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융 고분자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초

용액 및 용융 가공방법에 따른 PE 및 PE 공중합물의 PTC 서미스터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PTC Thermistor Characteristics of Polyethylene and Polyethylene Copolymer Composite Systems in Melt and Solution Manufacturing Method)

  • 김재철;박기헌;남재도
    • 폴리머
    • /
    • 제26권6호
    • /
    • pp.812-820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나노입자인 카본블랙을 고분자에 분산시킨 복합체를 각각 용액혼합과 용융혼합을 이용하여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특성을 연구하였다. 전도성 나노입자인 카본블랙과 고분자 복합체의 저항 통전 (threshold)은 용융혼합하였을 때 카본블랙의 함량이 35wt% 이상에서 나타났으며. 용액혼합에서는 카본블랙 함량이 40 wt% 이상에서 나타났다. Ethyl-one vinylacetate copolymer (EVA)의 경우,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저항이 서서히 증가하다가 용융점 근처에서 극대값을 나타내었지만, 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의 경우는 저항이 온도의 변화에 따라 일정하다가 용융점 근처에서 증가하기 시작하여 용융점에서 극대값을 나타내었다. 통전 후의 낮은 저항과,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으로 관찰한 결과로부터 전도성 나노입자의 카본블랙 분산방법에서 용액혼합의 분산 정도가 용융혼합 못지않게 나타났다. PTC 소재에 전류인가시 큐리온도에서 1차적으로 저항이 증가하였으며, 고분자의 용융점에서 2차적으로 트립온도가 될 때까지 저항이 증가하다가 트립온도 이후에는 저항이 일정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초음파가 조사되는 용융 혼합에 의한 폴리카보네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혼합물의 상용화 (Compatibilization of PC/SAN Blends via Ultrasound-irradiated Melt Mixing)

  • 김형수
    • 폴리머
    • /
    • 제28권3호
    • /
    • pp.225-231
    • /
    • 2004
  • 폴리 카보네이트와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그리고 이들의 혼합물이 혼합기에서 용융 가공되는 동안 고강도 초음파를 조사하였다. 순수한 고분자의 경우에 용융상태에서 가해진 초음파 에너지에 의하여 용융점도가 감소되었으며, 혼합물에서는 분산상의 크기가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초음파 조사에 따른 성분 고분자의 용융점도 저하는 가공 중에 거대 라디칼이 생성된 것과 관련이 있으며, 이들의 상호 결합으로 말미암아 폴리 카보네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혼합물의 상용화가 진행됨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인 상용화의 효과는 혼합물의 형태학과 기계적 성질을 측정함으로 평가하였다. 총 조사 시간 5분 중에서 약 3분을 전후하여 분산상의 크기가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혼합이 끝난 시료를 20$0^{\circ}C$에서 약 10분간 방치한 후의 형태학은 초음파로 처리된 경우에 매우 안정한 상 구조를 유지하였다. 아울러 파단 신율과 인장강도와 같은 기계적 성질이 현저하게 향상되는 결과를 바탕으로, 고강도 초음파를 이용한 용융 혼합은 별도의 상용화제의 투입 없이 비상용계 고분자 혼합물을 상용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P(MMA-co-MAA) 상용화제가 Nylon 6/PVDF 블렌드의 모폴로지 및 기계적 성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MMA-co-MAA) Compatibilizer on Morpholog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Nylon 6/PVDF Blend)

  • 김갑진;조항원;윤기종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481-484
    • /
    • 2002
  • nylon 6의 단점인 저온에서의 연성 및 내충격성 저하를 개선하는 동시에 nylon 6의 내후성도 개선시키는 방법의 하나로 유리전이온도가 매우 낮고, 내가수분해성, 내후성 및 연성(ductile property)이 뛰어난 불소함유 고분자계의 한 종류인 PVDF (polyvinylidene fluoride)를 nylon 6에 용융블렌드 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1-5] 그런데 용융상태에서 두 고분자는 부분 혼화성만을 보이고, nylon 6과 PVDF는 모두 결정성 고분자이기 때문에 성형 후 냉각하는 동안 두 고분자의 결정화에 기인한 결정화유도 상분리가 일어나게 된다. (중략)

  • PDF

소각 중성자 산란(SANS)을 이용한 블록 공중합체 마이셀의 동역학 연구 (SANS Study on Dynamics of Block Copolymer Micelles)

  • 최수형
    • 한국고분자학회지:고분자과학과기술
    • /
    • 제24권6호
    • /
    • pp.585-589
    • /
    • 2013
  • 고분자 시스템에서 동역학은 열역학적 평형상태에 도달하는 메카니즘을 밝히는 중요한 분야이다. 용융 고분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블록 공중합체 마이셀에 대한 동역학 연구는 실험적 한계와 이론적 배경의 부재로 인해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하지만, 최근 TR-SANS를 이용하여 고분자 마이셀의 동역학 연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마이셀 동역학과 관련하여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 결과도 충분히 중요한 통찰력을 제시해주고 있지만, 아직 개척되지 못한 부분이 많이 남아있는 것도 사실이다. TR-SANS의 개념은 고분자 마이셀 뿐만 아니라 다양한 고분자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고, 더 나아가 Neutron Reflectivity에 적용할 경우 박막 내에서 고분자의 동역학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TR-SANS 개념은 고분자 동역학 연구 분야 외에도 의학/생명공학 등 넓은 분야에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열처리 조건에 따른 TLCP/PEN/PET삼성분계 블렌드 섬유의 특성 (Properties of TLCP/PEN/PET ternary blend fibers with annealing condition)

