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탄강(漢灘江) 일대(一帶)의 지표기복(地表起伏)에 관한 정보(情報)

A Study on the Information of Landforms in the vicinity of the Hantan River

  • 발행 : 2006.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탄강유역의 지질 및 지형정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추가령 열곡과 관련이 있는 이 지역에는 선지형, 원지형, 차지형으로 구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단구의 분포도 연구지역을 통하여 잘 나타난다. 결론적으로 보면 한탄강 유역에는 화산활동에 의해 용암대지가 형성되었으며 이 지역에 나타나는 백의리층은 용암층 밑의 하상 역을 의미한다. 하계패턴의 발달은 불안정하며, 분기율, 하천길이비율 등은 다른 하천에 비해 낮다. 단구의 높이는 $5{\sim}25m$ 정도이고 대부분이 충적단구이다. 직탕폭포지역은 기반암인 화강암위에 용암대지가 덮혀있다 구침식면지역은 수평용암대지 보다 경사가 급하나 고석정 지역의 지형은 직탕폭포 부근과는 다르다. 기반암이 화강암인 것은 직탕폭포 주변과 동일하나 하천의 횡단면이 비대칭적인 것이 특징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ied the geology and geomorphic characteristics of the Hantan River Basin. In this area, some kind of landforms are developed such as pre-land forms, lava plateau, and present landforms etc. Some river terraces are peculiar features in the area. Some conclusions are as follows : The vicinity of the Hantan River is lava plateau formed from the volcanic activity. Some steptoes are located in the lava plateau. Baekeuiri formation means the river bed boulder beneath the lava formation. The development of drainage patterns are unstable and the bifurcation ratio, the ratio of mean length of the river are lower than the other rivers. The relative height of the terraces is about $5{\sim}25m$ and the terraces are alluvial terraces. In the Jiktang Fall area, bedrock is granite and basalt plateau covered the bedrock. In that point, the old erosion surface is relatively steeper than the horizontal-basalt plateau. Vertical columnar joints are developed and weathering materials creep on the valley wall. The cross section of the landform of the Kosukjung vicinitie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landforms of Jiktang Fall. The bedrock near the Kosukjung is granite that is the same with the Jiktang Fall. But the cross section shows a asymmetrical curve from each side.

키워드

참고문헌

  1. 金奎漢, 金玉準, 閔庚徳, 1984,'楸哥嶺 地溝帯의 地質構造, 古地磁氣 및 岩石學的 研究', 鍍山地質, 제3호, 大韓鍍山地質學曾
  2. 金周煥, 1974, 'Joint와 河川流向과의 闗係考察', 서울大學校 大學院 碩士學位論文
  3. 金周煥, 1994, 漢灘江 一帯의 地質과 地形, 동국논총 제33집, pp.265 - 286
  4. 金周煥, 1997, 직탕폭포와 고석정 주변의 지형, 사진지리 제5호, 한국사진지리학회, pp.45- 62
  5. 金周煥, 1997, 楸哥嶺裂谷内 議政府-東豆川間에 發達한 断層構造의 構造地形學的 解析, 地理學 研究, 제31권 韓國地理教育學會, pp19 - 26
  6. 金周煥, 1998, 議政府-抱川間에 發達한 断層構造의 構造地形學的 解析, 地理學 研究, 제32권 2호, pp29- 38
  7. 梁敎錫, 1981, '楸哥嶺 裂谷内 漢灘江 下流地域에 分布하는 火山活動에 관한研究', 延世大 學校 敎育大學院 碩土學位論文
  8. 廉明淑, 1990, '漢灘江의 河岸段丘研究', 祥明女子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土學位論文
  9. 任高彬, 1984, '漢灘江 流域의 火山岩類에 대한 地質工學的 研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地質 學科 碩土學位論文
  10. 田溶穆, 1979,'漢灘江 沿岸의 地形 發達에 관한 研究', 建園大學校 大學院 地理學科 碩士學位論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