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용문양

Search Result 56, Processing Time 0.04 seconds

An emotional study on the pattern of men's trunk pants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연구)

  • Gwon, Yeong-A;Gong, Jin-Hui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and Sensibility Conference
    • /
    • 2009.05a
    • /
    • pp.231-234
    • /
    • 2009
  • 남성 속옷은 신체 보호의 기능이 중요하지만 운동이나 거실 생활에서 속옷노출이 일반화됨에 따라 개성과 이미지를 표현할 수 있는 패션 아이템으로 변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남성 속옷 시장에서 소비자가 원하는 감성과 이미지를 파악하고 소비자가 선호하는 감성요구에 부합하는 소재 특성이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져 소비자가 원하는 속옷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의 구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용 속옷 문양디자인 개발을 위한 목적으로 남성 트렁크 팬티용 문양의 감성 이미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시판하는 트렁크 팬티 중 문양의 형태 및 크기, 색상을 달리한 50 종을 수집하였고, 이중 25 종의 트렁크 팬티용 문양 이미지에 대한 주관적 감성평가를 2009년 4 월 부산지역에 거주하는 20 대 남녀 22 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주관적 감성평가를 위해 직물 문양 선호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빈번하게 출현되는 26 개의 감성 형용어를 추출하였다. 감성 형용어를 7 점 척도로 문항화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설문지와 함께 25 종의 팬티 자극물을 보고 평가하도록 하였다. 수집한 자료의 통계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카이제곱 검정, 요인분석 분간분석 사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남성용 트렁크 팬티의 문양에 관한 감성 형용에는 '고급성', '활동성', '단순성', '호화성', '성숙성'의 요인으로 요약되었으며, 문양의 고급 감성 및 활동적 스타일이 트렁크 팬티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트렁크 팬티의 색상 및 문양 유형이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나타났는데, 남성 트렁크 팬티에 사용될 수 있는 무채색 계열의 고급스러우면서 단순한 도형 문양 디자인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ttern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전통궁궐 건축에 나타난 한중일 문양 비교 연구)

  • 박영순;이현정;이경미;황정아
    • Archives of design research
    • /
    • v.17 no.2
    • /
    • pp.311-32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pattern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among those in the neighboring three nations of East Asia, notably Korea, China and Japan. The basic assumption underlying this study is that these northeastern Asian states have been developed a unique inter-cultural ties over long periods of time in history, culminating in their respective design cultures. Undoubtly the ultimate goal to be pursued, by so doing, has to be inquiry into the identical prototype of Korean pattern design element. In the West, the pattern is appreciated by an aesthetic level, but the East Asian pattern is a symbolic alphabet deeply rooted in religious and folk beliefs. The difference of the respective country comes from the expression style of the pattern the Chinese express the magnificent pattern with various color, the Korean do the moderate pattern with harmonious color with the nature and the Japanese do the stylized pattern with the material color. To sum up similarities and dissimilarities among the design element in traditional palaces of Korea, China, and Japan is as the following : It is to be noticed that the mainly common characteristics of the artistic design are 'naturalism', 'harmonious ideas 'and 'confucianism'. But the representation style of the design element is differed from the country.

  • PDF

A Study on the Meaning of Geometric Analysis of Gameun Temple's Taegeuk Shapes (감은사 태극문양의 기하학적 의미 연구)

  • Kim, Il-Hwan;Park, Tae-Bong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1 no.6
    • /
    • pp.435-444
    • /
    • 2021
  • This paper discusses the geometrical interpretation of the Taegeuk Shapes of Kameun Temple through the geometric analysis of mathematics. Based on the literature, This paper attempted to clarify that the origin of Gameunsa's founding of the spirit of patriotism may coincide with historical records through historical literature and geometric meaning. First, the background of the founding of Kameun temple, geographical location located near the East Sea, especially the history of the ancient Chinese mathematics at the time, And that mathematical knowledge influenced all fields such as agriculture, architecture, and art. Secondly, it is related to the historical record as the space of about 60 centimeters, which is uniquely underground, was identified as the structure of the excavated spac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strong correlation with the origin that the King Munmu changed into a dragon, and set up the temple to be able to stay. Based on these, the clue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aegeuk and the triangular pattern were searched in the samcheon yanggi(參天兩地) of the Oriental and circumference of the Western. The taegeuk and triangular patterns represent the symbols of yin-yang harmony, which correspond to the origin of its creation. the Korean people regarded the mysterious dragon as a symbol of yinyang harmony. In conclusion the Shapes of Kameun temple's stone is consistent with the contents mentioned in the historical record.

