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융 고분자

검색결과 257건 처리시간 0.02초

미녹시딜을 내포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길이에 따른 특성 및 발모 효능 관찰 (Characteristics and Hair Growth Efficacy of Water Dissolving Micro-needles Containing Minoxidil Regarding Length of Micro-needles)

  • 한미리;김은영;정용현;김명석;박정환
    • 폴리머
    • /
    • 제37권3호
    • /
    • pp.393-398
    • /
    • 2013
  • 본 실험에선 미녹시딜을 함유한 수용성 고분자 젤로부터 solvent casting 방법으로 250과 $750{\mu}m$ 두 가지 길이의 미녹시딜이 함유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micro-needle)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미녹시딜을 함유한 용융형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은 기계적 강도가 입증된 고분자 니들과 동일한 형태 및 기계적 강도를 나타냈으며, 성공적으로 피부를 투과함을 확인하였다. 제조된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의 경우 피부 적용 후 최소 30분 이상은 부착되어야 전체 니들의 50% (v/v) 이상이 피부 내로 용융되었으며, 니들 적용부위에서 서서히 약물의 방출 및 확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57BL/6 동물 모델을 통해 미녹시딜이 함유된 250, $750{\mu}m$ 길이의 고분자 마이크로 니들이 무처리군 혹은 미녹시딜 처리군에 비해 발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부전장하에서 PVDF의 결정화 거동 (The crystallization behavior of PVDF under an external electric field)

  • 김갑진;이종순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59-263
    • /
    • 2001
  • 고분자의 적용 범위가 매우 다양해짐에 따라 고분자의 용액이나 고분자 용용물 및 고분자/고분자의 용융블렌드의 processing에서 단순히 온도와 압력의 변화만을 이용하지 않고 특히 전기활성 고분자나 유전상수가 매우 큰 고분자가 이용되는 경우에는 외부전장을 가한 상태에서 processing하는 경우가 많다. (중략)

  • PDF

용융방사 및 연신공저의 제조변수 연구 (A Study on the fabrication parameters in melt spinning and stretching process)

  • 유종범;김진호;김성수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8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109-111
    • /
    • 1998
  • TIPS 공정에 의한 고분자막 제조기술은 기존의 적정용매가 없어서 분리막 소재로 상용할 수 없었던 결정성 고분자 및 고강도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대하여 소재의 폭을 넓힐 수 있고 적정 희석제와의 혼합으로 고분자 소재의 용융점을 강화 시킬 수 있어 가공온도의 제약을 어느정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TIPS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고분자 matrix, 혹은 고분자 막의 미세구조는 선택된 고분자와 희석제의 종류 및 상분리 mechanism에 따라 크게 달라지므로 이들 제조 변수의 적절한 조절을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열유도 상분리 공정과 연신공정을 통해 몇가지 제조변수를 조절하여 미세다공성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다. 고분자-희석제 용융액의 melt viscosity를 변화시켜 보았고, 희석제의 추출 후 열처리를 하여 이에 따른 영향을 알아보았다. 상분리 속도가 막의 구조 및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coagulation bath temperature를 변화시켜 보았으며, 몇가지 종류의 coagulant를 사용하여 막을 제조한 후 성능을 측정해 보았다. 또한 기존의 상업용 막과 성능 및 구조를 비교하여 보았다.

  • PDF

폴리프로필렌 중공사막의 용융방사

  • 김진호;강민수;김성수
    • 한국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막학회 1996년도 추계 총회 및 학술발표회
    • /
    • pp.75-76
    • /
    • 1996
  • 다공성 고분자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법으로 기존의 용매교환법을 대신하여 내용매성, 내약품성 및 내열성이 매우 뛰어난 고분자를 소재로하여 다공성 고분자막을 만드는 열유도 상분리법(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 TIPS)이 개발되었다. TIPS공정에서는 주로 고분자/희석제 system의 열역학적인 불안정성에 의하여 polymer-rich phase와 polymer-lean phase로 상이 분리되는 liquid-liquid phase separation과 결정성 고분자의 결정화에 의한 solid-liquid phase separation을 주로 상분리 mechanism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된 TIPS 이론에 근거한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하여 PP 중공사막을 제조하였는데 wet spinning 공정에 의한 용매 교환법에 비해 비교적 공정이 단순하고 다공도를 조건하기가 용이하며 구조 및 성능면에서도 높은 재현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우수한 소재임에도 불구하고 절절한 용매의 부재로 용매교환법에서 사용할 수 없었던 폴리올레핀계, 나일론계, 방향족출합계 고분자를 사용할 수 있게 되어 소재의 폭이 넓어졌다는데에 가장 큰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PP중공사막을 제조하기 위하여 먼저 용융 방사장치를 제작하였고 melt spinning 공정에 의해 막을 제조하는데 적합한 방사조건들을 확립한 후 결정된 방사조건에 의해 얻어진 PP 중공사막의 구조 및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에 관하여 조사하였다.

