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5392/JKCA.2020.20.12.671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ice Cake Pattern Complex Using Ceramic Weld Extension Technique  

Kim, Seung-Man (경기대학교)
Publication Information
Abstract
Today, if you don't reflect trends in developing new content crafts, you can't succeed in marketing. This is because the trend is the driving force that leads to the needs of consumers that come and go temporarily. The current market is changing and wants new lifestyle trends. As a trend of such latent desire, the purpose is to develop high-value-added interior vases using rice cake patterns and ceramic complexes. In the manufacturing method, the first rice cake patterns writing tool is stamped at a different angle from the top of the toremi board (a new term created above) written in the process of the pot work. A cylinder is made of a second potter's wheel, and after the outer wall is double-flavored, the cylinder is quickly rotated to be extended by pushing it from inside to outside by hand. The purpose of this vase is to develop a decorative vase with high added value by experimenting with various geometric patterns that are dismant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t a high speed with the static rice cake pattern stamped on the third, and then utilizing the various rice cake patterns developed in this way as the shape of a jar.
Keywords
Jar; Rice Cake Patterns; Weld Extension Techniqu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이지영, 조선 떡살 문양을 응용한 복식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91, 1994.
2 김창신, 이조시대의 기하학적 문양의 조형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20, 1974.
3 김신정, 떡살 문양을 이용한 교체 장신구 디자인 연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25-26, 2007.
4 고가연, 한국 디자인의 브랜드화를 위한 기하학적 전통 문양,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5, 2012.
5 박향미, 떡살문양이 활용된 디자인 조형성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19, 2015.
6 김길소, 떡살은 소중한 문화유산, 강원일보사, 2000.
7 문기윤, 조선시대 菱花板 文樣의 분류와 造形性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42, 2007.
8 이기원, 옹기토를 이용한 도자기 연구, 경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8, 2008.
9 김장석, "한반도 신석기 토기 문양 명칠 일람표," 한국고고학보, 제26권, pp.141-172, 1991.
10 이병수, 이아라, "문화 상품 개발과 마케팅에 관한 연구,"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56-57, 2003.
11 정명호, "한국 옹기의 지역적 특성과 그릇 명칭에 관한 조사 연구," 실학사상연구, 제9권, pp149-199, 1997.
12 김경한, "조선시대 옹기에 반영된 장식의 조형성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부설디자인연구원논문집, 제13권, pp.1-19, 2003.
13 정양모, 한국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14 윤용이, 한국 도자사 연구, 문예출판사, 1993.
15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1499290&cid=46704&categoryId=46743, 2020.07.
16 김선주, 안현정, 트렌드 코드에서 비즈니스 기회 찾기, 좋은책만들기, 2009.
17 최인영, 브랜드 디자인, 미진사, 2013.