Designing an efficient apparel CSD system and its prototype implementation (효율적인 의상 캐드 시스템의 설계 및 시제품 구현)

  • 오규환;신성용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formation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9.10b
    • /
    • pp.629-631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의류 제품의 기획, 디자인 시제품 검토 등의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의상 캐드 시스템의 창조 모델을 제안한다. 이 참조모델은 디자이너의 패션 일러스트 작업을 지원하는 스케치 시스템, 의상 캐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문양을 생성하는 문양 생성 시스템, 옷본 디자인 작업을 수행하는 옷본 편집 시스템, 그리고 시제품 검토를 위한 가시화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문에서는 이러한 시스템들을 구현하기 위한 관련 이론들을 제시하고 시제품을 구현한다. 구현된 시스템들은 기존의 상용화된 캐드 시스템들보다 고급화된 디자인 환경을 제공함으로서 의상 디자인 작업을 효과적으로 지원한다.

  • PDF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ce Cake Pattern Complex Using Ceramic Weld Extension Technique (도자 덧살 확장 기법을 이용한 떡살 문양 단지 개발에 관한 연구)

  • Kim, Seung-Man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20 no.12
    • /
    • pp.671-680
    • /
    • 2020
  • Today, if you don't reflect trends in developing new content crafts, you can't succeed in marketing. This is because the trend is the driving force that leads to the needs of consumers that come and go temporarily. The current market is changing and wants new lifestyle trends. As a trend of such latent desire, the purpose is to develop high-value-added interior vases using rice cake patterns and ceramic complexe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first rice cake patterns writing tool is stamp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top of the toremi board (a new term created above) written in the process of the pot work. A cylinder is made of a second potter's wheel, and after the outer wall is double-flavored, the cylinder is quickly rotated to be extended by pushing it from inside to outside by hand. The purpose of this vase is to develop a decorative vase with high added value by experimenting with various geometric patterns that are dismant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a high speed with the static rice cake pattern stamped on the third, and then utilizing the various rice cake patterns developed in this way as the shape of a jar.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s Hanbok for the formal Ceremonies of Korea (아동용 한복의 특성에 관한 연구)

  • Ji, Yoon-Young;Lee, Hye-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6 no.12
    • /
    • pp.1727-1738
    • /
    • 2002
  • 세계화, 국제화, 개방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가 통과의례나 전통 명절과 같은 특별한 행사에 의례복으로 한복을 애용하는 것은 한복이 한국의 문화적 이미지를 강하게 간직하고 있는 한국적 조형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더우기 의례복은 특별한 행사 자체를 위해 착용되었던 만큼 당시대의 내 적 가치를 가장 현저하게 표출하고 있는 복식으로 인정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대 적으로 현대 전통 한복의 기본 형 식을 제공한 조선시대와 그 이후의 복식 중에서 특히 분명한 착용동기와 목적, 복식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상징성 등을 함축하고 있는 아동용 의례복을 대상으로 복식의 형태, 색채, 문양, 소재 등의 조형 요소를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양식적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조형적 특성을 형성시킨 당시대의 사상적 가치를 추론해 보는 것이다. 구체 적인 연구 방법은 먼저 관련된 문헌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하여 아동용 의례복의 범주를 설정하고 현재 보전중인 실물과 또는 사진, 풍속화에 나타난 복식 자료들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당시대의 사상적 배경에 대한 고찰을 병행하여 이들에 내재된 문화적 가치를 추출해 보았다. 연구 결과 양식적 특징으로는 남아의 두루마기나 전복 그리고 쓰개류 등에서 기능성을 고려한 변형적 양식이 나타나고 있었다. 색채 역시 음양 보색이나, 오행색을 바탕으로 한 기본색의 구성 이외 에도 소매나 섶에 응용된 색의 배열이나 맞깃 전복의 깃에 나타난 색의 조화는 다양한 색의 조형미를 표현하고 있었다. 특히 색동 등에 나타난 오행색의 배열, 안감과 겉감, 상의와 하의, 외의와 내의에 사용된 색의 조화는 미의식에 관한 문화적 가치를 추론해 볼 수 있다. 더우기 장식 표현에 주로 쓰인 자연물 문양이나 글자 문양은 당시의 지배 사상이 지향하는 덕목 이외에도 전통적으로 내재된 수명과 복록, 부귀와 영화에 대한 내적 가치들을 반영하는 조형적 상징들이라 할 수 있다. 소재는 비교적 계절을 고려하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의례적 성격을 지닌 외의나 쓰개류의 경우 계절적 구분을 고려하지 않은 경우도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장신구의 경우는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나 역시 상징적 인 가치를 표현하는 실물들을 미적으로 재구성한 사례들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아동용 전통 의례복은 형태, 색채, 문양, 소재, 장신구 등에서 양식의 다양성과 변형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적극적인 내적 가치의 상징들을 복식을 통해 표현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현대 복식의 디자인에 있어 아동용 의례복에 나타난 창조적인 양식의 변형과 다양성 그리고 복식을 통한 내적 가치의 반영 등이 현대 사회와 조화를 이룬 실질적인 복식 디자인 제시 및 창작에 작은 영감으로 작용하길 바란다.