  • PDF

Polypropylene과 Polyethylene으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특성 (Filtration Characteristics of Polymeric Porous Materials Composed of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 안병길;오경근;최웅수;권오관
    • 청정기술
    • /
    • 제4권2호
    • /
    • pp.32-40
    • /
    • 1998
  • Polypropylene(PP)과 polyethylene(PE) 분체를 혼합하여 공기정화용 여과재로 사용하기 위한 기공성 고분자 소재를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하였다. PP와 PE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는 녹는점이 낮은 PE가 용융되어 PP를 결합시킨 구조임을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분석으로 관찰할 수 있었으며, 고분자 소재의 압출 소결시 압출기 다이 헤드의 온도, 압출 속도, PE의 용융지수 및 첨가량 변화 등에 따른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기계적물성과 여과특성 변화를 시험하였다. 일정한 압출기 헤드 다이 온도와 압출 속도하에서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효율이 PE의 첨가량과는 비례 관계를 나타내었으나 PE의 용융지수에는 반비례 관계를 나타냄을 관찰할 수 있었다. 압출 소결법으로 제조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의 여과특성을 시험한 결과, PP와 PE로 구성된 기공성 고분자 소재가 공기정화용 여과재로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액정 폴리에스테르의 합성 및 light intensity를 통한 액정성의 확인

  • 최선호;김환철;박병기;김학용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1998년도 가을 학술발표회논문집
    • /
    • pp.87-89
    • /
    • 1998
  • 액정 고분자는 고분자가 용융 또는 용액상태에서 결정성을 보이는 고분자를 말하며, 그 중에서도 열방성 액정 고분자(thermotropic liquid crystalline polymer)는 열에 의하여 액정성을 나타내는 고분자를 말한다. 이 액정 고분자는 용융점(T$_{m}$ )이상에서도 결정이 존재하여 액상의 고분자와 결정을 형성하고 있는 고분자가 상존하는 열적 성질을 가지는 것이 큰 특징이며, 내열성과 기계적 강도 등의 우수한 물리적 성질을 나타낸다. (중략)

  • PDF

고분자의 자체발포를 이용한 세라믹 다공질체 (Ceramic Foams by the Self-Blowing of Polymer)

  • 백종원;김득중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41권7호
    • /
    • pp.555-559
    • /
    • 2004
  • 폴리실록산 고분자의 자가 발포과정을 이용하여 세라믹 다공질체를 제조하였다. 고분자가 가교반응을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물과 알콜 증기를 이용하면 고분자 용융액 내에 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세라믹 다공질체 내의 기공의 크기와 모양은 고분자 용융액의 점도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충진제인 A1$_2$O$_3$ 함량이 증가하면 기공 크기는 감소하며 이는 A1$_2$O$_3$의 입자크기가 감소하여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고분자 용융액의 점도는 고분자의 가교반응정도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는다. 발포 전에 13$0^{\circ}C$에서 열처리를 하면 점도는 증가하며 다공질체의 기공 안정성은 증가한다. 제조된 세라믹 다공질체의 밀도와 압축강도는 발포과정에서의 승온속도에 따라 다른 값을 보였다.

전기방사를 이용한 Poly(vinyl alcohol) 부직포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 Non-woven by Electrospinning)

  • 이세철;김학용;라영민;이덕래;박수진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1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1-233
    • /
    • 2001
  • 최근 나노섬유기술 (NT)과 더불어 전기방사의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는데, 전기방사란 고분자 용액 및 용융된 고분자에 고전압을 걸어주어 부직포를 받아주는 collector와 방사되는 tip사이에 전기장을 형성시켜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전기장의 세기가 고분자 용액의 표면 장력과 같을 경우 전하를 띤 고분자 용액은 tip부분에 맺히게 되며, 고분자가 가지고 있는 표면장력 이상의 전압을 걸어주면 하전된 고분자 방울은 안정되지 못하고 접지 방향으로 분산 (jet form) 하게 된다. (중략)

  • PDF

표면성장 방법에 의한 고강력, 고탄성률 섬유 고분자 재료의 개발 (development of high Strength and High Modulus Polymeric Materials by Using Surface Growth Technique)

  • 심현주
    • 유변학
    • /
    • 제5권2호
    • /
    • pp.149-160
    • /
    • 1993
  • 표면성장법을 이용한 고강력, 고탄성률 섬유의 제조시, 결정화 온도에 따른 섬유 미 세구조와 물리적 성질의 상관 관계를 미세구조적, 열역학적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초고분자 량 폴리에틸렌으로 섬유를 제조하고 결정화 온도에 따른 구조와 인장 성질의 변화를 용융 거동을 중심으로 관찰하였다, 일정길이하에서의 섬유의 용융인 제한 용융에서는 고분자 사 슬배좌의 구속으로 인해 사방정계-육방정계 전이가 일어났다 제한 용융 거동으로부터 라멜 라 구조와 펼쳐진 사슬 결정 부분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결정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펼쳐진 사슬 결정의 양이 증가하였다. 결정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쉬시-케밥구조에서 펼쳐진 사슬 구조로의 변화가 일어났으며 결정내의 결점도 줄어들었다. 결정화 온도가 증가할수록 구조 의 변화로 인해 인장 성질이 향상되었다. 인장 성질은 펼쳐진 사슬 결정의 양에 큰 영향을 받았다. 인장 강도는 펼쳐진 사릉의 양과 사슬내의 결점들에 의해 큰 영향을 받았으며 인장 탄성계수와 절단 신도는 인장 강도보다 펼쳐진 사슬의 양에 더 크게 영향 받았다.

  • PDF

용융시간에 따른 PTT/PBN 블렌드물의 혼화성 변화 (Changes in the Miscibility of PTT/PBN Blends with Melting Time)

  • 최재원;김영호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83-86
    • /
    • 2003
  • 최근 들어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PTT)를 다른 고분자와 블렌딩시켜 특성 변화를 검토한 논문이 많이 발표되고 있는데 PTT와 블렌딩하는 고분자는 주로 PET와 같은 Poly(alkylene terephthalate)계 고분자들이다[1,2]. 나프탈렌환을 갖는 Poly(alkylene naphthalate)계 고분자를 PTT와 블렌딩한 연구는 PTT/poly(ethylene naphthalate)(PEN) 블렌드계[3] 정도가 보고되고 있으며, PTT를 다른 나프탈렌계 고분자와 블렌딩한 연구 결과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