewater treatment plant) exhibited tryptophan-like peaks, which are a promising marker of wastewater, in the FEEM analysis. Coagulation and microfiltration failed to eliminate the wastewater marker, whereas RO completely removed it. The raw water also carried high levels (89.4%) of hydrophilic and low-molecular weight substances, which are difficult to remove via coagulation-sedimentation or microfiltration. Humic substance was a major component of the hydrophilic fractions. Based on the LC-OCD analysis, RO effectively removed the humic and polymeric materials from DOM.

정수처리에서 염소 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 (Factors Affecting the Formation of Iodo-Trihalomethanes during Chlorination in Drinking Water Treatment)

  • 손희종;염훈식;김경아;송미정;최진택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542-54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염소처리시 요오드계 트리할로메탄(iodo-trihalomethanes, I-THMs)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염소를 소독제로 사용하여 염소 투입농도, 수온, pH, 브롬이온과 요오드이온 농도, 염소 접촉시간, 암모니아성 질소농도 및 용존 유기물질의 특성 변화에 따른 I-THMs 6종에 대한 생성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중의 요오드이온과 브롬이온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으며,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에 따른 I-THMs 생성에서는 염소 투입농도 및 수온 상승에 비례하여 I-THMs 생성농도도 증가하다가 염소 투입농도 3 mg/L 및 수온 $30^{\circ}C$ 이상의 조건에서는 오히려 I-THMs 생성농도가 감소하였다. 또한, 시료수의 pH가 상승할수록 I-THMs의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수중의 $NH{_4}{^+}-N$ 농도가 증가할수록 염소와 반응하여 생성된 클로라민에 의해 I-THMs 생성농도가 증가하였다. 하수처리장 방류수, 휴믹산 조제수, 조류유래 유기물질 함유수 및 4개의 낙동강 시료수(고령, 매리, 하구 및 진천천)와 같은 7개의 시료수의 유기물질과 I-THMs와의 반응성을 조사한 결과, 하수처리장 최종방류수가 I-THMs와의 반응성($12.31{\mu}g/mg$)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휴믹산 시료수($4.96{\mu}g/mg$)로 나타났고, 조류유래 유기물질이 가장 낮은 결과($0.99{\mu}g/mg$)를 나타내었다. 또한, $SUVA_{254}$값과 I-THMs 반응성과의 상관성을 평가한 결과에서 상관계수($r^2$)가 0.002로 매우 낮게 나타나 $SUVA_{254}$값과 I-THMs 생성과는 연관성을 찾기가 어려웠다.

연안환경에서 유기물 지표 개발을 위한 가능성 평가: 용존유기탄소와 형광용존유기물질 활용 (Evaluation of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Organic Matter Indicators in Coastal Environments: Utilization of Dissolved Organic Carbon and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 이민영;양경선;김순찬;김태훈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65-72
    • /
    • 2021
  • In order to evaluate the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and fluorescent dissolved organic matter (FDOM), as indicators of organic matter in the coastal environments, we measured the concentrations of DOC, FDOM, and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saline groundwater (Woljeong, Pyoseon, and Hwasun beaches) and coastal seawater (Haengwon, Gwideok, Pyoseon, and Yeongnak) in Jeju, Korea. The highest concentrations of DOC and COD in groundwater were found in Woljeong and Pyoseon, and those in coastal water were observed in Haengwon and Pyoseon, indicating that the higher concentrations of DOC and COD seem to be associated with saline groundwater-driven dissolved organic matter (DOM) and/or biogeochemical processes. According to origin and optical properties of DOM using FDOM as a tracer, proportion of humic-like FDOM, more refractory DOM, was relatively greater in the groundwater than in the coastal water. With regard to this result,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DOC and COD in groundwater, while DOC showed a good positive correlation (r2 = 0.66) with COD in coastal water. This result indicates that COD as an indicator of assessment of DOM has a limitation in which it is difficult to quantify refractory DOM. Although DOC is a potential alternative to COD in the coastal environments, particulate organic carbon cannot be negligible due to relatively higher concentration compared to the open ocean. Therefore, the use of total organic carbon (TOC) as a replacement of COD in the coastal ocean is important, and the evaluation criterion of the TOC is necessary in order to evaluate of organic matter indicator in the various coastal environments.