Inflow at Ssangyongmun Gat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Its Identity (고려시대 쌍룡문경(雙龍紋鏡) 유입(流入)과 독자성(獨自性))

  • Choi, Juyeon
    • Korean Journal of Heritage: History & Science
    • /
    • v.52 no.2
    • /
    • pp.142-171
    • /
    • 2019
  • The dragon is an imaginary animal that appears in the legends and myths of the Orient and the West. While dragons have mostly been portrayed as aggressive and as bad omens in the West, in the Orient, as they symbolize the emperor or have an auspicious meaning, dragons signify a positive meaning. In addition, as the dragon symbolizes the emperor and its type has been diversified considering it as a divine object that controls water, people have tried to express it as a figure. The records related to dragons in the Goryeo dynasty appeared with diverse topics in 'History of Goryeo' and are generally contents related to founding myths, rituals for rain, and Shinii (神異), etc. The founding myth emphasizes the legality of the Goryeo dynasty through the dragon, and this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he dragon's descendants. In addition, the ability to control water, which is a characteristic of the dragon, was symbolized as an earth dragon related to the rainmaking ritual, i.e., wishing for rain during times of drought. Since the dragon was the symbol of the royal family, the use of the dragon by common people was strictly restricted. Furthermore, the association of a bronze dragon mirror with the royal family is hard to be excluded. The type and quantity of bronze double dragon mirrors discovered to have exist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great, and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of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seem to have been more active compared to other bronze mirrors, as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produced during Goryeo and bronze mirrors originating in China were mixed. Therefore, in this article, the characteristics of diverse bronze mirrors from the 10th century to the 14th century in China were examined. It seems that the master craftsmen who produced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during the Goryeo dynasty were influenced by Chinese composition patterns when making the mirrors. Because there were many cases where a bronze mirror's country of origin could not easily be determined, in order to identify the differences between bronze double dragon mirror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bronze mirrors produced in China, meticulous analysis was required. Thus, to ascertain that Goryeo mirrors were not imitations of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originating in China but produced independently, the mirrors were examined using the bronze double dragon mirror type classification system existing in our country.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Type I, which has the style of the Yao dynasty, includes the greatest proportion; however, despite there being only a small quantity for comparison, Types II and III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of th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in Goryeo because they have unique composition patterns. As mentioned above, distinguishing bronze mirrors made during Goryeo from bronze mirrors made in China is challenging because Goryeo bronze mirrors were made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Among them, since the manufacturing place of th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found at the nine-story stone pagoda in Woljeongsa Temple in Pyeongchang is questionable and the composition pattern of the bronze mirror is hard to find on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in China, the manufacturing place of those bronze mirrors were examined. These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were considered as bronze mirrors with double dragons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adopting the Yao dynasty style composition pattern as aspects of the composition pattern belonged to Type I, and the detailed combination of patterns is hard to find in mirrors produced in China.

