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용암대지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초

해발에 따른 제주도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va Terraces with Different Elevation in Jeju)

  • 현병근;정연태;현근수;문경환;송관철;손연규;장용선;박찬원;홍석영;김이현;최은영;장병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88-97
    • /
    • 2009
  • 제주도 화산회 토양중 용암류대지 지형에 대한 세분화 연구를 수행하였다.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는 것이 매우 많은 토양통수를 차지하고 있으나, 많은 토양통이 용암류대지 지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를 세분화할 경우 훨씬 다양한 토양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용암류대지 지형의 세분화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용암류대지에 해당하는 토양 38개를 대상으로 해발별로 토양통을 구분하였다. 해발별 구분은 50m 미만, 50-200m, 200-400, 400m 이상으로 구분하였다. 2. 해발별로 구분된 용암류대지 지형을 해발 50m 미만은 용암류대지 하부, 50-200m는 용암류대지 중부, 200-400m와 400m 이상의 경우에는 용암류대지 상부로 세분화하였다. 3. 용암류대지를 세분화한 지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용암류대지하부 지형은 토성이 미사식양질 내지 식질, 배수등급은 다양하였으며, 평균유효토심은 75.3cm, 평균자갈함량은 11.6%, 평균경사는 7.2%, 저해인자는 다양하였고, 토양목도 다양하였다. 용암류대지 중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내지 미사사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내지 매우양호, 평균유효토심은 65.9cm, 평균자갈함량은 14.7%, 평균경사는 11.3%, 저해인자는 주로 화산회였으며, 토양목은 주로 Andisols과 Inceptisols이 분포하였다. 용암류대지상부지형은 토성은 미사식양질, 배수등급은 양호, 평균유효토심은 72.8cm, 평균자갈함량은 16.0%, 평균경사는 14.9%, 저해인자는 회산회와 석력이었으며, 토양목은 Andisols이 주로 분포하였다. 4. 수량성 향상 및 고품질 작물생산을 위하여 세분화된 용암류대지의 토양특성에 따른 토양관리가 필요하다.

추가령 열곡의 철원-평강 용암대지 형성에 따른 하계망 혼란과 재편성 (Drainage Derangement and Revision by the Formation of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in Chugaryeong Rift Valley, Central Korea)

  • 이민부;이광률;김남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833-844
    • /
    • 2004
  • 추가령 열곡에서 열하분출에 의한 용암대지가 형성되면서 기존의 하곡들이 매몰되어 하계망 혼란이 일어나고, 새로운 분수계가 형성과 함께 하계망 재편성이 진행되고 있다. 이 지역은 안변 남대천, 북한강, 임진강, 한탄강 유역이 접하는 복잡한 분수계 혼란 지역으로서 분수계의 핵심 지점은 중심분출 화산인 평강의 오리산(453m)과 680봉이며, 보다 평탄한 곳에서는 하천 쟁탈이 복잡하게 전개되고, 평탄면에서 유역이 가까이 접하면서 쟁탈 전선도 형성된다. 특히 오리산은 4개의 분수계를 가르는 분수점 기능을 한다. 고도가 높은 산록에서는 두부 침식에 의해 하천 쟁탈이 발생한다. 수문지형적으로는 용암이 하곡을 메우면서 범람원의 면적이 줄어들어 호우에 의한 침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며, 보다 활발한 용암대지 개석작용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탄강(漢灘江) 일대(一帶)의 지표기복(地表起伏)에 관한 정보(情報) (A Study on the Information of Landforms in the vicinity of the Hantan River)

  • 김주환
    • 동굴
    • /
    • 제72호
    • /
    • pp.19-30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한탄강유역의 지질 및 지형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추가령 열곡과 관련이 있는 이 지역에는 선지형, 원지형, 차지형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구의 분포도 연구지역을 통하여 잘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보면 한탄강 유역에는 화산활동에 의해 용암대지가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에 나타나는 백의리층은 용암층 밑의 하상 역을 의미한다. 하계패턴의 발달은 불안정하며, 분기율, 하천길이비율 등은 다른 하천에 비해 낮다. 단구의 높이는 $5{\sim}25m$ 정도이고 대부분이 충적단구이다. 직탕폭포지역은 기반암인 화강암위에 용암대지가 덮혀있다 구침식면지역은 수평용암대지 보다 경사가 급하나 고석정 지역의 지형은 직탕폭포 부근과는 다르다. 기반암이 화강암인 것은 직탕폭포 주변과 동일하나 하천의 횡단면이 비대칭적인 것이 특징이다.

전곡리 용암대지 피복물의 형성과 변화과정 (Origin and Post-depositional Deformation of the Superficial Formations Covering Basalt Plateau in Chungok area)