원수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따른 막 분리 공정의 전처리 공정 적용성 평가 (Effect of Pretreatment Process on Hybrid Membrane Filtration Performance)

  • 정철우;손희종;배상대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613-619
    • /
    • 2006
  • [ $MIEX^{(R)}$ ]와 응집에 의한 분자량 크기별 제거특성에서는 10 kDa 미만의 유기물질에 대해서는 $MIEX^{(R)}$ 처리가 우수한 제거능을 나타내었으나, 10 kDa 이상의 유기물질은 응집 공정에서 높은 제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막의 공극 크기에 대한 투과 flux 실험결과 UF 공정에 비하여 MF 공정에서의 투과 flux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으며, MF 공정에 적용된 전처리 공정중 $MIEX^{(R)}+MF$ 공정의 경우 응집+MF 공정에 비하여 투과 flux 감소율이 낮게 나타나고 있다. $MIEX^{(R)}+UF$ 공정의 경우 입자상 물질의 존재 유무에 상관없이 flux 감소율은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나, 응집+UF 공정의 경우에는 용존성 유기물질만이 존재하는 시수에 비하여 입자상 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투과 flux 감소율은 작게 나타났다. 응집 공정의 적용 후 다양한 입도분포 변화가 발생하였으며, pH 7에서 $MIEX^{(R)}$ 입자의 제타전위 측정결과 $MIEX^{(R)}$ 입자의 전하는 평균 -2.3 mV로 나타나 전기화학적으로 입자상 물질의 흡착이 가능하며 $MIEX^{(R)}$가 침전됨에 따라 입자상 물질이 sweep되어 입도분포 변화를 보였다.

계화 간척지구 강우 유출수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a Reclaimed Rice Paddy Field)

  • 여미미;이제도;우강화;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9-19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계화간척농지로부터 발생 되는 비점원 오염물질 유출현황을 조사하였다. 간척 논면적은 2,988ha로 크게 1,181ha와 1,817ha 크기의 두개의 소유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개의 소유역에 대해 각각 3번의 강우사상에 대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강우량은 각각 66.0, 23.5, 23mm이었다. 간척농지에서 오염물질 유출 특성은 일반 내륙의 논에서와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 논에서는 발생되는 비점오염부하는 큰 반면에 연구대상 간척농지에서 발생되는 TSS, TN, TP의 비점오염 유출수준은 일반 임야지역 수준으로 나타났다. 다른 유역과 다르게 질소의 경우 용존성 유기질소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인의 경우에는 용존성 인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 PDF

대청호의 수질과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Water Quality and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in the Daechung Reservoir)

  • 이진환;오희목;맹주선
    • 환경생물
    • /
    • 제18권3호
    • /
    • pp.355-365
    • /
    • 2000
  • 본 연구는 1998년 5월부터 11월까지 대청호의 2개 정점 표ㆍ중ㆍ저층에서 수질과 일차생산을 나타내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물리ㆍ화학적 환경요인(수온, 용존산소량, pH, 투명도, 총질소, 질산염, 아질산염, 암모니아, 총인, 인산염, 용존총인, 총유기탄소, 부유물질), 식물플랑크톤 현존량, chlorophyll-a의 농도를 조사하였다. 영양염류(아질산염, 질산염, 암모니아 및 인산염)가 과거에 비하여 증가되었으며, 총질소, 총인,chlorophyll-a 및 투명도는 부영양화의 기준치를 초과하여 대청호의 수질은 심한 부영양화 수역으로 판명되었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7월과 8월의 정점 1을 제외하고 년중 대발생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봄철 대발생은 아질산염, 질산염 및 인산염의 영향이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 Chlorophyll-a의 농도는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월별 변동과 대부분 같은 경향으로 변화하였다. 여름철에 높은 부유물질은 장마기의 강우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며, 특히 8월의 많은 종속영양 세균수는 높은 수온과 장마시 주변 수역으로부터 유입된 각종 유기영양염류의 유입에 따른 대량증식으로 추정된다.

  • PDF

통영 가두리 양식장 인근 해역에서의 해양환경 특성 (Marin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in the Coastal Area Surrounding Tongyeong Cage-Fish Farms)

  • 장유리;이효진;문효방;이원찬;김형철;김기범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74-80
    • /
    • 2015
  • 통영 연안 양식장 주변 해역에서의 환경특성을 조사하기 위해 2013년 7월부터 12월까지 통영 주변 10개 정점에서 해수와 퇴적물 내의 pH, 용존산소(DO), 용존무기질소(DIN), 용존무기인(DIP), 화학적산소요구량(COD), 산휘발성물질(AVS)에 대해 분석하였다. 양식장 주변 해수의 수질항목들은 계절별에 따른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퇴적물 속 COD와 AVS를 분석한 결과 수질항목과는 달리 어장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본 조사지역에서 반폐쇄성 만에 위치하고 있는 어장 활동에 의해 오염된 유기퇴적물이 비교적 빠른 유속으로 인해 주변 해역으로 분산된 것으로 예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