The Development of Bag-fabrics with Using ATY Composite Yarn (이소재 복합 ATY사를 이용한 PET Base 가방지용 직물 개발)

  • Hong, Sang-Gi;Park, Seong-Woo;Seo, Mal-Yong;Kang, Yun-Hwa;Kang, Su-Jin;Oh, Ik-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Dyers and Finishers Conference
    • /
    • 2011.03a
    • /
    • pp.95-95
    • /
    • 2011
  • 가방지 중에서 고급 브랜드의 핸드백은 근래의 세계적인 경기불황에서도 꾸준한 소비층을 형성하면서 매출 상승을 유도하고 있는데, 기존 40~50대 시니어들을 위한 전통적인 레자 또는 자카드 문양직물의 고유한 디자인 뿐만 아니라 20~30대의 젊은 층을 위한 다양한 칼라의 프린팅 문양 직물도 많이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잠재권축사와 고강력PET를 이용하여 이소재 복합 ATY를 제조하고 제직 및 날염을 통해 다양한 프린팅 문양을 발현할 수 있는 가방지용 직물 개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캐주얼 및 힙합룩은 물론, 베이직 정장 차림까지 트렌디한 우븐 백이 코디 아이템 1호로 떠오르고 있는데, 가방용 브랜드 중"레스포색"과 "키플링" 등이 급상승 기류를 타며 국내에 빠르게 정착하고 있으며 수입 브랜드인 경전상사의 "롱샴"도 폴딩백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핫 이슈인 스포티즘을 떠올리지 않더라도 최근의 변화는 소비자의 니즈를 적극 수용하려는 패션잡화 업체들의 움직임을 대변하고 있으며, 직물형태의 백이 합리적인 가격에서나 가볍고 편리한 실용적인 부분 모두 소비자의 니즈를 채워주기에 충분하고, 트렌드가 부각된 가방일수록 시즌에 따라 스피디하게 구매가 이뤄지고 있다는 장점이 있어서, 최신 트렌드의 디자인과 재료 효과를 극대화한 제품이 다수 선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다양한 트렌드 디자인의 문양 발현을 위한 직물을 위해 PET Base의 잠재권축사와 PET 고강력사를 사용하였는데, 이때 사용되는 잠재권사는 Effect사로써 온도, Air압 등의 공정요소 제어를 통해 Soft한 touch을 위한 잔루프를 발현하도록 하였으며, PET 고강력사는 Core사로 사용함으로써 잠재권축사의 강도를 보강하여 가방지로써 요구되는 강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Properties of Surface Grossing on the Design-Concreat by Developing of Design-Forms for Building Wall (건축물 벽체용 문양거푸집 개발을 통한 의장콘크리트의 표면광택 특성)

  • Oh, Jung-Keun;Gong, Min-Ho;Cho, Sang-Young;Jung, Keun-Ho;Jung, Sang-Jin;Jung, Jae-Young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 /
    • v.3 no.1
    • /
    • pp.131-138
    • /
    • 2003
  • Contemporary architecture calls for a wide range of surface textures and treatments. A surface compatible with the architect's design may vary from a glass-smooth finish to one requiring special sculptured ornamentation. These surfaces require many different types of form sheathing and lining. The purpose of study is development of new design form and made elaborateness shape. Architecture finish material not used expenses working hours, personnel expenses, architecture finish material cost. After this, building wall apply a variety shape in concrete surface and Easy to used in field.

A Study on Apparel Textile Design Process using Adobe Illustrator 9.0-Applying Pre-Developed Korean Traditional Motifs- (Adobe Illustrator 9.0을 이용한 의류용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전통문양의 캐릭터화 사례를 응용하여-)

  • 곽태기;양수영
    •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
    • v.9 no.3
    • /
    • pp.501-510
    • /
    • 2001
  • This study is focused on apparel textile design process applying pre-developed Korean traditional motifs. Since the fusion culture is in trend, Orientalism or Oriental look is the center of attraction in fashion. Under the circumstances, developing the traditional resources as sophisticated Korean-style is the goal of the BK21 team. This study makes a move to achieve the goal. As a method of accomplishing this study, 4 trendy motif samples such as stylized letter, butterfly, peony, and female face are selected after investigating fashion magazines and fashion related websites. As a result, pre-developted Korean traditional motifs are elected and revised using Adobe Illustrator 9.0. The newly revised motifs are applied to the textile pattern repeat form. The completed textile patterns are simulated on the simulated on the shawls to show their usages as one of souvenir items since the year of 2001 is the year of “Visit Kore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