  • 서은수;김준영;김성훈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27-230
    • /
    • 2003
  • 열방성 액정고분자 (Thermotropic liquid crystal polymer, TLCP)는 초고강도 섬유로의 응용가능성을 갖고 있어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며, 액정고분자의 고강도와 고탄성, 우수한 내열성과 내화학성, 가공시 성형수축률 및 선팽창계수가 작기 때문에 고성능 섬유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그리고 고분자 복합재료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되고 있다 [1]. 또한 범용성 열가소성 수지와 TLCP와의 용융블렌드는 고분자 복합재료의 강도 및 탄성의 향상뿐만 아니라 우수한 가공성 및 고성능 발현이 가능하기 때문에 현재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2]. (중략)

  • PDF

전기 방사에 의한 3-Fluorine Poly(ether ether ketones)의 부직포 제조 (Preparation of 3-Fluorine Poly(ether ether ketones) Web by Electro Spinning)

  • 류영준;김학용;이덕래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65-267
    • /
    • 2002
  • 섬유를 제조함에 있어 기존의 방법으론 수 마이크론의 섬유를 만들지만 전기방사를 이용한 방법으로는 마이크론이하의 직경을 가진 섬유를 만들수 있어 전기방사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전기방사란 고분자 용액 및 용융된 고분자에 고전압을 걸어주어 섬유를 받아주는 콜렉터와 방사되는 팁 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불소를 포함한 방향족 고분자는 그들의 구조 때문에 외부열에 대한 저항력, 내화학성, 기계적,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다고 잘 알려져 있다. (중략)

  • PDF

Rhe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queous Poly(Ethylene Oxide) Solutions : Stress Relaxation in Single-Step Large Shear Deformations

  • 송기원;예상호;장갑식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48-151
    • /
    • 1998
  • 대부분의 고분자 가공공정에 있어서 가공원액(고분자 액체 또는 용융물)은 선형영역을 벗어나는 큰 크기의 변형을 받으므로 기존의 선형 점탄성 이론으로는 그 공정해석이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대변형하에서 고분자 물질의 비선형 거동 해석은 실제 공정과 관련된 공학적인 관점에서 볼 때 매우 중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응력완화 실험은 점탄성 액체의 비선형 완화 거동을 고찰하고 지금까지 제시된 각종 구성방정식을 평가하는데 유용하다.(중략)

  • PDF

자외선 조사가 Poly (phenylene sulfide) film의 광가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UV Irradiation on the Photo-crosslinking of Poly (phenylene sulfide) film)

  • 장용준;장진호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12년도 제46차 학술발표회
    • /
    • pp.52-52
    • /
    • 2012
  • Poly(phenylene sulfide)(PPS)는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뛰어난 고분자 소재로, 대표적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중 하나이다. PPS는 벤젠 링에 황원자가 파라 치환 형태로 교대로 존재하는 결정성 고분자이며, 다른 대부분의 고성능 섬유고분자가 용융되지 않는 것과는 달리 용융되는 열가소성 소재이다. PPS는 높은 내약품성과 열에 대한 장기적인 안정성을 나타내고, 방염제 첨가 없이도 방염화가 가능하며,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고, 형태안정성도 우수하다. 또한 $200^{\circ}C$ 이하에서는 어떤 용매에도 용해되지 않으며, $200^{\circ}C$ 이상에서도 몇 가지 방향족 화합물에만 제한된 범위 내에서 용해되는 우수한 내약품성을 나타낸다. PPS의 내열성을 더욱 우수하게 하기 위해 고분자 사슬을 가교할 수 있다. 가교에는 열처리 또는 감마선, 전자선, 자외선 조사를 이용할 수 있는데 열에 의한 가교는 균일한 열전달과 고온이 필요하며 감마선 및 전자선 조사는 설비의 고비용과 방사선 노출 위험으로 인해 비친환경적이다. 반면에 자외선 조사법은 다루기 쉽고 비용이 적게 들고 친환경적인 장점을 가진다. 본 연구에서는 PPS film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자외선 조사를 이용하여 PPS film의 광가교를 수행하였다.

  • PDF

유기화제 구조가 열가소성 나노복합체의 제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Organosilicate Structure on Melt Intercalation of Thermoplastic Polymers)

  • 어태식;김성수;송기국;김준경
    • 폴리머
    • /
    • 제24권6호
    • /
    • pp.794-801
    • /
    • 2000
  • Static 용융 삽입에 의하여 열가소성 고분자의 나노복합체를 제조할 때 유기화 점토에 치환된 유기화제의 길이와 packing 밀도, 그리고 열처리 온도와 시간 등이 고분자의 점토 층간 삽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x-ray와 FTIR spectroscopy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초기 유기화제의 배열형태가 lateral monolayer일 때는 고분자들의 용융 삽입이 일어나지 않았으며 그 외의 경우 유기화제의 종류 및 구조 등에 따라 최종 점토 층간 간격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열처리 시간에 따라서 층간 간격은 증가하며 더욱 규칙적으로 변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서는 점토 층간 간격은 증가하지만 불규칙적으로 배열이 되어가는 것을 관찰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