  • 김남신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3-68
    • /
    • 1994
  • 전곡리 일대는 화산지형, 단층지형, 구석기 문화연구 등 여러 분야의 학문적 관심이 집중된 지역이다. 본 연구는 박편 분석, 물리화학 광물분석등이 수단을 활용하여 전곡리 용 암대지를 덮고 있는 피복물의 형성과 퇴적 후의 변화과정을 밝히려고 한 것이다, 여기서 다 음과 같은 사실을 밝힐수 있었다. 전곡리 용암대지는 Riss-Wrm 간빙기에는 별로개석되 지 않았다가 Wrm 빙가에 들어와 인근 황해의 해수면이 낮아지면서 개석된 것으로 추정 된다. 그리고 Wrm빙기 전기간에 걸쳐 용암대지에는 건육화된 황해와 인근 하천(한강, 임 진강) 범람원에서 바람에 의해 날려온 미립물질이 약 8m 이상 퇴적되었다. Wrm 빙기후 기에는 이풍적토(Loess)가 여름에도 녹지 않는 결빙층이 발달했을정도의 한랭 습윤했던 기 후의 영향을 받았다, 이로 인해 일련의 크랙(엽상구조를 이루는 수평크랙과 불규칙한 수직 방향크랙)들이 발달했고 풍적 물질의 미시적 조직과 구조도 많이 변화했다. 또한 결빙작용 으로 변형된 구조의 규제를 받으며 gleyzation 이 진전되었다. 단면 관찰에서 회백색 얼룩과 붉은 또는 검붉은 얼룩이 복잡하게 섞여 있는 모습은 바로 이것이 진전된 결과이다, 그간 발굴된 구석기 유물들은 결빙구조 및 gleyzation의 흔적이 잘 나타나는 부의에서 출토되었 다, 이사실은 본 지역의 구석기 인류가 생활했던 시기는 Wrm 빙기에서도 이러한 한랭 기후가 있기 이전이었음을 시사한다.

  • PDF

철원 및 연천 지역 용암대지 현무암의 형성 시기 및 형성 과정 (Formative Age and Process on Basalt of Lava Plateau i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Central Korea)

  • 이민부;성영배;이광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51
    • /
    • 2020
  • The Cheolwon-Pyeonggang Lava Plateau on the Chugaryeong tectonic valley is one of the most extensive volcanic areas in central Korea. However, formative age and process of the plateau still remains a controversial issue. This study presented OSL ages on the upper and lower sedimentary layers of basalt from four sites i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and estimated age and process of plateau formation based on sedimentary- and chrono-stratigraphy and topographic analysis. The results suggested that most of the initial topography of the plateau on the Cheolwon and Yeoncheon areas had been almost completed before approximately 90 ka. However, the last lava flow around Jangheung-ri, Cheolwon, seemed to occur until 20-30 ka and had led to complete the present plateau, while the last lava flow in the Jeongok area, Yeoncheon, was estimated to occur at approximately 40 ka.

제주도의 동굴자원 연구 (A study of cavern resources in CHEZU-ISLAND)

  • 강승삼
    • 동굴
    • /
    • 제44권45호
    • /
    • pp.41-48
    • /
    • 1996
  • 한라산을 중심한 제주도에는 수많은 용암류가 흘러 제주도를 형성하고 있다. 한라산 정상 화구에서 혹은 수많은 기생화산 화구에서 용암이 흘러 내려 이 용암지역에 수많은 용암동굴이 형성되고 있다. 세계에는 용암동굴이 1,000개소가 있고 그 중 50%가 미국의 서부에, 이탈리아에 186개, 후지산에 100개, 제주도에는 70개 정도가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 동,서 사면에는 광대한 용암대지가 있다.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강한 표선 현무암층이 분포한 관계로 세계적인 용암동굴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중략)

  • PDF

제주도의 동굴자원 연구

  • 배두안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7년도 제9차 AISA CAVING 대회
    • /
    • pp.60-67
    • /
    • 1997
  • 한라산을 중심한 제주도에는 수많은 용암류가 흘러 제주도를 형성하고 있다. 한라산 정상 화구에서 흑은 수많은 기생화산 화구에서 용암이 흘러 내려 이 용암지역에 수많은 용암동굴이 형성되고 있다. 세계에는 용암동굴이 1,000개소가 있고 그 중 50%가 미국의 서부에, 이탈리아에 186개, 후지산에 100개, 제주도에는 70개 정도가 알려지고 있다. 제주도 동, 서 사면에는 장대한 용암대지가 있다. 점성이 작고 유동성이 강한 표선 현무암층이 분포한 관계로 세계적인 용암동굴 지대를 형성하고 있다.(중략)

  • PDF

용암대지의 형성에 의한 하천 하각률의 변화 (Change of Stream Incision Rate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 이광률;이민부;박충선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7-35
    • /
    • 2021
  • This study tried to reveal incision rate and its change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in the Cheorwon-Jeongok area. Incision rates of 0.421 m/ka and 0.101 m/ka in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Hantan-gang, respectively, were calculated from sites before formation of lava plateau. These incision rates indicate that the upper and lower reaches of Hantan-gang have much higher and slightly lower incision rates than streams with similar distances from the Taebaek Mountains. However, sites after formation of lava plateau mostly showed incision rates ranging from 0.5 m/ka to 0.9 m/ka. Streams flowed on the lava plateau revealed 2-3 times higher incision rates than unrelated-streams or paleo-streams to formation of lava plateau di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cision rate in the study area was greatly influenced by formation of lava plateau and resultant geomorphic avulsion with rearrangements of stream.

오대연지의 화산호

  • 김석주
    • 한국동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굴학회 1994년도 제 6차 국제학술회 ASIA 동굴 SIMPOSIUM
    • /
    • pp.121-123
    • /
    • 1994
  • 오대연지는 중국 흑룡강성의 덕도현 경내에 자리잡고 있는 화산지역이다. 본 지역에는 제4기이래에 형성된 화산들이 많이 분포되여 있는데 그 중심부위에는 구슬 모양으로 된 다섯개 못이 있기에 오대연지라 한다. 본 지역의 면적은 막 800$\textrm{km}^2$ 가 되는데 지형상에서는 주로 화산추와 용암대지로 이루어져 있다. 화산의 형성시대가 다르고 자연경관이 전형적이기 때문에 국내외에서 자연적인 화산박물관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